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오히려 옛날 어느 황제가 기록을 분명하게 하고 자신의 이름을 깨끗이 하려고 얼마나 애썼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대대로 전해졌다. 그리고 그 이야기는 어떤 부분은 백성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각색되어져 전해지기도 했다. 단순히 병사했던 옹정제의 죽음에 대해서도 뤼류량의 손녀가 옹정제를 속여서 동침을 한 후 칼로 죽였다고 변질되어졌다.
이처럼 『대의각미록』은 결국 두 황제 모두에게 부정적인 결과만을 가져다 주었다. 옹정제는 자신을 둘러싼 모든 부정적인 요소와 소문을 반박문을 통해서 말끔히 정리할 수 있으며 후손들이 자기에 경의를 표하리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의 의도와 달리 백성들은 유언비어는 두고두고 기억하고 그가 해명했던 말들을 잊어버렸다. 두 번째 황제는 『대의각미록』을 없애 아버지의 혼백을 편안히해드리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백성들은 책의 내용이 대부분 진실이었기 때문에 황제가 책을 없애버렸다고 생각했다. 따지고 보면 하잖은 서생하나가 어런의 현으로 통하는 길목에 향숙을 열었기 때문에 그리고 그의 심부름꾼이 다른 길을 통해 편지를 갖고 머나먼곳으로 떠났기 때문에 그 많은 일이 일어났던 것이다.
처음 『반역의 책』이라는 제목을 보고 반역하는 내용이구나 생각했다. 교수님이 조사하라고 하던 단어중 하나인 『대의각미록』에 대한 내용이라는 것은 책의 뒷부분을 읽으며 알게 되었는데 처음에는 책이 그냥 하나의 역사서 처럼 지루할 것이라 생각하였다. 그리고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역사서라기보다는 소설책을 읽는 느낌이었다. 책은 황제나 웨중치의 생각까지 서술함으로써 당시의 관료나 황제의 생각을 들여다 볼 수도 있었다. 책에는 중국 청나라 때의 제도에 대해서 나오는데, 고위관료와 황제가 주고받는 주접에서 황제는 붉은 색으로 답장을 보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심문에 있어서 고문을 통해 해결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여러 가지 회유책을 쓴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중국영화에서 보면 반역을 하고, 아들이 아버지에게 반역을 하고 이런 반역들 사이에서 온갖 술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보게되었는데, 책을 보면서도 황제가 황제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많은 일을 하고, 그 신하들은 황제의 눈에 들기 위해 충성을 바치는 것을 보며 중국이라는 나라에서 황제와 충신의 관계를 조금이나마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반역의 책에서 나오는 황제의 모습은 내가 지금까지 상상하던 황제의 이미지와는 다른 부분이 많이 있었다. 황제의 이미지는 강인하고 자신의 절대 권력을 누리고 사는 이미지 였지만, 옹정제는 다른 사람의 말에 신경쓰고 반역자인 쩡징을 설득하려하고, 자신에 대한 잘못된 소문의 오해를 풀기위해 『대의각미록』이라는 책까지 펴내고 자신의 뜻을 일반백성에게 전달하기 위해 수많은 방법을 동원하는 것을 보고 옹정제는 소심하고 치밀한 사람이라는 느낌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만백성에게 인자한 황제로 남기위한 모든 법이 실패로 돌아가는 것을 보고 안타까운 마음까지 들었다. 어떻게 보면 정말 사소한 일에서 시작된 것이 역사의 한 페이지에 남았다는 사실이 기록된 역사를 다시 생각하게 했다.
이처럼 『대의각미록』은 결국 두 황제 모두에게 부정적인 결과만을 가져다 주었다. 옹정제는 자신을 둘러싼 모든 부정적인 요소와 소문을 반박문을 통해서 말끔히 정리할 수 있으며 후손들이 자기에 경의를 표하리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그의 의도와 달리 백성들은 유언비어는 두고두고 기억하고 그가 해명했던 말들을 잊어버렸다. 두 번째 황제는 『대의각미록』을 없애 아버지의 혼백을 편안히해드리겠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백성들은 책의 내용이 대부분 진실이었기 때문에 황제가 책을 없애버렸다고 생각했다. 따지고 보면 하잖은 서생하나가 어런의 현으로 통하는 길목에 향숙을 열었기 때문에 그리고 그의 심부름꾼이 다른 길을 통해 편지를 갖고 머나먼곳으로 떠났기 때문에 그 많은 일이 일어났던 것이다.
처음 『반역의 책』이라는 제목을 보고 반역하는 내용이구나 생각했다. 교수님이 조사하라고 하던 단어중 하나인 『대의각미록』에 대한 내용이라는 것은 책의 뒷부분을 읽으며 알게 되었는데 처음에는 책이 그냥 하나의 역사서 처럼 지루할 것이라 생각하였다. 그리고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 역사서라기보다는 소설책을 읽는 느낌이었다. 책은 황제나 웨중치의 생각까지 서술함으로써 당시의 관료나 황제의 생각을 들여다 볼 수도 있었다. 책에는 중국 청나라 때의 제도에 대해서 나오는데, 고위관료와 황제가 주고받는 주접에서 황제는 붉은 색으로 답장을 보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심문에 있어서 고문을 통해 해결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여러 가지 회유책을 쓴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중국영화에서 보면 반역을 하고, 아들이 아버지에게 반역을 하고 이런 반역들 사이에서 온갖 술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보게되었는데, 책을 보면서도 황제가 황제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많은 일을 하고, 그 신하들은 황제의 눈에 들기 위해 충성을 바치는 것을 보며 중국이라는 나라에서 황제와 충신의 관계를 조금이나마 이해하게 되었다. 그리고 반역의 책에서 나오는 황제의 모습은 내가 지금까지 상상하던 황제의 이미지와는 다른 부분이 많이 있었다. 황제의 이미지는 강인하고 자신의 절대 권력을 누리고 사는 이미지 였지만, 옹정제는 다른 사람의 말에 신경쓰고 반역자인 쩡징을 설득하려하고, 자신에 대한 잘못된 소문의 오해를 풀기위해 『대의각미록』이라는 책까지 펴내고 자신의 뜻을 일반백성에게 전달하기 위해 수많은 방법을 동원하는 것을 보고 옹정제는 소심하고 치밀한 사람이라는 느낌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이렇게 만백성에게 인자한 황제로 남기위한 모든 법이 실패로 돌아가는 것을 보고 안타까운 마음까지 들었다. 어떻게 보면 정말 사소한 일에서 시작된 것이 역사의 한 페이지에 남았다는 사실이 기록된 역사를 다시 생각하게 했다.
추천자료
옹정제의 독재정치수단
[중국]5.4 운동과 신문화 운동의 사회학적 고찰
반역의 책 옹정제와 사상통제를 읽고
영국,미국,스웨덴의 사회복지 정책
[동양 인간관][서양 인간관][한국 인간관][인간관 비교][인간관][동양][서양][한국]동양과 서...
[동양사상][서양사상][동양사상과 서양사상의 비교][서양사상의 원류][동양철학][서양철학][...
미야자키 이치사다 옹정제 서평
도덕성발달이론의 비교 정리 및 유아기의 도덕성 발달을 위한 지도원리와 도덕성 발달활동에 ...
[헤겔][변증법][스피노자][주자]헤겔의 사상, 헤겔의 법에 대한 이념, 헤겔의 변증법, 헤겔의...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스포츠 매스미디어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리치미디어 배너...
[노인 복지론] 노인의 개념 및 노인의 조작적 정의, 노화의 정의와 노화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소설『녹두장군(綠豆將軍)』을 통해 살펴본 동학의 사상과 사회변혁에의 의지 (송기숙 저)
영아기 발달의 중요성을 다양한 이론을 근거로 정리 한 후 제시된 의견을 근거로 현 사회상이...
가족동반 자살에 대한 원인과 내용을 한국문화적 측면에서 기술하고 이에 대한 지역사회 복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