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채호의 생애
2. 신채호의 역사관과 역사인식
3. 신채호의 독립운동사상
4. 신채호 독립사상의 특징
5. 결론
2. 신채호의 역사관과 역사인식
3. 신채호의 독립운동사상
4. 신채호 독립사상의 특징
5. 결론
본문내용
조되었고 이전 구한말 애국 계몽 운동기에도 일부 그 내용을 찾을 수 있다. 이 점은 그가 신민회의 주요회원으로서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하던 시기에도 의병운동을 지지하고 성원한 점이나 그가 애국 계몽사상의 일부로 무장쌍전론과 무적양성론을 전개한 점이다. 또한 한국역사의 3걸로 을지문덕, 이순신, 최영 등 무장을 선택하여 역사적 전기를 썼으며, 독립군 기지 창건을 목적으로 망명하는 신민회 간부들과 일행이 되어 망명한 사실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둘째로, 절대 완전 독립론을 들 수 있다. 신채호가 국내 일부의 자치론을 단호하게 조선 민족의‘적’이라고 규정하고 이를 분쇄하는 투쟁에 온 민족이 궐기할 것을 호소한 것은 그의 절대독립론에 대한 신념을 단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증거이다. 이후에도 신채호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자치론을 통렬히 비판하고, 일제가 온갖 착취와 살인을 자행하며, 건국 혁명 독립 자유를 억압하기 위해 탄압하는데도 자치권 참정권을 준다고 하며 속는 인사들을 개탄했다. 따라서 이승만, 정한경 등이 3.1운동 직전에 미국에 제출한 조선의 국제연맹 위임통치 청원도 비판했다. 신채호는 이승만 등의 위임통치청원이 조국의 절대독립을 포기하고 조국을 일본의 식민지로부터 미국의 식민지로 바꾸는데 불과한 매국행위라고 규정했던 것이다. 그가 위임통치 청원을 반대한 이유는 절대독립 완전독립에서 한 발이라도 물러서면 노예의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오직 절대독립 완전독립을 위한 혈전에 동포의 힘을 단합시켜야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한 위인통치의 논리를 허용하면 독립운동노선에 여러 갈래의 혼선이 생기어 동포들을 미혹에 빠뜨리고, 독립운동을 하면서 독립을 포기한 위임통치를 요청하면 외국인에게 조선 민족의 진의가 어디에 있는가를 회의하게 하는 꼴이라는 것이다.
5. 결론
신채호의 이러한 민족주의적 사상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우리 민족의 이익과 입장에서 해석하는 민족적 도덕론을 내세웠으며, 그의 항일 민족 독립운동도 바로 그의 고대사 인식에서 출발해 애국심 교육, 국수보전론, 민족 자아의 발견 등을 통해 드러난 그의 인식론에 토대하여 전개되었다.
그의 역사관과 현실인식론에 전혀 문제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국수주의적 경향을 띤 그의 사론은 과학성이 결여된 부분이 없지 않다고 할 수 없으며, 특히 식민사관을 구체적으로 공박한 것은 큰 성과이나 사료 취급에 있어 정밀성이 떨어진 점도 그가 서술한 글의 내용이나 체계 속에서 발견된다.
또한, 정세의 변화를 읽어내는데 있어 당대에는 출중하였으나 세계사의 보편적 흐름에 지나치게 국수주의적으로 대응했고 제국주의체제를 세계체제로 전면적으로 파악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결국 이러한 제한적 사관과 현실관은 생의 후반 항일 민족독립운동에 전면적으로 복무한 그에게 유연성을 결여시켰는지도 모른다.
비록 신채호의 사상이 항일 민족독립운동에 있어 주류적 위치를 차지하지는 못했으나 우리 민족의 고유한 것에서 출발한 독특한 민족주의 역사관과 독립사상은 통일 한국을 준비하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절대 작지 않다고 하겠다.
<참고자료>
단재 신채호의 생애는 『韓國思想全集』(권6,『韓國의 近代思想』, 三省出版社, 1981)에 수록된 '申采浩 年譜' (pp. 595∼598)에 의거하여 기술하였음.
申一澈, 『申采浩의 民族史』, 『韓國의 近代思想』, 三省出版社, 1981, pp. 328∼329
權寧珉, 『韓國 近代文人 大事典』, 亞細亞文化社, 1990, p. 615
權寧珉, 『한국민족문학론 연구』, 민음사, 1988,
김인덕외, 『독립운동 사상 연구:신채호를 중심으로』, 보훈연수원, 1996
임중빈, 『단재 신채호 일대기』, 범우사, 2003
둘째로, 절대 완전 독립론을 들 수 있다. 신채호가 국내 일부의 자치론을 단호하게 조선 민족의‘적’이라고 규정하고 이를 분쇄하는 투쟁에 온 민족이 궐기할 것을 호소한 것은 그의 절대독립론에 대한 신념을 단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증거이다. 이후에도 신채호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자치론을 통렬히 비판하고, 일제가 온갖 착취와 살인을 자행하며, 건국 혁명 독립 자유를 억압하기 위해 탄압하는데도 자치권 참정권을 준다고 하며 속는 인사들을 개탄했다. 따라서 이승만, 정한경 등이 3.1운동 직전에 미국에 제출한 조선의 국제연맹 위임통치 청원도 비판했다. 신채호는 이승만 등의 위임통치청원이 조국의 절대독립을 포기하고 조국을 일본의 식민지로부터 미국의 식민지로 바꾸는데 불과한 매국행위라고 규정했던 것이다. 그가 위임통치 청원을 반대한 이유는 절대독립 완전독립에서 한 발이라도 물러서면 노예의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오직 절대독립 완전독립을 위한 혈전에 동포의 힘을 단합시켜야 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또한 위인통치의 논리를 허용하면 독립운동노선에 여러 갈래의 혼선이 생기어 동포들을 미혹에 빠뜨리고, 독립운동을 하면서 독립을 포기한 위임통치를 요청하면 외국인에게 조선 민족의 진의가 어디에 있는가를 회의하게 하는 꼴이라는 것이다.
5. 결론
신채호의 이러한 민족주의적 사상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우리 민족의 이익과 입장에서 해석하는 민족적 도덕론을 내세웠으며, 그의 항일 민족 독립운동도 바로 그의 고대사 인식에서 출발해 애국심 교육, 국수보전론, 민족 자아의 발견 등을 통해 드러난 그의 인식론에 토대하여 전개되었다.
그의 역사관과 현실인식론에 전혀 문제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국수주의적 경향을 띤 그의 사론은 과학성이 결여된 부분이 없지 않다고 할 수 없으며, 특히 식민사관을 구체적으로 공박한 것은 큰 성과이나 사료 취급에 있어 정밀성이 떨어진 점도 그가 서술한 글의 내용이나 체계 속에서 발견된다.
또한, 정세의 변화를 읽어내는데 있어 당대에는 출중하였으나 세계사의 보편적 흐름에 지나치게 국수주의적으로 대응했고 제국주의체제를 세계체제로 전면적으로 파악하지 못한 아쉬움이 있다. 결국 이러한 제한적 사관과 현실관은 생의 후반 항일 민족독립운동에 전면적으로 복무한 그에게 유연성을 결여시켰는지도 모른다.
비록 신채호의 사상이 항일 민족독립운동에 있어 주류적 위치를 차지하지는 못했으나 우리 민족의 고유한 것에서 출발한 독특한 민족주의 역사관과 독립사상은 통일 한국을 준비하는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절대 작지 않다고 하겠다.
<참고자료>
단재 신채호의 생애는 『韓國思想全集』(권6,『韓國의 近代思想』, 三省出版社, 1981)에 수록된 '申采浩 年譜' (pp. 595∼598)에 의거하여 기술하였음.
申一澈, 『申采浩의 民族史』, 『韓國의 近代思想』, 三省出版社, 1981, pp. 328∼329
權寧珉, 『韓國 近代文人 大事典』, 亞細亞文化社, 1990, p. 615
權寧珉, 『한국민족문학론 연구』, 민음사, 1988,
김인덕외, 『독립운동 사상 연구:신채호를 중심으로』, 보훈연수원, 1996
임중빈, 『단재 신채호 일대기』, 범우사, 2003
추천자료
경남 지역의 독립 운동가
한국 독립 운동사
독립 운동의 전개
민족의 독립 운동
[육당 최남선][기미독립선언서][계몽운동][선구자적 관점][친일론적 관점]육당 최남선의 생애...
산미증식계획수업지도안(모의수업 세안 & 약안 & 학습활용자료) - Ⅲ. 민족 독립 운동...
독립협회와 대한제국, 서재필, 독립협회 구성, 독립협회 활동 변화, 자주 국권 운동, 자유 민...
[기념일, 환경의날, 4.19혁명]환경의날기념일, 4.19혁명기념일, 5.18민주화운동기념일, 대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가치, 정부형태론,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국무령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군...
[한국근현대사]한국근현대사와 조선후기, 한국근현대사와 서원철폐, 한국근현대사와 갑신정변...
아프리카의 민족운동 (에티오피아의 독립, 줄루족, 사모리 투레)
호찌민 (베트남 독립 운동)
[한국민족운동사] 1930년대 이후의 항일무장투쟁 단체 - 한국독립군,한국독립군의 창설과 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