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김철몽 씨의 사회적 위치
2. 김철몽 씨의 프로필
3. 연구 대상자(Interviewee) 선정 이유
Ⅱ. 본론
1. 외국인 이주여성으로서의 김철몽 씨
2. 국제결혼을 통한 한국 사회 적응과정의 김철몽 씨
3. 다문화 가정에서의 김철몽 씨
Ⅲ. 결론
*참고문헌
1. 김철몽 씨의 사회적 위치
2. 김철몽 씨의 프로필
3. 연구 대상자(Interviewee) 선정 이유
Ⅱ. 본론
1. 외국인 이주여성으로서의 김철몽 씨
2. 국제결혼을 통한 한국 사회 적응과정의 김철몽 씨
3. 다문화 가정에서의 김철몽 씨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라는 두각은 나타나지 않았다.
현재 그녀는 남편이 집안일을 하기 원하기 때문에 집안일을 하고 있었다. 한국 주부들과의 삶과는 조금 다르지만, 그녀는 주부로서의 삶을 살고 있었다. 추운 내륙지방에서 자란 그녀는 한국 음식과는 다른 음식을 먹고 살았다. 그리고 한국에 와서는 돈을 벌기 위해서 12시간 넘게 일하면서, 요리를 배울 여유나 시간이 없었으며 그런 환경이 아니었다. 그렇기에 그녀는 누구에게 한국음식을 만드는 법을 배울 수도, 할 수도 없었다. 당연히 그녀는 한국에 와서 일하면서 돈을 주고 음식을 사 먹었듯이, 지금도 그러하고 있는 듯하다. 한국인이라면, 남편이 일을 하고 돌아오면 아내가 따뜻한 밥을 해 놓고 기다리는 장면을 한 번쯤은 그려봤을 것이다. 그녀의 남편은 이런 장면이 당연하다고 생각했고, 그녀는 이런 장면을 당연하다고 생각하지 않은 채 살아왔다. 그녀는 분명 남편이 요구하는 여성의 삶이 이상하다고 생각하지만, 남편이 요구하는 대로 살고 있다. 그녀는 ‘집안일’만 하는 여성이 이상하다고 생각하면서도 현재 사회에서 직업을 갖고 돈을 벌고 있지 않다. 자신이 생각하는 여성상이 한국에서 거부되는 것을 느끼면서 이곳에서 원하는 대로 맞추어 가고 있었다.
시댁과의 관계도 그리 썩 원활하지 않다. 외국인이라는 이유도 있지만, 밥을 제대로 해주지 못한다는 것과 성격이 개방적이라는 것과 같은 이유로 인해, 시댁에서는 그리 곱게 보지 않는다고 한다. 시댁과의 마찰과 남편의 혼인 전 자녀들과 좋지 않은 관계로 김 철몽 씨와 남편과의 잦은 마찰이 있는 듯했다. 대부분의 국제결혼 부부가 그러하듯이, 문화적인 마찰을 겪고 있었다. 그녀는 그러한 상황에서 남편의 의견을 따르고 있었다. 그녀가 몽골에서 자라면서 그려온 여성상이 아니라, 남편이 원하는 여성상을 따르고 있었다. 그녀는 몽골에서는 진취적이고 자주적인 여성을 그려왔다. 그리고 그러한 삶을 살려고 했지만, 한국에서 6~7년간 살면서 한국 여성으로서의 삶을 택한 듯 보였다. 하지만 그녀의 환경이 그녀가 그려온 여성상을 받아줄 환경이 아니기에 그녀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했던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녀는 어떠한 이유 때문인지는 몰라도, 지금은 이전까지의 자신의 삶의 방식을 버리고 이 나라에서 요구하는 여성상을 살려고 하고 있다.
Ⅲ. 결론
이상으로 한국 가정에서 어머니로서, 아내로서 살아가고 있는 몽골 여성 김철몽씨의 삶을 살펴보았다. 그녀가 한국에 와서 불법 외국인 노동자로서 겪은 삶, 결혼한 이후에도 가부장적이고 여성 차별적인 문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힘들어하는 이야기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외국인 여성이 살아가기가 얼마나 힘든지 잘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 국적을 얻지 못하고 몽골에도, 한국에도 속하지 못한 채 두 나라 사이를 부유하는 막내딸 유나의 이야기를 통해서 다문화 가정에서 살아가는 자녀들이 어떠한 문제에 부딪치게 되는지도 알 수 있었다. 특히나 인터뷰 중간 중간 결혼한 것이 가끔은 후회된다고 말하는 그녀의 씁쓸한 얼굴 표정에서 고국에 대한 향수, 그리고 낯선 나라에서 자신이 겪어야만 하는 고충들이 얼마나 큰지 읽을 수 있어 개인적으로 무척 안타까웠다. 그녀와 딸이 겪고 있는 이중 국적, 한국 문화 적응 과정에서 생겨나는 문제점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렇듯 그녀가 한국 사회와 가정에 편입되는 가정에서 겪는 고충과 문화적 차이들은 비단 그녀 개인의 문제만은 아닐 것이다. 김철몽씨는 ‘연애’과정을 거쳐서 결혼에 성공한 케이스이지만, 최근 성행하는 국제결혼들은 국제결혼 회사의 알선을 통해 ‘한국에 팔려온’ 제3세계 국가 여성과 한국 남성들 간의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코리안 드림을 안고 입국한 여성들 중 상당수는 돈에 팔려왔다는 이유로 남편에게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거나, 한국 사회에 거의 적응을 하지 못하고 힘들어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 여성들을 더 힘들게 하는 것은, 이러한 다문화 가정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제도 문제라 할 수 있다. 현재 국제결혼이 급증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인식과 관련 제도들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국제결혼 여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한국 남성들과 결혼한 여성들의 문화와 그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기보다는 무조건 한국 사회에 적응하기를 바라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그녀들이 한국 사회에 잘 적응하기 위한 복지 제도 역시 거의 전무한 상황이고 위장 결혼 등 불법 결혼을 막기 위한 구체적 제도도 부족하다. 국제결혼 여성들의 국적, 그 자녀들의 국적에 대한 법안 역시 현 상황을 따라가지 못하는데다가 홍보도 부족해서 국제결혼 여성들이 이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국제결혼 여성들이 비록 다른 나라에서 온데다가 우리와 문화 차이도 심하다고는 하나, 일단 한국 사람과 결혼한 이상 한국 문화에 속해 적응해 살아가야 할 사람들이다. 이제는 더 이상 그녀들이 겪는 고충과 문제들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국가적으로 또 사회적으로도 그들을 도와줄 정책과 단체들의 필요성이 시급하다.
*참고문헌
이성순,『이주여성이야기-여성결혼이민자들의 진솔한 삶을 담은 이야기』,형설라이프, 2008
박원길,『몽골의 문화와 자연지리』,두솔,1996.
조영달, 다문화가정의 자녀 교육 실태조사,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2006.
조혜영,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실태와 교사ㆍ학생의 수용성 연구, 발행사항 서울: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금명자, 다문화가정 청소년(혼혈청소년)연구 :사회적응 실태조사 및 고정관념 조사, 서울:한국청소년상담원, 2006.
김종수 외 4人,『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서울:한국사회학회,한국문화인류학회,2004.
한국청소년상담연구,『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경험에 관한 연구』,한국청소년상담원, 2007.
*목차
Ⅰ. 서론
1. 김철몽 씨의 사회적 위치
2. 김철몽 씨의 프로필
3. 연구 대상자(Interviewee) 선정 이유
Ⅱ. 본론
1. 외국인 이주여성으로서의 김철몽 씨
2. 국제결혼을 통한 한국 사회 적응과정의 김철몽 씨
3. 다문화 가정에서의 김철몽 씨
Ⅲ. 결론
*참고문헌
현재 그녀는 남편이 집안일을 하기 원하기 때문에 집안일을 하고 있었다. 한국 주부들과의 삶과는 조금 다르지만, 그녀는 주부로서의 삶을 살고 있었다. 추운 내륙지방에서 자란 그녀는 한국 음식과는 다른 음식을 먹고 살았다. 그리고 한국에 와서는 돈을 벌기 위해서 12시간 넘게 일하면서, 요리를 배울 여유나 시간이 없었으며 그런 환경이 아니었다. 그렇기에 그녀는 누구에게 한국음식을 만드는 법을 배울 수도, 할 수도 없었다. 당연히 그녀는 한국에 와서 일하면서 돈을 주고 음식을 사 먹었듯이, 지금도 그러하고 있는 듯하다. 한국인이라면, 남편이 일을 하고 돌아오면 아내가 따뜻한 밥을 해 놓고 기다리는 장면을 한 번쯤은 그려봤을 것이다. 그녀의 남편은 이런 장면이 당연하다고 생각했고, 그녀는 이런 장면을 당연하다고 생각하지 않은 채 살아왔다. 그녀는 분명 남편이 요구하는 여성의 삶이 이상하다고 생각하지만, 남편이 요구하는 대로 살고 있다. 그녀는 ‘집안일’만 하는 여성이 이상하다고 생각하면서도 현재 사회에서 직업을 갖고 돈을 벌고 있지 않다. 자신이 생각하는 여성상이 한국에서 거부되는 것을 느끼면서 이곳에서 원하는 대로 맞추어 가고 있었다.
시댁과의 관계도 그리 썩 원활하지 않다. 외국인이라는 이유도 있지만, 밥을 제대로 해주지 못한다는 것과 성격이 개방적이라는 것과 같은 이유로 인해, 시댁에서는 그리 곱게 보지 않는다고 한다. 시댁과의 마찰과 남편의 혼인 전 자녀들과 좋지 않은 관계로 김 철몽 씨와 남편과의 잦은 마찰이 있는 듯했다. 대부분의 국제결혼 부부가 그러하듯이, 문화적인 마찰을 겪고 있었다. 그녀는 그러한 상황에서 남편의 의견을 따르고 있었다. 그녀가 몽골에서 자라면서 그려온 여성상이 아니라, 남편이 원하는 여성상을 따르고 있었다. 그녀는 몽골에서는 진취적이고 자주적인 여성을 그려왔다. 그리고 그러한 삶을 살려고 했지만, 한국에서 6~7년간 살면서 한국 여성으로서의 삶을 택한 듯 보였다. 하지만 그녀의 환경이 그녀가 그려온 여성상을 받아줄 환경이 아니기에 그녀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을 했던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녀는 어떠한 이유 때문인지는 몰라도, 지금은 이전까지의 자신의 삶의 방식을 버리고 이 나라에서 요구하는 여성상을 살려고 하고 있다.
Ⅲ. 결론
이상으로 한국 가정에서 어머니로서, 아내로서 살아가고 있는 몽골 여성 김철몽씨의 삶을 살펴보았다. 그녀가 한국에 와서 불법 외국인 노동자로서 겪은 삶, 결혼한 이후에도 가부장적이고 여성 차별적인 문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힘들어하는 이야기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외국인 여성이 살아가기가 얼마나 힘든지 잘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 국적을 얻지 못하고 몽골에도, 한국에도 속하지 못한 채 두 나라 사이를 부유하는 막내딸 유나의 이야기를 통해서 다문화 가정에서 살아가는 자녀들이 어떠한 문제에 부딪치게 되는지도 알 수 있었다. 특히나 인터뷰 중간 중간 결혼한 것이 가끔은 후회된다고 말하는 그녀의 씁쓸한 얼굴 표정에서 고국에 대한 향수, 그리고 낯선 나라에서 자신이 겪어야만 하는 고충들이 얼마나 큰지 읽을 수 있어 개인적으로 무척 안타까웠다. 그녀와 딸이 겪고 있는 이중 국적, 한국 문화 적응 과정에서 생겨나는 문제점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도와주고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렇듯 그녀가 한국 사회와 가정에 편입되는 가정에서 겪는 고충과 문화적 차이들은 비단 그녀 개인의 문제만은 아닐 것이다. 김철몽씨는 ‘연애’과정을 거쳐서 결혼에 성공한 케이스이지만, 최근 성행하는 국제결혼들은 국제결혼 회사의 알선을 통해 ‘한국에 팔려온’ 제3세계 국가 여성과 한국 남성들 간의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 코리안 드림을 안고 입국한 여성들 중 상당수는 돈에 팔려왔다는 이유로 남편에게 비인간적인 대우를 받거나, 한국 사회에 거의 적응을 하지 못하고 힘들어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 여성들을 더 힘들게 하는 것은, 이러한 다문화 가정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제도 문제라 할 수 있다. 현재 국제결혼이 급증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사람들의 인식과 관련 제도들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을 면치 못하고 있다. 국제결혼 여성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한국 남성들과 결혼한 여성들의 문화와 그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하기보다는 무조건 한국 사회에 적응하기를 바라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또한 그녀들이 한국 사회에 잘 적응하기 위한 복지 제도 역시 거의 전무한 상황이고 위장 결혼 등 불법 결혼을 막기 위한 구체적 제도도 부족하다. 국제결혼 여성들의 국적, 그 자녀들의 국적에 대한 법안 역시 현 상황을 따라가지 못하는데다가 홍보도 부족해서 국제결혼 여성들이 이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국제결혼 여성들이 비록 다른 나라에서 온데다가 우리와 문화 차이도 심하다고는 하나, 일단 한국 사람과 결혼한 이상 한국 문화에 속해 적응해 살아가야 할 사람들이다. 이제는 더 이상 그녀들이 겪는 고충과 문제들을 외면해서는 안 된다. 국가적으로 또 사회적으로도 그들을 도와줄 정책과 단체들의 필요성이 시급하다.
*참고문헌
이성순,『이주여성이야기-여성결혼이민자들의 진솔한 삶을 담은 이야기』,형설라이프, 2008
박원길,『몽골의 문화와 자연지리』,두솔,1996.
조영달, 다문화가정의 자녀 교육 실태조사,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2006.
조혜영, 다문화가족 자녀의 학교생활실태와 교사ㆍ학생의 수용성 연구, 발행사항 서울: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금명자, 다문화가정 청소년(혼혈청소년)연구 :사회적응 실태조사 및 고정관념 조사, 서울:한국청소년상담원, 2006.
김종수 외 4人,『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서울:한국사회학회,한국문화인류학회,2004.
한국청소년상담연구,『다문화가정 외국인 모의경험에 관한 연구』,한국청소년상담원, 2007.
*목차
Ⅰ. 서론
1. 김철몽 씨의 사회적 위치
2. 김철몽 씨의 프로필
3. 연구 대상자(Interviewee) 선정 이유
Ⅱ. 본론
1. 외국인 이주여성으로서의 김철몽 씨
2. 국제결혼을 통한 한국 사회 적응과정의 김철몽 씨
3. 다문화 가정에서의 김철몽 씨
Ⅲ.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