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발전행정의 의의
1. 발전의 개념
2. 발전행정의 의의
II. 비교행정론의 한계와 발전행정론의 대두 및 발달과정
1. 비교행정론의 한계
2. 발전행정론의 대두
3. 발전행정론의 발달과정
4. 한계점
III. 비교행정론과 발전행정론의 차이점
1. 분석의 차원
2. 사회변동관
3. 합목적성의 중시
4. 행정이념
5. 행정행태
6. 연구방법론
7. 분석지침
8. 행정변수
1. 발전의 개념
2. 발전행정의 의의
II. 비교행정론의 한계와 발전행정론의 대두 및 발달과정
1. 비교행정론의 한계
2. 발전행정론의 대두
3. 발전행정론의 발달과정
4. 한계점
III. 비교행정론과 발전행정론의 차이점
1. 분석의 차원
2. 사회변동관
3. 합목적성의 중시
4. 행정이념
5. 행정행태
6. 연구방법론
7. 분석지침
8. 행정변수
본문내용
고려하는 정책분석(policy analysis)에 입각하고 있다.
8. 행정변수 : 비교행정은 행정을 종속변수로 취급하면서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중시하나, 발전행정론은 환경변동에 대한 행정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하며 독립변수의 역할을 강조한다.
구 분
비교행정
발전행정
행정이념
1950년대의 패러다임, 보편성, 일반성, 합법성, 능률성, 민주성
1960년대의 패러다임, 특정성, 전문성, 합법성, 능률성, 민주성 외에 효과성 등 강조
합목적성
정태적(static), 일반법칙의 모색
동태적(dynamic), 목표지향적
방법론적 가치관
기능주의(functionalism),체제의 특징 중시
실용주의(pragmatism), 체제의 능력 중시
변수로서의 행정
종속변수로서의 행정, 발전에 대한 비관주의, 결정론
독립변수로서의 행정, 성장에 대한 낙관주의, 임의론
이론의 성향
균형이론, 정치행정이원론
변동이론, 불균형이론, 정치행정일원론
분석지침
체제분석(SA), 경제적 합리성
체제분석+정책분석(PA), 정치적 합리성
사회변동과 행정
전이적 변화(transitional change)(선->후진국)
계획된 변화(planned change)의 행정
행정행태
행정인의 자격으로서 지식·정보의 양만을 중시
행정인의 자격으로서 지식·정보외에 쇄신·성취지향성을 요구
과학성
'개도국의 행정현실은 왜(Why) 이렇게 낙후되었는가' 하는 진단차원, 과학성 추구, 공간적 차원의 분석(국가간 비교)
'어떻게(How) 이를 극복할 것인가' 하는 처방차원, 기술성(처방성)추구, 시간적 차원의 분석(변화 유도)
<표> 비교행정과 발전행정의 차이
8. 행정변수 : 비교행정은 행정을 종속변수로 취급하면서 환경적 요인의 영향을 중시하나, 발전행정론은 환경변동에 대한 행정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하며 독립변수의 역할을 강조한다.
구 분
비교행정
발전행정
행정이념
1950년대의 패러다임, 보편성, 일반성, 합법성, 능률성, 민주성
1960년대의 패러다임, 특정성, 전문성, 합법성, 능률성, 민주성 외에 효과성 등 강조
합목적성
정태적(static), 일반법칙의 모색
동태적(dynamic), 목표지향적
방법론적 가치관
기능주의(functionalism),체제의 특징 중시
실용주의(pragmatism), 체제의 능력 중시
변수로서의 행정
종속변수로서의 행정, 발전에 대한 비관주의, 결정론
독립변수로서의 행정, 성장에 대한 낙관주의, 임의론
이론의 성향
균형이론, 정치행정이원론
변동이론, 불균형이론, 정치행정일원론
분석지침
체제분석(SA), 경제적 합리성
체제분석+정책분석(PA), 정치적 합리성
사회변동과 행정
전이적 변화(transitional change)(선->후진국)
계획된 변화(planned change)의 행정
행정행태
행정인의 자격으로서 지식·정보의 양만을 중시
행정인의 자격으로서 지식·정보외에 쇄신·성취지향성을 요구
과학성
'개도국의 행정현실은 왜(Why) 이렇게 낙후되었는가' 하는 진단차원, 과학성 추구, 공간적 차원의 분석(국가간 비교)
'어떻게(How) 이를 극복할 것인가' 하는 처방차원, 기술성(처방성)추구, 시간적 차원의 분석(변화 유도)
<표> 비교행정과 발전행정의 차이
추천자료
2011년 1학기 비교행정론 중간시험과제물 E형(미국의 행정체제의 특징)
2011년 1학기 비교행정론 중간시험과제물 D형(일본의 행정체제에서 관료제와 정치관계)
2011년 1학기 비교행정론 중간시험과제물 C형(프랑스 행정체제의 특징)
2013년 1학기 비교행정론 중간시험과제물 B형(교차사례분석의 논리에 대하여)
[비교발전행정론] 그리스 정부의 형성과 특성 경제 발전 전략
[비교발전행정론] 남아프리카 공화국 분석보고서
[비교발전행정론] 말레이시아
[비교발전행정론] 몬테네그로
[비교발전행정론] 몽골 국가분석
[비교발전행정론] 이스라엘 분석 보고서
[비교발전행정론] 인도네시아 (Indonesia)
[비교발전행정론] 우즈베키스탄의 국가발전 분석보고서
[비교발전행정론] 태국의 국가 분석 보고서
[비교발전행정론] 핀란드 국가발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