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교육의 확산과 시사점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가상교육제도의 구조

Ⅲ. 가상교육의 확산 추세

Ⅳ. 외국 가상교육의 동향

Ⅴ. 가상교육 확산의 시사점

본문내용

육이 사실상 기존교육과 같은 것이 되려면, 그것이 제공하는 교육의 질적 수준이 기존교육과 같거나 아니면 그 이상이어야 한다. 이런 점에서 보면 가상교육에 속하는 학교, 프로그램들의 질적 수준의 제고를 위한 대책이 중요하다.
3. 가상교육 추진방향
지금까지 필자는 가상교육의 개념을 정립하고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가상교육의 확산 추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가상교육의 성공적 정착을 이루고 있는 외국의 사례를 알아보고 앞으로 가상교육의 확산에 따른 시사점을 생각해보았다. 가상교육의 발전은 가상교육의 정책을 수립하거나 직접 가상교육체제를 운영하는 개인과 단체, 그리고 가상교육을 이용하려는 학습자들에 의하여 이루어 질 수밖에 없으므로 이들을 위하여 향후 가상교육의 운영에 관한 몇가지 제안을 하려 한다.
첫째, 가상교육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정책 당국은 어떤 점에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인가? 정책 당국은 무엇보다도 다양한 가상교육제도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관련성을 맺고 발전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예컨대 방송통신교육체제와 학점은행제, 독학에 의한 학위취득제와 시간제 등록생제도는 가상교육제도의 성공을 위해서 유기적 통합적으로 활용되어야 한다. 그렇지 못하고 각 제도들이 따로 따로 운영되면 가상교육체제 자체의 효율성이 낮아지고 결과적으로 그 체제가 위축되며 낭비가 초래될 가능성이 있다.
이와 더불어 정책당국이 노력해야 할 부분은 가상교육의 질을 철저하게 보장하는 것이다. 가상교육의 질이 기존 일반교육 수준에 비하여 현저히 낮게 되는 경우에는 이미 그것은 가상교육이라고 부를 수 없다. 심지어 그 낮은 질적 수준을 당연시한다면 가상교육은 그 본래의 기능 즉, 표면적 형태는 일반교육과 다를지라도 사실상은 일반교육이 수행하는 기능을 동일하게 혹은 더 이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취지가 퇴색될 것이며 제도 자체의 존재의의를 상실하게 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또 다른 방계학제가 될 것이다.
향후에는 가상교육체제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취학기회를 놓친 나이많은 사람들뿐만 아니라 취학적령자들도 많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경우에 가상교육체제가 제공하는 교육의 질적 수준이 일반교육에 비하여 낮다면 결국 전체 교육 수준의 질적 저하를 초래할 수밖에 없다. 외국에서 가상대학 등의 질적 수준을 일반에 비하여 손색없도록 할 수 있는 장치들을 운영하고 있는 것은 그러한 위험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의 질을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가상교육기관의 설립이나 학습과정의 인정, 교수요원에 대한 자격관리 등에 대한 성급한 제도화는 금물이며 중장기적으로 단계적으로 이를 추진해가는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기존 교육기관 특히 기존 일반대학이 가상교육을 운영하려고 하는 경우에 그 운영책임자들이 중요하게 고려할 것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 가장 중요시해야 할 것은 가상 교육체제의 특성을 살리지 못하고 기존 교육기관의 형태로 되는 현상을 최대한 억제해야 한다. 출발할 때는 가상교육을 시도했다가 그것이 점차 퇴색되고 일반 교육기관과 같은 모습으로 바뀌게 되면 이는 시도하지 않았던 경우보다 더 못하다. 뿐만 아니라 가상교육의 질적 수준을 유지하는 것도 가상교육을 직접 운영하는 책임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셋째, 기존교육기관이 아니면서 새로이 가상교육을 운영하고자 하는 기관이나 단체들의 경우이다. 기존 일반교육기관과는 전혀 다른 형태로 교육을 실시하게 되는 만큼 학습과정의 개설, 교육기관의 설립, 교수요원의 자격관리와 임용, 질적 보장을 위한 평가 등에 관하여 충분히 연구하고 시작해야 한다. 검증되지 못한 프로그램, 교육기관들이 가상교육이라는 이름으로 우후죽순처럼 난립하는 경우에는 국가 교육제도의 혼란은 물론, 가상교육제도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들에 대해 엄청난 시간적 경제적 피해를 줄 것이다. 새로이 가상교육을 운영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중요시해야 할 또하나의 사항은 효율적인 경영을 통한 교육비의 최소화이다. 가상교육이 대두되게 된 배경의 하나는 기존 일반 교육제도의 비용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도 있는 만큼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의 교육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해야 한다.
넷째, 가상교육체제를 이용하려는 학습자의 경우이다. 학습자의 입장으로서는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한의 학습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방법에 가장 관심이 많으리라 생각된다. 다만 각 학습자들은 질이 보장되지 못하는 학력이나 학위는 사실상 아무 쓸모가 없다는 것을 감안하여야 할 것이다. 질적 보장없는 가상교육은 학습자에게도 사회에게도 아무 쓸모가 없을 것이다. 학습자는 또한 자신의 학습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학습과정을 신중하게 선택하여 꾸준하게 학습을 받도록 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 고 문 헌
교육개혁위원회,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방안'(보도자료II, 1995.5.3.)
교육부 가상대학 연구팀 자료, 가상대학 설립 운영에 관한 공청회, 1997년 6월 30일.
김수일, 독학학위취득제도 개선연구, 국립교육평가원, 1995. 12.
김신일, '방송통신고등학교 교육 20년의 회고와 전망', 한국교육개발원, '93 방송통신고등학교 워크숍: 방송통신고등학교 교육의 내실화 방안 탐색, 1993.10.
김영철외, 초고속통신기반의 교육적활용을 위한 교육법제도정비방안 연구, KEDI CR 95-27.
일본 문부성, 학교기본조사보고서(초중등교육기관 및 고등교육기관 편), 평성8년.
한국방송통신대학, 방송대학 20년사(1972-1992), 20쪽.
황대준,'가상대학의 개념과 사례 소개', 교육부, 가상대학 설립운영에 관한 공청회, 1997.6.30.
The Open University, Welcome to Britain's largest teacheing institution. AT URL 1997.10.31.
Western Governor's Associations Western Governors University, Projects.AT URL< http:// www.wiche. edu/telecom/projects/projwgu.htm. 1997.10.31.
  • 가격1,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10.24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67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