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목적
2.이론
3.실험방법
4.실험 진행 과정 및 DATA
5.계산 및 오차
6.결과 및 고찰
2.이론
3.실험방법
4.실험 진행 과정 및 DATA
5.계산 및 오차
6.결과 및 고찰
본문내용
344
|이론값-실제값| × 100
이론값
①|16°-16.5°|× 100≒3.1%
16°
②|71°-72°|× 100≒1.4%
71°
③|25°-24°|× 100≒4%
25°
④|35°-33.1°|× 100≒5.4%
35°
⑤|9°-9°|× 100≒0%
9
6.결과 및 고찰
힘 A,B의 합력 T는 이론상으로 힘 C와 크기가 같다야 한다. T값과 δ의 값을 구하고 오차를 계산했을 때 거의 모든 실험에서 오차가 크게 나왔다. 평형을 만드는 과정 자체도 까다로웠고, 50%가 넘는 오차가 나온 실험도 있어 신뢰성이 떨어진다.
오차는 도르레와 고리, 실사이에 생기는 마찰과 각도를 읽을 때 생기는 부정확성 때문에 생긴 것으로 보이며 실험에서 합성대의 평형을 맞출 때도 오차가 생긴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조금 더 정밀한 수준기를 이용했다면 오차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실험 당시 추걸이의 무게를 모두 같다고 가정하고 실험하였지만, 실제로 추걸이의 질량이 모두 다를 수 있으며, 실의 질량도 생각을 해주어야 했다.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도르래에 기름칠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번 실험은 오차의 요인들을 미리 제거하지 못해 상당한 오차가 생겼는데, 아주 미세한 것도 실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항상 미리 치밀하게 생각해서 좀 더 정밀하고 정확하게 실험을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론상의 벡터합과 실제의 벡터합을 비교해 볼 수 있어 의미가 있었고, 수학적으로 계산해서 나온 각도와 직접 작도를 통해 얻은 값의 차이도 알 수 있었다. 즉, 벡터와 힘의 관계를 심도있게 다룰 수 있었다.
|이론값-실제값| × 100
이론값
①|16°-16.5°|× 100≒3.1%
16°
②|71°-72°|× 100≒1.4%
71°
③|25°-24°|× 100≒4%
25°
④|35°-33.1°|× 100≒5.4%
35°
⑤|9°-9°|× 100≒0%
9
6.결과 및 고찰
힘 A,B의 합력 T는 이론상으로 힘 C와 크기가 같다야 한다. T값과 δ의 값을 구하고 오차를 계산했을 때 거의 모든 실험에서 오차가 크게 나왔다. 평형을 만드는 과정 자체도 까다로웠고, 50%가 넘는 오차가 나온 실험도 있어 신뢰성이 떨어진다.
오차는 도르레와 고리, 실사이에 생기는 마찰과 각도를 읽을 때 생기는 부정확성 때문에 생긴 것으로 보이며 실험에서 합성대의 평형을 맞출 때도 오차가 생긴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조금 더 정밀한 수준기를 이용했다면 오차를 줄일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실험 당시 추걸이의 무게를 모두 같다고 가정하고 실험하였지만, 실제로 추걸이의 질량이 모두 다를 수 있으며, 실의 질량도 생각을 해주어야 했다.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도르래에 기름칠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번 실험은 오차의 요인들을 미리 제거하지 못해 상당한 오차가 생겼는데, 아주 미세한 것도 실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항상 미리 치밀하게 생각해서 좀 더 정밀하고 정확하게 실험을 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론상의 벡터합과 실제의 벡터합을 비교해 볼 수 있어 의미가 있었고, 수학적으로 계산해서 나온 각도와 직접 작도를 통해 얻은 값의 차이도 알 수 있었다. 즉, 벡터와 힘의 관계를 심도있게 다룰 수 있었다.
추천자료
플라스미드 분리
[물리실험보고서]힘의 평형
gene cloning
[일반물리학실험] 자유낙하와 포물선운동 실험
[방송대]기말대비-컴퓨터과학기초
동기발전기/전동기동작원리및기동특성
탄성 표면파(SAW)의 구동원리 및 응용, 활용분야
[물리학실험] 기초역학실험
[공식][수학][물리학][공학][열역학][블랙숄즈]고등수학의 공식, 물리학의 공식과 단위, 열역...
커널회귀(Kernel Regression)
[일반물리] 충돌 및 운동량 보존 - 이 실험에서는 충돌하는 두 물체의 운동을 통하여 선운동...
신호 및 시스템 프로젝트 Filter의 주파수 응답 plotter 설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