목차
1. 저자 러셀의 생애와 철학사상
2. 작품의 내용분석 및 특징
3. ‘서양의 지혜’에 대한 비판적 접근
4. 철학에 대한 깊은 사유
2. 작품의 내용분석 및 특징
3. ‘서양의 지혜’에 대한 비판적 접근
4. 철학에 대한 깊은 사유
본문내용
곱게 보고 있지는 않았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가 주장하는 변증법적 발전, 그리고 합리주의... 이 것들은 서양철학, 또 고대 희랍철학에만 존재했으며 그 흐름이 자기네한테 이어져 왔다는 생각, 이 책의 제3장 헬레니즘 시대의 철학만 보아도 그렇다. 고대 희랍철학이 정체되고 새로운 것이 나타나지 않았던 이유로, 동양에서 유입된 신비주의를 들고 있다. 즉 예전 고대 희랍사람들은 디오니소스적인 요소도 있었지만 이성과 합리성을 대표하는 아폴론적 요소가 있었기 때문에 그저 신비하다는 말을 하지 않고 자신들의 문제를 분석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보였고, 또 그 속에서 철학이 발전했다고 말한다. 그러나 동양의 신비주의는 그들의 합리주의를 가로막았으며 장애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이런 점들을 미루어볼 때, 러셀이 생각한 철학사는 역시 서양철학만이 철학이라는 생각이 나타난 것이라 하겠다. 동양에도 철학이 있을까? 이에 대한 해답은 아마도 미지수일 것이다.
4. 철학에 대한 깊은 사유
비록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평하긴 했지만 - 이 책은 대단한 책이다. 무엇보다도 러셀이라는 인물의 지식의 폭과 깊이가 여실히 드러나 보인다. 그는 이 책을 통해 내내 '나는 이 철학자의 사상에 대해 이렇게 생각하고 있소. 당신은 어떻소?' 라고 문제를 제기한다. 단순히 책을 읽고 지식을 암기하는 것이 아닌, 생각할 꺼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래서 러셀의 전기들을 읽는 것보다는, 오히려 그의 저술을 읽으며 사람됨을 판단하는 것이 효과적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마저 든다. 시오노 나나미도 러셀을 거의 유일하게 이해할 수 있는 철학책을 쓴 사람이라고 했지만 본인도 전적으로 동감한다. 철학을 공부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러셀을 읽어야 한다. 그는 일반인의 언어로 가장 전문적인 철학사상을 진지하게 논의할 수 있는 대가중의 대가이다. 서양철학을 전문적으로 배우는 사람들뿐만이 아니라, 진지하게 어려운 독서를 해보고 싶은 사람들도 읽어 볼만한 책이다. '서양의 지혜' 는 절대 쉽게 읽고 넘어갈 책이 아니다. 어렵고 힘들더라도 말 그대로 '지혜'를 쌓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씌어진 책이기 때문이다. 사실만을 나열한 교과서식 서양 철학사는 재미가 없다. 이 책을 고른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지 않을까 싶다. 잘 이해되지 않았던 것들이 많이 풀렸다. 그와 동시에, 많은 부분들이 의문으로 남았다. 많이 알수록 많은 걸 모른다는 게 이제야 실감난다.
4. 철학에 대한 깊은 사유
비록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평하긴 했지만 - 이 책은 대단한 책이다. 무엇보다도 러셀이라는 인물의 지식의 폭과 깊이가 여실히 드러나 보인다. 그는 이 책을 통해 내내 '나는 이 철학자의 사상에 대해 이렇게 생각하고 있소. 당신은 어떻소?' 라고 문제를 제기한다. 단순히 책을 읽고 지식을 암기하는 것이 아닌, 생각할 꺼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래서 러셀의 전기들을 읽는 것보다는, 오히려 그의 저술을 읽으며 사람됨을 판단하는 것이 효과적일지도 모른다는 생각마저 든다. 시오노 나나미도 러셀을 거의 유일하게 이해할 수 있는 철학책을 쓴 사람이라고 했지만 본인도 전적으로 동감한다. 철학을 공부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러셀을 읽어야 한다. 그는 일반인의 언어로 가장 전문적인 철학사상을 진지하게 논의할 수 있는 대가중의 대가이다. 서양철학을 전문적으로 배우는 사람들뿐만이 아니라, 진지하게 어려운 독서를 해보고 싶은 사람들도 읽어 볼만한 책이다. '서양의 지혜' 는 절대 쉽게 읽고 넘어갈 책이 아니다. 어렵고 힘들더라도 말 그대로 '지혜'를 쌓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씌어진 책이기 때문이다. 사실만을 나열한 교과서식 서양 철학사는 재미가 없다. 이 책을 고른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지 않을까 싶다. 잘 이해되지 않았던 것들이 많이 풀렸다. 그와 동시에, 많은 부분들이 의문으로 남았다. 많이 알수록 많은 걸 모른다는 게 이제야 실감난다.
추천자료
동양의 세계관과 서양의 세계관
동양 철학과 서양 철학의 비교
동양과 서양의 사상
[서양미술사]르네상스의 흐름과 특징
동양과 서양 감상문
(서양사)십자군 전쟁 - 광기어린 신의 이름으로
동양은 서양을 어떻게 계몽했는가
[서양문화의유산]프랑스 혁명의 의의
그리스 문화가 서양에 미친 영향
영상으로 보는 서양 문화사
가톨릭교회는 어떻게 서양문명을 세웠나, 기독교 수업 레포트
비알코올성 음료와 서양식메뉴
[현대의 서양문화 4B형] 본 교재 4장 “서구와 이슬람 사회” 부분을 참고하여, 서구의 이슬람 ...
[현대의 서양문화 C형] 국내의 공공조형물(공공미술)의 사례를 들어, 공공미술이 사회 속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