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세전'을 통한 지식인 사회 고찰 - 주인공 이인화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1. 문제제기 및 연구방법론
1) 문제제기
2) 연구방법론
2. 연구사검토 및 연구의 의의

Ⅱ. 본문
1. ‘만세전’ 줄거리
2. '이인화‘가 보이는 지식인 양상
1) 현실을 객관적으로 분석함
2) 감정에 치우치지 않는 냉철한 이성을 지님
3. ‘이인’가 지닌 지식인 양상의 한계
1) 비전의 부재와 허무주의적 귀결
2) 사랑의 불가능
3) 자아성찰의 부족
4) 자기합리화

Ⅲ.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않으면서 하는 공부를 내던지고 보러 간다는 것이 僞善이다. 더구나 여기 술 먹으러 오는 것을 무슨 큰 죄나 짓는 것같이 망설이는 것부터 큰 모순이다. 목숨 하나가 없어진다는 것과 내가 술 먹는다는 것과는 별개 문제다. 그러면서도 ‘내 처’가 죽어가는데 술을 먹다니? 오죽지 않은 ‘양심’이 머리를 들지만, 그것이 진정한 양심이라기보다도 觀念이란 面이 목을 매서 끄는 것이다. 사람은 관념의 노예가 되는 수가 많다.가식의 도덕적 관념에서 해방되는 거기에서 참된 생명을 찾는 것이다. 사랑치 않으면 눈도 떠보지 않을 것이요, 사랑하고 싶으면 이렇게 해도 상관 없는 것이란다!”
하며 나는 벌떡 일어나서, 정자의 어깨를 짚고 꾸부리고 섰던 P자를 껴안으며 키스를 하려는 흉내를 내었다.(이하 省略) Ibid., p.89-90.
이인화가 어찌하여 결혼을 하게 되었는지는 나와있지 않으나, 적어도 부부인 이상 상대방에게 사랑을 가지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결혼은 단순한 계약관계가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인화는 부인에게 사랑을 가지기 위해 노력하지도 않고, 그러지 못하는 자신을 반성하지 않는다. 부인을 사랑하지 않는 것 자체가 잘못임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 잘못은 인식하지 못한 채 그러한 상황을 당연히 일어날 수 있는 전제로 삼고, 이에 구속받지 않으려 한다. 왜 사랑하지 못하는가에 대한 성찰 없이 자신은 부인을 사랑하지 않으므로 가식적으로 슬퍼할 이유가 없다고 합리화하는 것이다.
다음은 위에서 인용하였던 <주석 13>에 이어지는 내용이다. 이인화는 목욕탕에서 일인들이 조선인을 멸시하고 비웃는 대화를 나누는 것을 듣고, 모욕감과 분노를 느끼지만 그러한 모욕감도 어느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여기까지는 어느정도 현실을 객관적으로 인식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그 후에 그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지금도 목욕탕 속에서 듣는 말마다 귀에 거슬리지 않는 것이 없지마는, 그것은 될 수 있으면 많은 조선사람이 듣고 오랜 몽유병에서 깨어날 기회를 주었으면 하는 생각을 자아낼 뿐이다.(이하 省略) Ibid., p.111.
조선인에게 자극이 되기 위해 어느정도의 모욕감도 어느 정도 필요하다는 말 자체는 어느정도 일리가 있다고 수긍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미 조선인은 나라를 빼앗겼다는 사실 자체만으로 굉장히 많은 피해를 입고 있으며 멸시와 모욕을 당하고 있다. 그것은 자신이 일본에서 유학생으로 지내면서도 절실히 느끼는 바일 것이며, 조선인 역시 모욕감을 미처 느끼지 못하여 수수방관하고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한 현실 또한 인식하고 있을 그이지만, 위와 같은 상황에서 잘못을 바로잡기 위해 스스로 나설 용기가 그에게는 없다. 따라서 그저 합리화시키는 소시민적 자세로 물러나는 것이다.
Ⅲ. 맺음말
염상섭의 ‘만세전’의 주인공 이인화에게 나타난 지식인의 양상은 크게 두 가지로 정리된다. 하나는 현실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능력을 갖추었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감정에 치우치지 않는 냉철한 이성을 지녔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지식인의 양상은 많은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뛰어난 분석력이 비전의 부재와 허무주의적 귀결로 이어질 때, 그러한 분석력으로부터 인식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은 의의를 잃게 된다. 또 이성과 감정의 중용을 택하지 못한 채 냉철한 이성만을 극단적 강조하게 되면 그러한 지식인은 사랑을 할 수 없게 되며 이 문제는 ‘仁’이라는 덕목의 결핍으로 이어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아무리 뛰어난 능력을 갖춘 지식인이더라도 치열한 자아성찰을 결여한 채 자기합리화를 일삼게 되면 그는 진정한 지식인으로 존재할 수가 없다고 하겠다.
우리 사회의 모든 지식인이 위와 같은 양상을 지니고 있다면 지금의 우리 사회는 존재할 수가 없었을 것이다. 외적으로나 내적으로 우리 사회는 조금씩 더 성숙하고 발전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운데에 지식인에 대한 비판과 성찰의 목소리가 공존하고 있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인간으로서 가질 수 있는 많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쉴새없이 노력하는 수많은 지식인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까지 사회를 반영하는 문학, 소설의 인물분석을 통해 지식인 사회의 한 양상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았다. 이인화가 처해 있는 구체적인 상황이 현대의 지식인에게 정확히 맞지는 않지만, 이인화는 현대 지식인의 도화선이 되었는지도 모를 20세기 초 지식인의 한 부류를 대표하고 있으며, 이인화에게서 찾을 수 있는 양상과 한계 역시 현재 지식인에게서 일부분 찾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우리가 극복해야 할 한계점들을 확인하고 또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야겠다.
<참고문헌>
강준만, 한국 지식인의 주류 콤플렉스, 서울 : 개마고원, 2000.
고은, 韓國의 知識人, 명문당.
김미지, 1920-30년대 염상섭 소설에 나타난 연애의 의미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2001.
신영덕, 1920-30年代 廉想涉 小說 硏究 : 作家의 現實認識을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석사논문, 1987.
유병석, 廉想涉 前半期 小說 硏究 : 現實認識態度를 中心으로,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1985.
이경희, 廉想涉 作品의 文體論的 考察, 연세대학교 석사논문, 1976.
정임식, 신지식인이 21세기를 이끈다, 책이 있는 마을.
정재왈, 세계지식인 지도 : 21세기 지식인은 어디에 서 있는가, 서울 : 산처럼, 2002.
최영, 근대한국의 지식인과 그 사상, 문학과 지성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현대사연구소 편, 격동기 지식인의 세 가지 삶의 모습, 성남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현대사연구소, 1999.
한완상, 지식인과 현실인식, 서울 : 청년사, 1986.
Debray, Regis, 강주헌 옮김, 지식인의 종말, 예문.
*목차
Ⅰ. 머리말
1. 문제제기 및 연구방법론
1) 문제제기
2) 연구방법론
2. 연구사검토 및 연구의 의의
Ⅱ. 본문
1. ‘만세전’ 줄거리
2. '이인화‘가 보이는 지식인 양상
1) 현실을 객관적으로 분석함
2) 감정에 치우치지 않는 냉철한 이성을 지님
3. ‘이인’가 지닌 지식인 양상의 한계
1) 비전의 부재와 허무주의적 귀결
2) 사랑의 불가능
3) 자아성찰의 부족
4) 자기합리화
Ⅲ. 맺음말
*참고문헌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0.14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53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