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II. 냉전의 심화와 소극적 묵인(1945~1960년대)
III. 데탕트와 적극적 부정(1970년대)
IV. 신냉전과 의도적 왜곡(1980년대)
V. 탈냉전과 소극적 일부 인정 시기(1990년대~현재)
ⅤI. 결론
II. 냉전의 심화와 소극적 묵인(1945~1960년대)
III. 데탕트와 적극적 부정(1970년대)
IV. 신냉전과 의도적 왜곡(1980년대)
V. 탈냉전과 소극적 일부 인정 시기(1990년대~현재)
ⅤI. 결론
본문내용
미 강국의 지위를 차지하였고, 이 상황에서 국제사회의 운용을 위한 적극적인 역할을 거부해서는 안된다’ Kosaka Masataka, "Japan's contribution to the Post-cold war World", Japan Review of International Affairs, Vol.5 No.2 p.136
는 인식이 생기게 되었다. 또한 정치외교력 확대의 일환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의 진출과 관련하여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해야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05년 일본 외무성은 “일본군의 남경입성 후 비전투원 다수에 대한 살해와 약탈행위가 있었던 것은 부정할 수 없지만, 피해자의 구체적인 수 등에서는 이견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피해규모를 인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 http://www.mofa.go.jp/mofaj/area/taisen/qa/08.html
라는 입장을 역사문제의 질문과 답변이라는 코너를 통해 밝혔다. 이는 일본 정부가 남경대학살에 대해 공식적으로 그 사건의 존재를 인정했다고 할 수 있으며, 사건의 진상에 대한 정확한 조사와 인정의 수준에서는 부족하나 기존의 태도에 비해 사건의 인정 태도를 이끌어냈다고 볼 수 있다.
Ⅴ. 결론
세계 2차 대전이 종결된 이후 세계 각국은 평화유지를 위한 많은 노력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전쟁 중에 발생했던 전쟁범죄의 처리는 아직도 요원한 상태이며, 특히 중국과 일본의 경우에는 중일전쟁 중의 남경대학살 문제가 양국간의 교류와 협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 문제는 남경대학살에 대한 일본의 시인태도 변화로 일정한 해결을 보지 못하고 있으며, 본고는 이러한 태도 변화의 분석을 통해 일본의 남경대학살 시인태도는 국제 정세의 변화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결론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세계 2차 대전 종결 이후, 미소 냉전의 심화로 인해 일본의 전쟁범죄 책임문제가 미비하게 제기되자 일본은 자국의 전쟁책임 회피를 위해 남경대학살 문제를 소극적으로 묵인하였고, 그 후 70년대에 이르러 냉전의 약화에 따라 일본도 중국과 관계개선을 모색을 위한 ODA를 제공함으로써 남경대학살에 대한 책임을 적극적으로 부정하는 태도를 취하였다. 80년대에는 신냉전이 도래함과 함께 자유주의진영 내에서의 자국의 입지를 구축하고자 남경대학살에 대한 사실을 의도적으로 왜곡하였다. 이어 1990년대에는 탈냉전기 이데올로기의 공백으로 민족주의가 여러 국가에서 대두되자, 일본은 중국의 민족주의에 대한 우려로 남경대학살을 일부 인정하는 태도를 취하게 되었다.
일본의 남경대학살에 대한 태도는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라 소극적 묵인, 적극적 부정, 의도적 왜곡, 그리고 소극적 일부 인정으로 변해왔으며 이는 일본은 자국의 이익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국제정세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남경대학살의 책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일본정부의 기본기조이며, 이를 바탕으로 국제정세의 흐름에 맞춰 국익이 침해받지 않는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태도를 변화시키는 암묵적인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남경대학살에 대한 일본의 태도변화 분석을 통해 독도 문제, 역사 교과서 문제 등의 또 다른 일본의 대외 정책적 변화추이를 살펴볼 수 있으며, 나아가 일본의 역사 왜곡이나 부인을 일정한 수준으로 차단할 수 있는 해답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일본의 과거사문제에 대해 심각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진상규명과 배상책임에 대한 압력이 들어오지 않는 한, 자국의 이익을 침범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는 기존의 시스템을 답습할 것이라 전망할 수 있다.
는 인식이 생기게 되었다. 또한 정치외교력 확대의 일환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의 진출과 관련하여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한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해야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2005년 일본 외무성은 “일본군의 남경입성 후 비전투원 다수에 대한 살해와 약탈행위가 있었던 것은 부정할 수 없지만, 피해자의 구체적인 수 등에서는 이견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피해규모를 인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일본 외무성 홈페이지 http://www.mofa.go.jp/mofaj/area/taisen/qa/08.html
라는 입장을 역사문제의 질문과 답변이라는 코너를 통해 밝혔다. 이는 일본 정부가 남경대학살에 대해 공식적으로 그 사건의 존재를 인정했다고 할 수 있으며, 사건의 진상에 대한 정확한 조사와 인정의 수준에서는 부족하나 기존의 태도에 비해 사건의 인정 태도를 이끌어냈다고 볼 수 있다.
Ⅴ. 결론
세계 2차 대전이 종결된 이후 세계 각국은 평화유지를 위한 많은 노력을 해오고 있다. 그러나 전쟁 중에 발생했던 전쟁범죄의 처리는 아직도 요원한 상태이며, 특히 중국과 일본의 경우에는 중일전쟁 중의 남경대학살 문제가 양국간의 교류와 협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 문제는 남경대학살에 대한 일본의 시인태도 변화로 일정한 해결을 보지 못하고 있으며, 본고는 이러한 태도 변화의 분석을 통해 일본의 남경대학살 시인태도는 국제 정세의 변화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결론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세계 2차 대전 종결 이후, 미소 냉전의 심화로 인해 일본의 전쟁범죄 책임문제가 미비하게 제기되자 일본은 자국의 전쟁책임 회피를 위해 남경대학살 문제를 소극적으로 묵인하였고, 그 후 70년대에 이르러 냉전의 약화에 따라 일본도 중국과 관계개선을 모색을 위한 ODA를 제공함으로써 남경대학살에 대한 책임을 적극적으로 부정하는 태도를 취하였다. 80년대에는 신냉전이 도래함과 함께 자유주의진영 내에서의 자국의 입지를 구축하고자 남경대학살에 대한 사실을 의도적으로 왜곡하였다. 이어 1990년대에는 탈냉전기 이데올로기의 공백으로 민족주의가 여러 국가에서 대두되자, 일본은 중국의 민족주의에 대한 우려로 남경대학살을 일부 인정하는 태도를 취하게 되었다.
일본의 남경대학살에 대한 태도는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라 소극적 묵인, 적극적 부정, 의도적 왜곡, 그리고 소극적 일부 인정으로 변해왔으며 이는 일본은 자국의 이익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국제정세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남경대학살의 책임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일본정부의 기본기조이며, 이를 바탕으로 국제정세의 흐름에 맞춰 국익이 침해받지 않는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태도를 변화시키는 암묵적인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남경대학살에 대한 일본의 태도변화 분석을 통해 독도 문제, 역사 교과서 문제 등의 또 다른 일본의 대외 정책적 변화추이를 살펴볼 수 있으며, 나아가 일본의 역사 왜곡이나 부인을 일정한 수준으로 차단할 수 있는 해답도 찾을 수도 있을 것이다. 일본의 과거사문제에 대해 심각한 국제사회의 강력한 진상규명과 배상책임에 대한 압력이 들어오지 않는 한, 자국의 이익을 침범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국제정세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대처하는 기존의 시스템을 답습할 것이라 전망할 수 있다.
추천자료
일본자유주의사관
피아니스트 영화와 자서전 비교분석
파리 꼬뮌(코뮌)
칭키스칸의 세계경영
[과거청산]과거청산(과거사청산) 개념과 중요성, 과거청산(과거사청산)과 조일조약, 과거청산...
소피/ 패왕별희 감상문
문화 다원주의의 도전 : 서구 중심의 편견과 그것을 교정하는 방법
남북한을 아우르는 통일철학의 모색
[교원임용고사대비] 전공역사모의고사문제집
마이클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 제9강,10강을 요약
역사학의 언어적 전환과 역사교육 (포스트모던 역사학)
사회복지 연구의 윤리성과 논쟁
[독서와표현 6과_토론_쟁점]동성애는 받아들여 져야 한다
[★발표자료★][아돌프 히틀러 ADOLF HITLER] 히틀러의 연설, 히틀러의 생애, 히틀러 연설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