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부
1. 문제제기(프로그램실행 동기) /
2. 프로그램 주제(제목) /
3. 프로그램의 방향
4. 프로그램의 목표
5. 프로그램의 운영형태
6. 프로그램에 응용된 상담기법
7. 프로그램 기대효과
8. 프로그램 대상 /
9. 프로그램 목표 회기
10. 프로그램 실행 장소와 시간
11. 프로그램 구성원(그룹)
12. 준비물
13. 협조사항
14. 진행시 필수 유의사항
15. 회기별 진행 일정 / 4p
16. 프로그램 진행 시 전체 진행자(상담자)가 주의해야 할 사항
17. 회기 진행자 및 전체 진행자(상담자)가 숙지해야 할 사항
2부
1회기(도입단계) : 올바른 성가대/원의 가치관 정립을 위한 집단상담 오리엔테이션 /
2회기(전개단계) : 자기이해하기 /
3회기(전개단계) : 자기이해 및 문제인식하기 /
4회기(종료단계) : 문제해결 및 새로운 가치관정립하기 /
1. 문제제기(프로그램실행 동기) /
2. 프로그램 주제(제목) /
3. 프로그램의 방향
4. 프로그램의 목표
5. 프로그램의 운영형태
6. 프로그램에 응용된 상담기법
7. 프로그램 기대효과
8. 프로그램 대상 /
9. 프로그램 목표 회기
10. 프로그램 실행 장소와 시간
11. 프로그램 구성원(그룹)
12. 준비물
13. 협조사항
14. 진행시 필수 유의사항
15. 회기별 진행 일정 / 4p
16. 프로그램 진행 시 전체 진행자(상담자)가 주의해야 할 사항
17. 회기 진행자 및 전체 진행자(상담자)가 숙지해야 할 사항
2부
1회기(도입단계) : 올바른 성가대/원의 가치관 정립을 위한 집단상담 오리엔테이션 /
2회기(전개단계) : 자기이해하기 /
3회기(전개단계) : 자기이해 및 문제인식하기 /
4회기(종료단계) : 문제해결 및 새로운 가치관정립하기 /
본문내용
용효과
네 가지 강화물들은, 타겟행동 이후 즉각적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것들이다.
5. 실제 적용 후 효과 : 위의 상황들에 근거하여 첫 적용한 결과, 강화 행동 이후에 이어질 강화물로 인해 문서화 작업을 더욱 집중 집중적으로 할 수 있었고, 구체적 행동을 설정함으로 집에 온 이후 쓸데없이 잔 시간을 보내지 않고 즉각 타겟행동을 실행할 수 있었고, 강화물을 다양하게 함으로 그 보상에 대한 만족도가 더욱 컸으며, 결핍의 방법을 응용함으로, 문서화 중간의 사념과 시간 끊김 등을 없앨 수 있었다.
2. <벌 : 부적절한 행동 제거하기> 적용
1. 타겟 행동 : 매 주 토요일(강의가 끝나고 집에 돌아오는 시간인) 밤 9시부터, 그 날 배운 모든 강의의 내용과 강의 중 내 삶에 적용할 것과 특별히 느껴진 것들을 문서화하여 정리한다.
2. 1주일 평가표
날 자
평 가
특 이 사 항
3월24일
4
타겟행동 선정하기
3월31일
5
정적강화 적용하기
- 평가 기준 : 5점 만점을 기준, 1점씩 차감 방식.
(행동 적용 시작 미루어졌을 시 : -1점 / 총 3강의 중 1강의 미 요약,적용 시 : 각-1점 / 행동 적용일 미루어졌을 시 : -4점 / 강의요약 및 적용 문서화 작업 미흡 시 : -2점, 행동적용 시간 중 다른 행동 했을 시 : -1점)
3. 적용 내용
3월 24일 : 체크리스트 미 작성으로 -1점 차감
3월 31일 :
1) 구체적 행동 : 시간과 공간, 해야 할 행동을 구체적으로 설정해 놓음으로, 미리 핸드폰에 오늘의 일정 및 알람을 지정해놓아서 시간 전부터 해야 할 행동을 계속 인지할 수 있었고, 충분히 여유 있게 타겟 행동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었다. 또한 타겟 행동을 위해 강의 내용을 보다 세밀하게 메모할 수 있었다.
2) 강화물/확립조작 : 선택했던 4가지의 강화물 중, ‘샤워하기’는 타겟 행동을 하던 안하던 매일 해야 하는 일상의 행동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강화물이 되지 못했다. 소모 강화물(커피마시기)의 최대 효과를 위해 강의 끝난 후부터 집에 올 때까지 의식적으로 커피를 마시지 않으려 노력하였기에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있었다.조작강화물(핸드폰/인터넷)은 매일의 습관의 일시적 단절이었기 때문에 답답함이 컸지만 참아낼 수 있었다.
4. <벌 : 부적절한 행동 제거하기> 적용
1) 타겟 행동을 하는 데 있어서 부적절한 행동 찾기
- 행동적용 시간 중에 방 문 밖으로 나가 다른 행동하기(물을 마시거나, 전화를 받는 등)
- 책상 서랍 안에 넣어둔 핸드폰을 꺼내 문자나 부재중통화 등을 확인하기
- 강화물로 제시되어야 할 행동을 타겟 행동 전에 하기(커피마시기, 핸드폰만지기, 인터넷하기)
- 딴 생각하기(잡념에 빠지기)
2) 적용할 벌칙의 유형
- 신체적인 벌칙 : 부적절한 행동 인지, 발견 시 팔굽혀펴기 10회
- 반응대가 : 벌금적용하기(1행동 건당 500원). 이 반응대가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정적강화의 강화물로 타겟 행동 평가 5점 시 3000원 저축을 새로 시작, 적용하였다. 저축된 돈은 월말 핸드폰/인터넷 요금을 내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3) 대안행동 찾기
- 핸드폰은 타겟 행동을 할 동안 책상서랍 안에 무음상태로 넣어두는 것을 습관화한다.
3. <조형법 : 새로운 행동 만들기> 적용
1. 타겟 행동 : 매 주 토요일(강의가 끝나고 집에 돌아오는 시간인) 밤 9시부터, 그 날 배운 모든 강의의 내용과 강의 중 내 삶에 적용할 것과 특별히 느껴진 것들을 문서화하여 정리한다.
2. 1주일 평가표
날 자
평 가
특 이 사 항
4월 7일
1
행동적용일 하루 미룸으로 -4점
- 평가 기준 : 5점 만점을 기준, 1점씩 차감 방식.
(행동 적용 시작 미루어졌을 시 : -1점 / 총 3강의 중 1강의 미 요약,적용 시 : 각-1점 / 행동 적용일 미루어졌을 시 : -4점 / 강의요약 및 적용 문서화 작업 미흡 시 : -2점, 행동적용 시간 중 다른 행동 했을 시 : -1점)
3. 적용 내용
정적강화 : 강화물 중 샤워(강화물로써의 효과 미흡)를 없애고, 저축을 적용(5점 시 10000원. -1점당 1000원 차감)하여 6000원 적립. 결핍의 방법을 통한 강화물의 효과 지속(커피). 평가점수 5점.
벌 : 개인적인 사유로 타겟 행동일 당일 지방에 내려가게 되어, 적용을 하루 늦추게 되었다. 적용일을 미루었다는 마음이 심한 부담으로 다가왔고, 적용시간엔 초조함도 느낄 수 있었다.
행동적용 시간 전에 미리 방문 앞에 <공부중입니다. 문을 열지 말아주세요>란 메모를 붙여놓아, 가족들이 그 시간에 내가 복습과 정리를 한다는 것을 알고 협조할 수 있게 하였다. 공부 시작 전에 핸드폰의 무음상태를 확인하고, 잡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집중에 도움이 되는 클래식음악을 최저볼륨상태로 놓고 집중도를 높여보려 시도하였다. 문서화 중에 잡념에 빠졌다고 인지한 순간이 총 3번 있었으며, 벌칙으로 팔굽혀펴기를 매 인지 때마다 10회씩 하였고, 500원의 벌금을 적용하였다. 첫 인지 시의 잡념시간과 마지막 인지 시의 잡념시간이 차이가 생김(나중이 더 짧아짐. 즉시인지)으로 벌에 대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4. <조형법 : 새로운 행동 만들기> 적용
1) 최종행동(종결행동) 선택하기 - 빈도조형법 적용(암기 시간 늘리기)
- 강의 내용 키포인트(핵심요점) 암기/숙지하기
2) 강화물 : 조형법 실행 시 3000원 저축(이 전의 적용행동 강화물 저축액과 합쳐서 월말 핸드폰요금 과 인터넷요금으로 사용).
3) 초기 계획(종결행동까지의 단계 계획) - 단계 이전은 2주 간격으로 실행.
1단계 : 포스트잇으로 핵심요점 메모하여 책상 앞 메모판에 부착한 뒤, 3번 천천히 또렷하게 소리 내어 읽기(마지막 한번은 눈을 감고 외워보기)
2단계 : 5번 천천히 또렷하게 소리내어 읽기(마지막 한번은 눈을 감고 외워보기)
3단계 : 8번 천천히 또렷하게 소리내어 읽기(마지막 한번은 눈을 감고 외워보기)
4단계 : 10번 천천히 또렷하게 소리내어 읽기(마지막 한번은 눈을 감고 외워보기)
5단계 : 일상 활동 중에도 수시로 암기할 수 있도록, 암기수첩을 만들어 가지고 다니며 틈나는 대 로 읽기
네 가지 강화물들은, 타겟행동 이후 즉각적으로 보상받을 수 있는 것들이다.
5. 실제 적용 후 효과 : 위의 상황들에 근거하여 첫 적용한 결과, 강화 행동 이후에 이어질 강화물로 인해 문서화 작업을 더욱 집중 집중적으로 할 수 있었고, 구체적 행동을 설정함으로 집에 온 이후 쓸데없이 잔 시간을 보내지 않고 즉각 타겟행동을 실행할 수 있었고, 강화물을 다양하게 함으로 그 보상에 대한 만족도가 더욱 컸으며, 결핍의 방법을 응용함으로, 문서화 중간의 사념과 시간 끊김 등을 없앨 수 있었다.
2. <벌 : 부적절한 행동 제거하기> 적용
1. 타겟 행동 : 매 주 토요일(강의가 끝나고 집에 돌아오는 시간인) 밤 9시부터, 그 날 배운 모든 강의의 내용과 강의 중 내 삶에 적용할 것과 특별히 느껴진 것들을 문서화하여 정리한다.
2. 1주일 평가표
날 자
평 가
특 이 사 항
3월24일
4
타겟행동 선정하기
3월31일
5
정적강화 적용하기
- 평가 기준 : 5점 만점을 기준, 1점씩 차감 방식.
(행동 적용 시작 미루어졌을 시 : -1점 / 총 3강의 중 1강의 미 요약,적용 시 : 각-1점 / 행동 적용일 미루어졌을 시 : -4점 / 강의요약 및 적용 문서화 작업 미흡 시 : -2점, 행동적용 시간 중 다른 행동 했을 시 : -1점)
3. 적용 내용
3월 24일 : 체크리스트 미 작성으로 -1점 차감
3월 31일 :
1) 구체적 행동 : 시간과 공간, 해야 할 행동을 구체적으로 설정해 놓음으로, 미리 핸드폰에 오늘의 일정 및 알람을 지정해놓아서 시간 전부터 해야 할 행동을 계속 인지할 수 있었고, 충분히 여유 있게 타겟 행동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었다. 또한 타겟 행동을 위해 강의 내용을 보다 세밀하게 메모할 수 있었다.
2) 강화물/확립조작 : 선택했던 4가지의 강화물 중, ‘샤워하기’는 타겟 행동을 하던 안하던 매일 해야 하는 일상의 행동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강화물이 되지 못했다. 소모 강화물(커피마시기)의 최대 효과를 위해 강의 끝난 후부터 집에 올 때까지 의식적으로 커피를 마시지 않으려 노력하였기에 효과를 제대로 볼 수 있었다.조작강화물(핸드폰/인터넷)은 매일의 습관의 일시적 단절이었기 때문에 답답함이 컸지만 참아낼 수 있었다.
4. <벌 : 부적절한 행동 제거하기> 적용
1) 타겟 행동을 하는 데 있어서 부적절한 행동 찾기
- 행동적용 시간 중에 방 문 밖으로 나가 다른 행동하기(물을 마시거나, 전화를 받는 등)
- 책상 서랍 안에 넣어둔 핸드폰을 꺼내 문자나 부재중통화 등을 확인하기
- 강화물로 제시되어야 할 행동을 타겟 행동 전에 하기(커피마시기, 핸드폰만지기, 인터넷하기)
- 딴 생각하기(잡념에 빠지기)
2) 적용할 벌칙의 유형
- 신체적인 벌칙 : 부적절한 행동 인지, 발견 시 팔굽혀펴기 10회
- 반응대가 : 벌금적용하기(1행동 건당 500원). 이 반응대가를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 정적강화의 강화물로 타겟 행동 평가 5점 시 3000원 저축을 새로 시작, 적용하였다. 저축된 돈은 월말 핸드폰/인터넷 요금을 내는 것으로 계획하였다.
3) 대안행동 찾기
- 핸드폰은 타겟 행동을 할 동안 책상서랍 안에 무음상태로 넣어두는 것을 습관화한다.
3. <조형법 : 새로운 행동 만들기> 적용
1. 타겟 행동 : 매 주 토요일(강의가 끝나고 집에 돌아오는 시간인) 밤 9시부터, 그 날 배운 모든 강의의 내용과 강의 중 내 삶에 적용할 것과 특별히 느껴진 것들을 문서화하여 정리한다.
2. 1주일 평가표
날 자
평 가
특 이 사 항
4월 7일
1
행동적용일 하루 미룸으로 -4점
- 평가 기준 : 5점 만점을 기준, 1점씩 차감 방식.
(행동 적용 시작 미루어졌을 시 : -1점 / 총 3강의 중 1강의 미 요약,적용 시 : 각-1점 / 행동 적용일 미루어졌을 시 : -4점 / 강의요약 및 적용 문서화 작업 미흡 시 : -2점, 행동적용 시간 중 다른 행동 했을 시 : -1점)
3. 적용 내용
정적강화 : 강화물 중 샤워(강화물로써의 효과 미흡)를 없애고, 저축을 적용(5점 시 10000원. -1점당 1000원 차감)하여 6000원 적립. 결핍의 방법을 통한 강화물의 효과 지속(커피). 평가점수 5점.
벌 : 개인적인 사유로 타겟 행동일 당일 지방에 내려가게 되어, 적용을 하루 늦추게 되었다. 적용일을 미루었다는 마음이 심한 부담으로 다가왔고, 적용시간엔 초조함도 느낄 수 있었다.
행동적용 시간 전에 미리 방문 앞에 <공부중입니다. 문을 열지 말아주세요>란 메모를 붙여놓아, 가족들이 그 시간에 내가 복습과 정리를 한다는 것을 알고 협조할 수 있게 하였다. 공부 시작 전에 핸드폰의 무음상태를 확인하고, 잡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집중에 도움이 되는 클래식음악을 최저볼륨상태로 놓고 집중도를 높여보려 시도하였다. 문서화 중에 잡념에 빠졌다고 인지한 순간이 총 3번 있었으며, 벌칙으로 팔굽혀펴기를 매 인지 때마다 10회씩 하였고, 500원의 벌금을 적용하였다. 첫 인지 시의 잡념시간과 마지막 인지 시의 잡념시간이 차이가 생김(나중이 더 짧아짐. 즉시인지)으로 벌에 대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4. <조형법 : 새로운 행동 만들기> 적용
1) 최종행동(종결행동) 선택하기 - 빈도조형법 적용(암기 시간 늘리기)
- 강의 내용 키포인트(핵심요점) 암기/숙지하기
2) 강화물 : 조형법 실행 시 3000원 저축(이 전의 적용행동 강화물 저축액과 합쳐서 월말 핸드폰요금 과 인터넷요금으로 사용).
3) 초기 계획(종결행동까지의 단계 계획) - 단계 이전은 2주 간격으로 실행.
1단계 : 포스트잇으로 핵심요점 메모하여 책상 앞 메모판에 부착한 뒤, 3번 천천히 또렷하게 소리 내어 읽기(마지막 한번은 눈을 감고 외워보기)
2단계 : 5번 천천히 또렷하게 소리내어 읽기(마지막 한번은 눈을 감고 외워보기)
3단계 : 8번 천천히 또렷하게 소리내어 읽기(마지막 한번은 눈을 감고 외워보기)
4단계 : 10번 천천히 또렷하게 소리내어 읽기(마지막 한번은 눈을 감고 외워보기)
5단계 : 일상 활동 중에도 수시로 암기할 수 있도록, 암기수첩을 만들어 가지고 다니며 틈나는 대 로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