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언어란?
2. 생활 속에서의 언어
3. 언어의 힘
4. 사례
4.1 학교에서의 언어폭력
4.2 군대에서의 언어폭력
4.3 직장에서의 언어 폭력
4.4 인터넷에서의 언어폭력
4.5 미디어에서의 언어폭력
5. 마무리
2. 생활 속에서의 언어
3. 언어의 힘
4. 사례
4.1 학교에서의 언어폭력
4.2 군대에서의 언어폭력
4.3 직장에서의 언어 폭력
4.4 인터넷에서의 언어폭력
4.5 미디어에서의 언어폭력
5. 마무리
본문내용
만큼 인식 전환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4.5 미디어에서의 언어폭력
‘성이 평등한 미디어 언어 개발을 위한 토론회’를 열어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성 평등 언어 사용을 제안했다.
이 토론회에서 신문과 방송, 인터넷 매체 등에서 쓰는 언어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고 이같이 요청한 것이다. 발제자인 이수연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위원은 일간 신문 세 종, 지상파 TV 네 종, 인터넷 포털 사이트 세 종을 모니터링한 결과 전체 성 차별적 언어는 7,570예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를 매체별로 보면 인터넷이 3,481예로 가장 많고 신문이 2,268예, 방송이 1,821예로 뒤를 이었다.
성 차별적 언어의 유형을 보면 우선 한쪽 성 지칭으로 양성 포괄(예: 스포츠맨, 금융맨), 성별의 불필요한 강조(예: 여성 총리, 여류 작가), 고정관념적인 성 구실 속성 강조(예: 남자보다 강한 여자. 철의 여인, 여우, 늑대, 내숭녀, 요조숙녀, 흑기사), 성 차별적 이데올로기 내포(예: 현모양처. 미망인. 처녀작), 선정적 표현(예: 쭉쭉빵빵, S라인, 섹시 레이디, 애마소녀, 숫처녀), 특정 성 비하(예: 아줌마. 부엌데기) 등으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고정 관념적 성 구실 속성 강조로, 모든 매체가 이런 표현을 가장 자주(4,810예, 63.5%)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적 표현 1,098예(14.5%), 성별의 불필요한 강조 930예(12.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TV ‘외화다시보기모임’에서 MBC, SBS, KBS1, KBS2에서 방영된 영어권 외화 27편을 분석하였다. 영화에 나타난 언어상의 성차별 모니터링 결과 남편은 반말, 아내는 존댓말 사용으로 존칭 여부가 남녀에게 다르게 적용되는 예, 남녀간에 사용하는 언어의 불균형, 남성은 하오체, 여성은 해요체의 다른 높임법을 쓰는 등 더빙의 ‘존댓말 규칙’이 성차별적임을 알 수 있었다.
5. 마무리
우리는 지금 이 순간에도 아무런 생각 없이 말을 하고 있다. 하지만 언어의 힘과 그에 따른 폭력성, 그리고 언어 사용의 중요성도 그만큼 알 수 있었다. 이에 앞으로 언어사용에도 우리는 좀더 생각하며 해야 하겠다.
*목차
1. 언어란?
2. 생활 속에서의 언어
3. 언어의 힘
4. 사례
4.1 학교에서의 언어폭력
4.2 군대에서의 언어폭력
4.3 직장에서의 언어 폭력
4.4 인터넷에서의 언어폭력
4.5 미디어에서의 언어폭력
5. 마무리
4.5 미디어에서의 언어폭력
‘성이 평등한 미디어 언어 개발을 위한 토론회’를 열어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성 평등 언어 사용을 제안했다.
이 토론회에서 신문과 방송, 인터넷 매체 등에서 쓰는 언어를 분석한 결과를 발표하고 이같이 요청한 것이다. 발제자인 이수연 한국여성개발원 연구위원은 일간 신문 세 종, 지상파 TV 네 종, 인터넷 포털 사이트 세 종을 모니터링한 결과 전체 성 차별적 언어는 7,570예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를 매체별로 보면 인터넷이 3,481예로 가장 많고 신문이 2,268예, 방송이 1,821예로 뒤를 이었다.
성 차별적 언어의 유형을 보면 우선 한쪽 성 지칭으로 양성 포괄(예: 스포츠맨, 금융맨), 성별의 불필요한 강조(예: 여성 총리, 여류 작가), 고정관념적인 성 구실 속성 강조(예: 남자보다 강한 여자. 철의 여인, 여우, 늑대, 내숭녀, 요조숙녀, 흑기사), 성 차별적 이데올로기 내포(예: 현모양처. 미망인. 처녀작), 선정적 표현(예: 쭉쭉빵빵, S라인, 섹시 레이디, 애마소녀, 숫처녀), 특정 성 비하(예: 아줌마. 부엌데기) 등으로 분류된다.
이 가운데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은 고정 관념적 성 구실 속성 강조로, 모든 매체가 이런 표현을 가장 자주(4,810예, 63.5%)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정적 표현 1,098예(14.5%), 성별의 불필요한 강조 930예(12.3%) 등이 그 뒤를 이었다.
TV ‘외화다시보기모임’에서 MBC, SBS, KBS1, KBS2에서 방영된 영어권 외화 27편을 분석하였다. 영화에 나타난 언어상의 성차별 모니터링 결과 남편은 반말, 아내는 존댓말 사용으로 존칭 여부가 남녀에게 다르게 적용되는 예, 남녀간에 사용하는 언어의 불균형, 남성은 하오체, 여성은 해요체의 다른 높임법을 쓰는 등 더빙의 ‘존댓말 규칙’이 성차별적임을 알 수 있었다.
5. 마무리
우리는 지금 이 순간에도 아무런 생각 없이 말을 하고 있다. 하지만 언어의 힘과 그에 따른 폭력성, 그리고 언어 사용의 중요성도 그만큼 알 수 있었다. 이에 앞으로 언어사용에도 우리는 좀더 생각하며 해야 하겠다.
*목차
1. 언어란?
2. 생활 속에서의 언어
3. 언어의 힘
4. 사례
4.1 학교에서의 언어폭력
4.2 군대에서의 언어폭력
4.3 직장에서의 언어 폭력
4.4 인터넷에서의 언어폭력
4.5 미디어에서의 언어폭력
5. 마무리
키워드
추천자료
신화속으로 떠나는 언어여행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성차별적 언어와 행위
국어하.고등국어.학습지도안(3.함께 하는 언어 생활)
[북한][언어정책][초등학교교육][북한 여가생활][북한 영화][북한 식생활][북한 음식][북한 ...
일상생활의 포스트모더니즘 -미술, 음악, 언어, 광고를 중심으로-
(언어)속담속에 나타난 한국인들의 여성에대한 심리성향
대화의 기법 드라마 속 가정언어에 대하여
[정신지체][맨발의 기봉이-정신지체 분석] ≪ 맨발의 기봉이 (Barefoot Gi Bong) ≫ 영화 속 정...
음성언어 발달에서 울음과 쿠잉에 대해 강의 들은 대로(강의내용 중심으로) 자세히 서술하고,...
[매체언어와 국어교육] 매체 속의 언어적 부분에 대한 고찰 '무엇을 언어라 볼 것인가'
[생활지도와 상담] 아동의 행동관찰 - 학교와 아동행동, 비언어적 의사소통, 관찰법(행동관찰...
[한국전통문화] 혼례 속에 담긴 한국문화 요소 - 의례문화, 언어문화, 정신문화, 제도문화
(A+ 레포트,시험대비) [유아교육개론] 유치원 교육과정의 영역- 표현, 언어, 탐구생활
국어과 수업 지도안 - 언어 생활과 규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