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정보보호 교육과 전문인력의 양성
1. 정보보호의 의미와 미래
1) IT(Information Technology)환경의 위험
2) 정보보호의 정도
3) 정보보호의 방향
2. 정보보호교육의 기본개념 정립
3. 정보화 역기능과 정보보호 전문인력의 양성
III. 정보보호 전문인력의 수급현황
1. 우리나라 정보보호 전문인력 수급현황 및 대학교과과정
1) 정보보호 전문인력의 수요적 측면
2) 정보보호 전문인력의 공급적 측면
3) 우리나라의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 대학교과과정
2. 외국의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 현황 및 대학교과과정
1) 영국의 정보보호 전문인력의 양성 현황 및 대학교과과정
2) 미국의 정보보호 전문인력의 양성 현황 및 대학교과과정
IV.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에 관한 실증분석
1. 실증분석의 개요
2.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에 관한 실증분석 결과
V. 국내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의 문제점 및 제안
VI.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의 활성화 방안
1.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의 단기적 방안
2.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의 장기적 방안
VII. 결 론
참고 문헌
Ⅱ. 정보보호 교육과 전문인력의 양성
1. 정보보호의 의미와 미래
1) IT(Information Technology)환경의 위험
2) 정보보호의 정도
3) 정보보호의 방향
2. 정보보호교육의 기본개념 정립
3. 정보화 역기능과 정보보호 전문인력의 양성
III. 정보보호 전문인력의 수급현황
1. 우리나라 정보보호 전문인력 수급현황 및 대학교과과정
1) 정보보호 전문인력의 수요적 측면
2) 정보보호 전문인력의 공급적 측면
3) 우리나라의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 대학교과과정
2. 외국의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 현황 및 대학교과과정
1) 영국의 정보보호 전문인력의 양성 현황 및 대학교과과정
2) 미국의 정보보호 전문인력의 양성 현황 및 대학교과과정
IV.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에 관한 실증분석
1. 실증분석의 개요
2.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에 관한 실증분석 결과
V. 국내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의 문제점 및 제안
VI.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의 활성화 방안
1.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의 단기적 방안
2.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의 장기적 방안
VII.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산업형성 초기단계에서 정부와 업계가 합심하여 하루 빨리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
셋째, 우리 정보보호산업이 유치단계(infant stage)에 있다는 현실적 이유이다. 국내 정보보호업체의 대부분은 설립된 지 5년이 안된 신생 벤처기업이며 자본금 규모도 30억원 미만으로 영세하게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가 산업정책차원에서 지원을 한다면 우선적인 배려를 해야할 분야의 하나가 정보보호산업인 것이다.
그러면 정부가 정보보호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 해야할 첫 번째 일은 정보보호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다. 정보보호 시장규모의 확대와 더불어 정보보호 인력에 대한 수요는 크게 늘어나고 있으나, 정보보호 학과가 설치된 대학이 4개에 불과할 정도로 인력양성기반이 취약하다. 이에 따라 향후 매년 3,000∼4,000명의 정보보호 인력이 부족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정부는 우선 정보보호센터와 정보통신교육원의 교육과정을 확충하여 기존 정보통신인력에 대한 정보보호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현장인력을 공급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대학의 정보보호 연구센터 및 교육과정을 확충함으로써 정보보호 전문인력을 확대 양성하여 나갈 것이다.
참고 문헌
김재성, 내외 컴퓨터 바이러스 현황과 대책, 정보보호 뉴스, 1999. 8(통권23호).
김철,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 방안, 정보보호뉴스, 1999. 10(통권25호).
,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 방안, 「정보보호 심포지움」, 한국정보보호센터, 2000.
박성준, 암호사용제도 추진 방향, 「제4회 정보보호 심포지움(SIS '99)」, 한국정보보호센터, 1999. 4.
신영우, 김종선, 정보보호산업 국제경쟁력 강화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보호센터, 1999. 11.
안성일, 정보통신기반보호를 위한 법·제도 정비 방안, 「제5회 정보보호 심포지움」, 한국정보보호센터, 2000.
이상훈, 정보보호 산업육성 방안, 정보보호뉴스, 1999. 10(통권25호).
이진수, 사이버 테러 실태 및 종합대책, 「제5회 정보보호 심포지움」, 한국정보보호센터, 2000.
인터넷 한겨레(http://www.hani.co.kr/section)
임채호, '98 정보보호 통계집, 한국정보보호센터, 1998. 12.
, '99 정보시스템 해킹·바이러스 현황 및 대응, 한국정보보호센터, 1999. 12.
정보통신부, 정보화역기능 방지대책 및 정보보호기능 강화방안, 정보통신부, 1999.
,「정보화역기능 방지대책 공청회 자료집」, 정보통신부, 1999. 8.
, 정보화기획실 자료. 2000. 4.
, 정보화기획실,「정보보호 인력양성계획」, 정보통신부 정보화기획실, 2000.
조성규, 통신망을 통한 불건전정부 유통 실태와 대응방안, 정보보호 뉴스, 1999. 8 (통권23호).
최운호, 미국의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1999. 10(통권25호).
한국전산원 ,「국가정보화백서」, 한국전산원, 1998.
한국정보보호센터,「정보화 역기능 현황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정보보호센터, 1998.
,「1999년도 정보보호 기술 교육과정」, 한국정보보호센터, 1999.
한국정보보호센터,「정보보호 인력 수급 및 활용방안 연구」, 한국정보보호센터, 1999.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1997 정보통신산업 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1997. 7
허만형, 정보화 역기능과 정부의 역할, 「정보화역기능 방지대책 공청회 자료집」, 정보통신부, 1999. 8.
Goodlatte, Bob (1999) "The Internet Freedom Act of 1999 (H.R.1686): General Summary,".
FIRST. "The Forum of Incident Response and Security Teams: A Description,"
.
Harris, Blake. "The Geopolitics of Cyberspace,"
Mathieson, Rick. (1997). "Info War: The Battle Against Cyber-Terror," E Business, December 1997..
PCCIP(President's Commission on Critical Infrastructure Protection). 1997. The PCCIP Report. President's Commission on Critical Infrastructure Protection.
Ripley, Randall & Frankline Ripley (1980). Congress, the Bureaucracy and Pulbic Policy, 2nd ed., Homewood, Illnois: The Dorsey Press,
Shapiro, Andrew L. (1999). The Control Revolution: How the Internet is Putting Individuals in Charge and Changing the World We Know By, New York: A Century Foundation Book.
U.S. Department of Commerce (1998). The Emerging Digital Economy Report. 1998. 4.
http://www..kisa.or.kr
http://www.hani.co.kr/section
http://www.infosec.jum.edu/ncisse/conference99/website/
http://www.infosec.jum.edu/programinfo/
http://www.isse.gum.edu/∼csis/index.html
셋째, 우리 정보보호산업이 유치단계(infant stage)에 있다는 현실적 이유이다. 국내 정보보호업체의 대부분은 설립된 지 5년이 안된 신생 벤처기업이며 자본금 규모도 30억원 미만으로 영세하게 운영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가가 산업정책차원에서 지원을 한다면 우선적인 배려를 해야할 분야의 하나가 정보보호산업인 것이다.
그러면 정부가 정보보호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 해야할 첫 번째 일은 정보보호인력을 양성하는 것이다. 정보보호 시장규모의 확대와 더불어 정보보호 인력에 대한 수요는 크게 늘어나고 있으나, 정보보호 학과가 설치된 대학이 4개에 불과할 정도로 인력양성기반이 취약하다. 이에 따라 향후 매년 3,000∼4,000명의 정보보호 인력이 부족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정부는 우선 정보보호센터와 정보통신교육원의 교육과정을 확충하여 기존 정보통신인력에 대한 정보보호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산업체가 필요로 하는 현장인력을 공급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대학의 정보보호 연구센터 및 교육과정을 확충함으로써 정보보호 전문인력을 확대 양성하여 나갈 것이다.
참고 문헌
김재성, 내외 컴퓨터 바이러스 현황과 대책, 정보보호 뉴스, 1999. 8(통권23호).
김철,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 방안, 정보보호뉴스, 1999. 10(통권25호).
,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 방안, 「정보보호 심포지움」, 한국정보보호센터, 2000.
박성준, 암호사용제도 추진 방향, 「제4회 정보보호 심포지움(SIS '99)」, 한국정보보호센터, 1999. 4.
신영우, 김종선, 정보보호산업 국제경쟁력 강화방안에 대한 연구, 한국정보보호센터, 1999. 11.
안성일, 정보통신기반보호를 위한 법·제도 정비 방안, 「제5회 정보보호 심포지움」, 한국정보보호센터, 2000.
이상훈, 정보보호 산업육성 방안, 정보보호뉴스, 1999. 10(통권25호).
이진수, 사이버 테러 실태 및 종합대책, 「제5회 정보보호 심포지움」, 한국정보보호센터, 2000.
인터넷 한겨레(http://www.hani.co.kr/section)
임채호, '98 정보보호 통계집, 한국정보보호센터, 1998. 12.
, '99 정보시스템 해킹·바이러스 현황 및 대응, 한국정보보호센터, 1999. 12.
정보통신부, 정보화역기능 방지대책 및 정보보호기능 강화방안, 정보통신부, 1999.
,「정보화역기능 방지대책 공청회 자료집」, 정보통신부, 1999. 8.
, 정보화기획실 자료. 2000. 4.
, 정보화기획실,「정보보호 인력양성계획」, 정보통신부 정보화기획실, 2000.
조성규, 통신망을 통한 불건전정부 유통 실태와 대응방안, 정보보호 뉴스, 1999. 8 (통권23호).
최운호, 미국의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 1999. 10(통권25호).
한국전산원 ,「국가정보화백서」, 한국전산원, 1998.
한국정보보호센터,「정보화 역기능 현황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정보보호센터, 1998.
,「1999년도 정보보호 기술 교육과정」, 한국정보보호센터, 1999.
한국정보보호센터,「정보보호 인력 수급 및 활용방안 연구」, 한국정보보호센터, 1999.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1997 정보통신산업 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 1997. 7
허만형, 정보화 역기능과 정부의 역할, 「정보화역기능 방지대책 공청회 자료집」, 정보통신부, 1999. 8.
Goodlatte, Bob (1999) "The Internet Freedom Act of 1999 (H.R.1686): General Summary,"
FIRST. "The Forum of Incident Response and Security Teams: A Description,"
Harris, Blake. "The Geopolitics of Cyberspace,"
Mathieson, Rick. (1997). "Info War: The Battle Against Cyber-Terror," E Business, December 1997.
PCCIP(President's Commission on Critical Infrastructure Protection). 1997. The PCCIP Report. President's Commission on Critical Infrastructure Protection.
Ripley, Randall & Frankline Ripley (1980). Congress, the Bureaucracy and Pulbic Policy, 2nd ed., Homewood, Illnois: The Dorsey Press,
Shapiro, Andrew L. (1999). The Control Revolution: How the Internet is Putting Individuals in Charge and Changing the World We Know By, New York: A Century Foundation Book.
U.S. Department of Commerce (1998). The Emerging Digital Economy Report. 1998. 4.
http://www..kisa.or.kr
http://www.hani.co.kr/section
http://www.infosec.jum.edu/ncisse/conference99/website/
http://www.infosec.jum.edu/programinfo/
http://www.isse.gum.edu/∼csis/index.html
키워드
추천자료
정보통신망에 제공되는 기본적인 정보 보호 서비스
[교육정보화][교육정보화운동][교육정보화의 현안 과제]교육정보화의 개념, 교육정보화의 실...
[교육정보화][교육정보화의 기반구축사업][교육정보화의 개선과제]교육정보화의 개념, 교육정...
[교육정보화][통합규격안][교육정보화운동][교사역할]교육정보화의 개념, 교육정보화의 현황,...
교육인적자원부(교육부, 교육과학기술부)의 개념과 예산, 교육인적자원부(교육부, 교육과학기...
[원격교육][CAL][컴퓨터보조학습][정보통신기술][정보사회]원격교육의 개념, 원격교육의 동향...
[교육정보화][교육정보화 역점사업][교육정보화 계획]교육정보화의 개념, 교육정보화의 필요...
독서의 개념, 독서교육(독서지도)의 의의, ICT(정보통신기술)활용 독서교육(독서지도)의 필요...
국어과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개념, 종류, 방법, 국어과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개념, 정보통신기술(ICT)활용교육의 교육과정 변천사, 정보통신...
정보통신윤리의 의미, 정보통신윤리의 특성, 정보통신윤리의 실태, 정보통신윤리의 기본 원칙...
국가인권위원회와 교육행정정보시스템 [NEIS의 개요]
[디지털저작권][디지털]디지털저작권의 유형, 디지털저작권의 필요성, 디지털저작권의 저작권...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영유아 교육과 보호 _ 영유아교육과 보호의 역사적 동향 및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