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정교육]민영소년교도소 재소자의 서비스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교정서비스 욕구(Need)
2. 교정사회사업가의 역할
3. 민영교도소(Private prison)
4. 청소년기의 일탈과 교정처우
5. 민영교도소에 관한 기존연구

Ⅲ. 연구모형 및 가설

Ⅳ. 연구설계 및 방법
1. 연구설계 및 표본선정
2. 변수의 정의 및 측정
3. 자료 통계처리 및 분석방법

Ⅴ. 결과분석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조사자료의 상관관계 및 기술통계 결과
3. 민영화 선호도 및 특성분석
(1) 가정형태와 가석방 경험
(2) 학력별 교도작업 경험
4. 민영교도소 서비스 요소 선호도 관계 변량분석
(1) 직업훈련 경험에 따른 민영소년교도소 서비스 요소 선호도 차이
(2) 취업알선 경험에 따른 민영소년교도소 서비스 요소 선호도 차이
(3) 교도작업경험에 따른 서비스 요소선호도 차이
(4) 욕구강도별 민영교도소 서비스 요소 선호 차이
5. 민영소년교도소 서비스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6. 소결

Ⅵ.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방성 정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변수들 중 기본적 욕구 변인은 즐거움의 욕구로 나타나 개방성이 높을수록 즐거움의 욕구 충족이 많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덟째, 총 민영화 정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기본적 욕구 변인으로 자유의 욕구와 즐거움의 욕구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환경적 요인으로는 귀휴경험과 학과교육경험 및 외부통근 경험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황 변인으로서 최종학력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Ⅵ. 결 론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민영소년교도소 서비스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민영소년교도소 서비스 요소에 주요한 영향력을 미치는 요인들은 환경의 하위 요인으로서 직업훈련경험과 가석방 경험, 귀휴 경험, 최종학력이 있었으며, 생래적 욕구의 하위 요인으로서 생존욕구 자유욕구, 즐거움의 욕구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들을 정리해 볼 때, 민영소년교도소 서비스는 범죄 청소년들을 단순한 물리적인 보호 측면에서 뿐만아니라 심리적인 안정과 올바른 사회인으로 의 성장을 도모하는 전인격적인 서비스 욕구충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들 주요 변수들 중 최종학력과 같은 상황변인은 이미 기존 소년교정시설에서 분류나 서비스 적용의 기준으로 삼아 왔던 것들로 직업훈련과 가석방 및 귀휴 서비스 수혜에 이러한 환경적인 상황변인들에 의해 서비스가 조건지워지고 있어 환경적인 요인 뿐만 아니라 심리적이고 인격적인 요인의 도입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생존욕구가 보다 강한 수용자들에게는 직업훈련적인 프로그램들을 실시했을 때 더욱 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이 가능하며, 즐거움의 욕구가 보다 강하고 고학력인 대상자들에게는 개방적인 환경의 프로그램을 더 확대하여 참여동기를 극대화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현재 국영 소년교도소에 수용중인 재소자들이 교도소의 민영화를 선호하는데 영향력을 미친 요인중 하나가 자유의 욕구임을 볼 때, 재소자들이 생각하는 민영교도소는 국영교도소 보다는 자유가 더 주어질 것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새로운 민영소년교도소에서는 국영교도소 보다 자유의 구속이 더 심해서는 안될 것이며, 경험요인 중 유의미하게 나타난 직업훈련과 가석방 및 귀휴를 확대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면서 국영시설의 경직성으로 인해 취업알선과 같은 사회연계 서비스들이 활성화 될수 있도록 지역사회와 연대적인 교정복지사업을 전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민영교도소의 도입과 민간경비의 활용/주웅식
민영교도소에 관한 고찰/박광섭, 2000
이백철·양승은(1995), 교정교육학, 서울:도서출판시사법률.
이병기·노성호(1994), 청소년범죄 추세분석:1966-1992,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보고서 93-03.
이윤호(2000), 민영교도소 도입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교정학회 세미나자료.
장규원, 정현미, 진수명, 정희철(1999), 민영교도소도입을 위한 예비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주희종(1999), 교정의 민영화: 현황과 과제, 한국교정학회 세미나 자료.
Gilbert, M., (1996), Private Confinement and the Role of Government in a Civil Society. In G. May and T. Gray(eds.), Privatization and the Provision of Correctional Services: Context and Consequences, Cincinati, OH: Anderson.
Hans-Dieter Schwind(1976 & 1988), Gunter Blau, Stravollzug in der Praxis, Walter de Gruyter & Co.
President's Commission on Law Enforcement and Administration of Justice(1967), Task Force Report: Corrections, Washington D.C.: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Brown, M. A., (1976), Values: A Necessary but Neglected Ingredient of Motivation on the Job,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 p.23.
Logan, Charles H. (1991), Well Kept: Comparing Quality of confinment in a Public and a Private Prison. Washington, D.C.: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Levy, Charles S. (1973) The Value Based of Social Work, Journal of Education for Social Work, Winter, pp.36-56.
Knapp, M., (1987), Searching for Efficiency in Long-term Care: De-Institutionalisation and Privatisation,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18.
McDonald, Douglas C. (1994), Public Imprisonment by Private Means: The Re-emergence of Private Prisons and Jails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Australia, British Journal of Criminology 34; pp.29-48.
Sandy Jung & Edward P. Rawana(1999), Risk and Need Assessment of Juvenile offenders,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Vol. 26 No. 1, Marrchy; pp.69-89, American Association for Correctional Psychology.
  • 가격2,9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8.09.06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84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