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확률이론
Ⅱ. 확률분포의 개념
Ⅲ. 이산확률분포
Ⅳ. 연속확률분포
Ⅱ. 확률분포의 개념
Ⅲ. 이산확률분포
Ⅳ. 연속확률분포
본문내용
P(X=x)=0이다.
② 연속확률분포에서의 확률은 어떤 특정한 두 값, 즉 일정구간 사이의 값을 취할 확률로 계산된다. 즉, P(a≤X≤b)는 구간〔a, b〕사이의 확률밀도함수 f(X)와 X축 사이의 면적 이다.
③ 확률밀도함수는 언제나 (+)값을 갖는다. 즉, f(X)≥0이다.
④ 확률밀도함수 아래에 있는 전체의 면적은 언제나 1.0이다. 즉, P(-∞X≤∞)=1이다.
2. 균일분포
가장 간단한 분포가 균일분포(continuous uniform probability distribution)이다.
균일 분포의 확률밀도함수
<그림 8-3> 균일 분포의 예 : a=50, b=75
3. 정규분포
가우스분포(Gaussian distribution)라고도 불리는 정규분포는 연속확률분포 중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중요한 분포이다. 정규분포는 표본을 통한 통계적 추정 및 가설검정이론의 기본이 되며, 실제로 우리가 사회적자연적 현상에서 접하는 여러 자료들의 분포도 정규분포와 비슷한 형태를 띠게 되는 것이 보통이다.
정규분포는 정규곡선(normal curve)으로부터 유래한 분포로서 19세기 초 가우스(Karl F. Gauss)가 물리계측의 오차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도입된 확률분포이다. 이들 자료의 분포가 이 곡선과 가까운 형태를 지니고 있어야 정상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자료수집과정에 이상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 분포에‘정규(normal)’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그 후 정규분포의 개념은 자연과학뿐만 아니라, 인문사회과학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물론 현실적인 자료가 이론적인 정규분포와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규분포의 형태에 가깝게 나타나므로 이를 자료분석에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규분포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먼저 정규분포의 확률밀도함수에 대해 알아보자.
1) 정규분포의 확률밀도함수
π : 3.1416(원주율 : 상수)
e : 2.7183(상수)
μ : 정규분포의 평균
σ : 정규분포의 표준편차
위 식에서 분포의 평균 μ와 표준편차 σ를 제외하고는 모두 상수이고 X는 확률변수이기 때문에, 정규분포의 모양을 결정하는 것은 분포의 평균과 표준편차 두 요인임을 알 수 있 다. 정규분포공식에서 와 S 대신 μ와 σ를 사용한 것은 이 공식이 하나의 이론적 모 형이기 때문이다.
2) 정규분포의 특성
① 정규분포의 모양과 위치는 분포의 평균과 표준편차로 결정된다.
② 정규분포의 확률밀도함수는 평균(μ)을 중심으로 대칭인 종 모양(bell shape)이다.
③ 정규곡선은 X축에 맞닿지 않으므로 확률변수 X가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는 -∞
④ 분포의 평균(μ)과 표준편차(σ)가 어떤 값을 갖더라도, 정규곡선과 X축 사이의 전체 면적은 1이다.
정규분포는 평균과 표준편차에 따라 모양과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두 분포의 성격을 비 교하거나 특정정규분포에서 확률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모든 정규분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표준화하여 표준적인 정규분포를 만들어야 한다.
3) 표준정규분포
표준정규분포는 모든 정규분포를 평균 μ=0, 표준편차 σ=1이 되도록 표준화한 것이 다. 어떤 관찰치 X의 그 분포의 평균으로부터 표준편차의 몇 배 정도나 떨어져 있는가를 다음과 같이 표준화된 확률변수 Z로 나타내기 때문에 표준정규분포를 Z-분포라고도 하다.
<그림-3> 정규분포의 표준정규분포로의 전환
표준정규분포가 중요한 이유는 위 그림에서 보듯이 제각기 다른 정규분포라 하더라도 이 를 표준정규분포로 정규화하였을 경우 Z값이 일치하면 그때의 확률, 즉 그림에서 어두운 부분의 넓이가 모두 같다는 데 있다.
<그림 8-6> 정규분포와 표준정규분포의 관계
② 연속확률분포에서의 확률은 어떤 특정한 두 값, 즉 일정구간 사이의 값을 취할 확률로 계산된다. 즉, P(a≤X≤b)는 구간〔a, b〕사이의 확률밀도함수 f(X)와 X축 사이의 면적 이다.
③ 확률밀도함수는 언제나 (+)값을 갖는다. 즉, f(X)≥0이다.
④ 확률밀도함수 아래에 있는 전체의 면적은 언제나 1.0이다. 즉, P(-∞X≤∞)=1이다.
2. 균일분포
가장 간단한 분포가 균일분포(continuous uniform probability distribution)이다.
균일 분포의 확률밀도함수
<그림 8-3> 균일 분포의 예 : a=50, b=75
3. 정규분포
가우스분포(Gaussian distribution)라고도 불리는 정규분포는 연속확률분포 중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중요한 분포이다. 정규분포는 표본을 통한 통계적 추정 및 가설검정이론의 기본이 되며, 실제로 우리가 사회적자연적 현상에서 접하는 여러 자료들의 분포도 정규분포와 비슷한 형태를 띠게 되는 것이 보통이다.
정규분포는 정규곡선(normal curve)으로부터 유래한 분포로서 19세기 초 가우스(Karl F. Gauss)가 물리계측의 오차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도입된 확률분포이다. 이들 자료의 분포가 이 곡선과 가까운 형태를 지니고 있어야 정상이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자료수집과정에 이상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 분포에‘정규(normal)’라는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그 후 정규분포의 개념은 자연과학뿐만 아니라, 인문사회과학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물론 현실적인 자료가 이론적인 정규분포와 완전히 일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규분포의 형태에 가깝게 나타나므로 이를 자료분석에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정규분포의 개념을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 먼저 정규분포의 확률밀도함수에 대해 알아보자.
1) 정규분포의 확률밀도함수
π : 3.1416(원주율 : 상수)
e : 2.7183(상수)
μ : 정규분포의 평균
σ : 정규분포의 표준편차
위 식에서 분포의 평균 μ와 표준편차 σ를 제외하고는 모두 상수이고 X는 확률변수이기 때문에, 정규분포의 모양을 결정하는 것은 분포의 평균과 표준편차 두 요인임을 알 수 있 다. 정규분포공식에서 와 S 대신 μ와 σ를 사용한 것은 이 공식이 하나의 이론적 모 형이기 때문이다.
2) 정규분포의 특성
① 정규분포의 모양과 위치는 분포의 평균과 표준편차로 결정된다.
② 정규분포의 확률밀도함수는 평균(μ)을 중심으로 대칭인 종 모양(bell shape)이다.
③ 정규곡선은 X축에 맞닿지 않으므로 확률변수 X가 취할 수 있는 값의 범위는 -∞
정규분포는 평균과 표준편차에 따라 모양과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두 분포의 성격을 비 교하거나 특정정규분포에서 확률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모든 정규분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표준화하여 표준적인 정규분포를 만들어야 한다.
3) 표준정규분포
표준정규분포는 모든 정규분포를 평균 μ=0, 표준편차 σ=1이 되도록 표준화한 것이 다. 어떤 관찰치 X의 그 분포의 평균으로부터 표준편차의 몇 배 정도나 떨어져 있는가를 다음과 같이 표준화된 확률변수 Z로 나타내기 때문에 표준정규분포를 Z-분포라고도 하다.
<그림-3> 정규분포의 표준정규분포로의 전환
표준정규분포가 중요한 이유는 위 그림에서 보듯이 제각기 다른 정규분포라 하더라도 이 를 표준정규분포로 정규화하였을 경우 Z값이 일치하면 그때의 확률, 즉 그림에서 어두운 부분의 넓이가 모두 같다는 데 있다.
<그림 8-6> 정규분포와 표준정규분포의 관계
추천자료
[과외]중학 수학 2-2학기 중간2 확률
[과외]중학 수학 중2-2중간 확률의계산(핵심예상)
확률 pmf pdf 생성하기
확률과 통계
[그래픽계산기]수학교육(수학학습) 그래픽계산기의 교육적 의미, 수학교육(수학학습) 그래픽...
확률통계 이기태 레포트
HIV(에이즈바이러스)의 개념과 역사, HIV(에이즈바이러스)의 감염경로, HIV(에이즈바이러스)...
[유아수/과학지도] 수학적 탐구의 개념과 방법 - 유아기 수학적 탐구능력의 발달단계, 수 개...
[사회복지조사론] (13~18세 청소년) 결손가정의 청소년들은 비행청소년이 될 확률이 높다
도산기업(기업도산)의 의의, 원인, 도산기업(기업도산)의 판별분석모형, 도산기업(기업도산)...
사회불안과 가해 염려를 동반한 사회 공포증(taijin kyofusho)의 유지에 있어 부정적 사회 사...
국내기업(우리나라기업, 한국기업) 국제화,재벌, 국내기업(우리나라기업, 한국기업) 기술발전...
★ 경영통계학 - 볍씨를 땅에 뿌리면 90%가 싹이 튼다고 한다. 어제 뒤뜰에 25개의 볍씨를 심...
선택과 의사결정(선택책략, 유사성 판단, 주관적 확률-가용성 발견법, 대표성 발견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