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1. 서 론
2. 정체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유럽정체성
3. 유럽정체성의 과거와 역사적 발전과정
3.1 그리스 시대: 지리적 유럽과 문화적 유럽의 등장
3.2 로마시대: 문화적 유럽의 약화와 기독교의 유입
3.3 중세시대: 이슬람 문명과의 조우와 유럽정체성의 탄생
3.4 근.현대 시대
3.4.1 근대 유럽 정체성의 역사적 변화
3.4.2 1, 2차 대전과 유럽정체성
4. 냉전구조와 유럽통합기의 유럽정체성
4.1 국가 하부 지역의 정체성
4.2 유럽 개별국가들의 주체성
4.3 유럽 각 지역의 정체성
4.4 유럽연합의 정체성
5. 결 론
참고문헌
1. 서 론
2. 정체성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유럽정체성
3. 유럽정체성의 과거와 역사적 발전과정
3.1 그리스 시대: 지리적 유럽과 문화적 유럽의 등장
3.2 로마시대: 문화적 유럽의 약화와 기독교의 유입
3.3 중세시대: 이슬람 문명과의 조우와 유럽정체성의 탄생
3.4 근.현대 시대
3.4.1 근대 유럽 정체성의 역사적 변화
3.4.2 1, 2차 대전과 유럽정체성
4. 냉전구조와 유럽통합기의 유럽정체성
4.1 국가 하부 지역의 정체성
4.2 유럽 개별국가들의 주체성
4.3 유럽 각 지역의 정체성
4.4 유럽연합의 정체성
5.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음에도 불구하고 집단적 주체들 간의 상호주관적인 과정을 통하여 유럽정체성이 끊임없이 변화해오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인데 이러한 점은 지방정체성과 국가정체성, 지역정체성 그리고 유럽연합의 정체성은 서로의 과거와 현재의 역사를 상호반영하고 있음을 지적해주는 것이다.
미래의 전망 차원에서 바라봤을 때, 유럽인들의 공동의 역사적 기억과 경험에 기반한 통합적이고 구조적인 유럽정체성과 현재 유럽인들의 물질적이고 안보적인 이해관계를 둘러 싼 상호주관적인 접촉과 교류 및 경쟁의 강화는 유럽의 정체성을 재통합시키는 동시에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는 동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할 수있다.
참고문헌
노명환, 『역사와 문화의 차원에서 본 유럽통합의 제문제』,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1.
김봉철, "고대 그리스에서의 유럽의 형성과정에 관한 역사적 분석-유럽개념의 탄생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역사학보』170집, 2001.
김태성, 성경룡, 『복지국가론』, 서울: 나남출판, 2001.
브레진스키, 즈비그뉴 (저), 김명섭(번역), 『거대한 체스판』, 서울: 삼인, 2000.
안병직, "계몽사상과 이념," 『서양사연구』 제27집.
장미경, 『페미니즘의 이론과 정치』, 서울: 문화과학사, 2002,
최혜영, "영원한 로마이념과 유럽통합," 『서양고전학연구』16호, 2001.
할레키, 오스카(저), 최보영(번역), 『유럽의 경계와 구분』, 서울: 탐구당, 1993.
Boer, Pim den, "Essay1: Europe to 1914: The Making of an Idea," in Pim den Boer et al., The History of the Idea of Europe, (London: Routledge, 2002).
Brusis, Martin, "Conclusion: European and National Identities in the Accession Countries-The Role of European Union," in Petr Drulak (ed.), National and European Identities in the EU Enlargement, (Prague: Institute of International Relations, 2001).
Bugge, Peter, "Essay2: The Nation Supreme, The Idea of Europe 1914-1945," in Pim den Boer et al., The History of the Idea of Europe, (London: Routledge, 2002).
D'Appollonia, Ariane Chebel, "European Nationalism and European Union," in Anthony Padgen (ed.), The Idea of Europe: From the Antiquity to the European Un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Dunkerley, David et al., Changing Europe: Identities, Nations and Citizens, (London: Routledge, 2002).
Frank, Robert, "The Meaning of Europe in French National Discourse: A French Europe or an Europeanized France?," in Michael af Malmborg and Bo Strath (eds.), The Meaning of Europe, (Oxford: Berg, 2002).
Grudzinski, Przemyslaw, and Peter Van Ham, A Critical Approach to European Security: Identity and Institutions, (London: Pinter, 1999).
Hansen, Lene, and Ole Waever (eds.), European Integration and National Identity, (London: Routledge, 2002).
Malmborg, Mikael af and Bo Strath, "Introduction: The National Meaning of Europe," in Mikael af Malborg and Bo Strath (eds.), The Meaning of Europe, (Oxford: Berg, 2002).
Mudde, Cas, "Extremist Movements," in Paul Heywood et al. (eds.), Development in West European Politics, (London: Palgrave, 2002).
Passerini, Luisa, "Form the Ironies of Identity to the Identities of Irony," in Anthony Padgen (ed.), The Idea of Europe: From the Antiquity to the European Un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Risse, Thomas "Nationalism and Collective Identities: Europe Versus Nation-State?," in Paul Heywood et al. (eds.), Development in West European Politics, (London: Palgrave, 2002).
Waever, Ole, "Identity, Communities and Foreign Policy," in Lene Hansen and Ole Waever (eds.), European Integration and National Identity, (London: Routledge, 2002).
Wendt, Alexander,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미래의 전망 차원에서 바라봤을 때, 유럽인들의 공동의 역사적 기억과 경험에 기반한 통합적이고 구조적인 유럽정체성과 현재 유럽인들의 물질적이고 안보적인 이해관계를 둘러 싼 상호주관적인 접촉과 교류 및 경쟁의 강화는 유럽의 정체성을 재통합시키는 동시에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변화시키는 동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할 수있다.
참고문헌
노명환, 『역사와 문화의 차원에서 본 유럽통합의 제문제』,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1.
김봉철, "고대 그리스에서의 유럽의 형성과정에 관한 역사적 분석-유럽개념의 탄생과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역사학보』170집, 2001.
김태성, 성경룡, 『복지국가론』, 서울: 나남출판, 2001.
브레진스키, 즈비그뉴 (저), 김명섭(번역), 『거대한 체스판』, 서울: 삼인, 2000.
안병직, "계몽사상과 이념," 『서양사연구』 제27집.
장미경, 『페미니즘의 이론과 정치』, 서울: 문화과학사, 2002,
최혜영, "영원한 로마이념과 유럽통합," 『서양고전학연구』16호, 2001.
할레키, 오스카(저), 최보영(번역), 『유럽의 경계와 구분』, 서울: 탐구당, 1993.
Boer, Pim den, "Essay1: Europe to 1914: The Making of an Idea," in Pim den Boer et al., The History of the Idea of Europe, (London: Routledge, 2002).
Brusis, Martin, "Conclusion: European and National Identities in the Accession Countries-The Role of European Union," in Petr Drulak (ed.), National and European Identities in the EU Enlargement, (Prague: Institute of International Relations, 2001).
Bugge, Peter, "Essay2: The Nation Supreme, The Idea of Europe 1914-1945," in Pim den Boer et al., The History of the Idea of Europe, (London: Routledge, 2002).
D'Appollonia, Ariane Chebel, "European Nationalism and European Union," in Anthony Padgen (ed.), The Idea of Europe: From the Antiquity to the European Un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Dunkerley, David et al., Changing Europe: Identities, Nations and Citizens, (London: Routledge, 2002).
Frank, Robert, "The Meaning of Europe in French National Discourse: A French Europe or an Europeanized France?," in Michael af Malmborg and Bo Strath (eds.), The Meaning of Europe, (Oxford: Berg, 2002).
Grudzinski, Przemyslaw, and Peter Van Ham, A Critical Approach to European Security: Identity and Institutions, (London: Pinter, 1999).
Hansen, Lene, and Ole Waever (eds.), European Integration and National Identity, (London: Routledge, 2002).
Malmborg, Mikael af and Bo Strath, "Introduction: The National Meaning of Europe," in Mikael af Malborg and Bo Strath (eds.), The Meaning of Europe, (Oxford: Berg, 2002).
Mudde, Cas, "Extremist Movements," in Paul Heywood et al. (eds.), Development in West European Politics, (London: Palgrave, 2002).
Passerini, Luisa, "Form the Ironies of Identity to the Identities of Irony," in Anthony Padgen (ed.), The Idea of Europe: From the Antiquity to the European Un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Risse, Thomas "Nationalism and Collective Identities: Europe Versus Nation-State?," in Paul Heywood et al. (eds.), Development in West European Politics, (London: Palgrave, 2002).
Waever, Ole, "Identity, Communities and Foreign Policy," in Lene Hansen and Ole Waever (eds.), European Integration and National Identity, (London: Routledge, 2002).
Wendt, Alexander,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추천자료
(사회복지) 역할이론에 대한 이해와 다양한 사례 분석 (아동학대 사례, 영화 말아톤 사례, ...
민간경비업에 대한 이론과 실태
불교 이론의 발전, 인도 불교와 중국 불교
인터넷 포털 사이트 뉴스에 대한 이론적 고찰
책임운영기관제도의 의의와 이론적 배경, 외국의 책임운영기관에 대한 연구 후 우리나라에서 ...
안드레 군더 프랑크의 저개발의 개발, 마이클 던포드의 조절이론과 지역발전
거버넌스 이론과 우리나라 발전의 관계
문화와 교육- 문화에 대한 이론적 고찰
유럽연합(EU)의 발전과 우리나라와의 관계분석
지체장애가_있는_엘리트선수의_발전_방향에_대한_연구
사회복지사가 인간행동과 발달의 이론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하는 이유
건강가정에 대한 이론적 접근에 있어서 생태학적관점이 건강가정에 미치는 중요요인에 대하여...
“케냐”의 경제, 정치적 발전 과제와 국제 원조에 대한 고찰
학습동기이론에 대한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