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리셰의 정의와 특징 여러 가지 클리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클리셰의 정의와 특징

◈ 여러 가지 클리셰

◈ 마무리

본문내용

그 이유는 리얼리티보다는 '장을 본다‘라는 인상을 보여주는 것이 더 화급한 목적이기 때문이다. 파는 고려시대 이전부터 재배해 온, 온갖 요리에 같이 넣어서 먹는 식재료의 하나이다. 그중 대파는 가장 저렴한 가격에 가장 푸짐한 장바구니를 세팅하는 데 최적의 야채다. 장바구니 안에 온갖 해산물이며 야채며 육류며 과일 따위가 푸짐하게 차고 넘친들 바구니 밖으로 엿보이지 않고서야 과연 장을 봐왔는지 알 수가 없다. 바로 이때, 장바구니 밖으로 길게 걸친 대파를 보여줌으로써 장을 봤다는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는 것이다. 미국영화에는 바게트 빵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다. 그들의 쇼핑백에는 썰지 않는 바게트 빵이 고개를 내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대파와 마찬가지로 최소의 소품으로 최대의 장을 봤다는 인상을 풍기게 하려는 수법인 것이다. 위의 그림은 일본 만화영화 ’아따맘마‘의 한 캐릭터 ’엄마‘인데 장을 봤다는 이미지를 위해 비록 대파나 바게트빵은 아니지만 흰 바구니 밖으로 삐쭉 내민 장본 물건들을 보이게끔 했다.
◈ 마무리
악몽에서 깨어날 때는 언제나 소리를 지르면서 후다닥 윗몸을 일으키는 장면을 보여준다. 영화 속의 날짜나 시간을 언제나 정확하여 폭탄이 폭발하는 설정에서는 주인공의 시계에서 초바늘이 정확하게 12시를 가리키면 폭탄이 터진다. 악당들은 늘 묻지도 않은 자신의 계획을 주구장창 말하며 시간을 끌어 주인공이 기력을 되찾게 도와주고는 자신은 허점을 보여 당한다.
등등 이 외에도 수많은 클리셰들이 있다. 클리셰는 정해진 것이 아니다. 그저 과거에는 독창적이고 신선한 수법이 너무 많이 쓰여서 진부해지고 식상해지면 클리셰가 되는 것이다. 클리셰는 그 자체는 문제는 아니다. 클리셰를 클리셰로 보지 않기 때문에 지루하고 거부감을 느끼는 것이다. 클리셰를 클리셰로 보면 그 클리셰는 더이상 클리셰가 아닌 게 되는 것이다.
클리셰는 결코 쓸모없는 존재가 아니다. 때로 이것은 제작진이 편의를 용인하게 한다. 그리고 진부함은 그 나름대로의 매력이 있다. 관객들도 오히려 잘 차용된 클리셰에 매력을 느낀다. 잘 만들어진 클리셰는 재미와 즐거움을 선사하기도 한다. 언제나 그렇듯이 오용과 남용이 문제인 것이다 클리셰도 적당히 사용하고 그것을 클리셰로써 받아들이면 보다 재밌게 영화나 드라마를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즉, 클리셰를 독창성, 진실성 등과 결부시켜 생각하지 말고, 클리셰 그 자체로 받아들이고 즐기라는 것이다.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0.12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47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