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게 된다.
## 즉, 역 기전력,기전력크기, 고조파, 무효 순환 전류 등으로 제어기기에 고장을 가져오게 된다.##
## SPEED CONTROLLER 설치로 원할 한 운전 ##
(2) 속도 조정율
부하의 변동에 대해서는 속도 조정율이 작은 것이 좋으나, 부하 분담을 원활하게 하려면, 적당한 속도 조정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부하 분담
병렬로 접속한 발전기에 부하를 걸면, 이 부하의 유효 전력은 각 발전기가 원동기에서 받는 동력에 비례하여 분담하게 되고, 무효 전력은 각 발전기에 주어지는 여자(EXCITATION)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된다.
- 전력의 분담
(1) 무효 전력
병렬 운전되고 있는 두 발전기 G1,G2 의 전압과 위상이 같을 때,G1 발전기의 여자를 증가 시키면,두 발전기의 유기 기전력이 차이가 나므로,G1,G2 발전기 사이에는 무효 순환 전류가 흐르게 되어,G1 발전기에 대해서는 지상 전류가 되어 단자 전압을 내리게 되고,G2 발전기에 대해서는 진상이 되어 단자 전압을 올리게 되어, 두 발전기의 단자 전압은 평형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무효 순환 전류가 흐르게 되면 G1 발전기는 그만큼 무효 순환 전류가 증가하고, G2 발전기는 그만큼 무효 순환 전류가 감소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무효 전력의 분담이 변하게 된다. 즉 병렬 운전에서 발전기의 여자를 변화 시키면,무효 전력의 분담을 조정할 수 있다.
### 자동 전압 조정기 계통의 고장 등으로 과전류 계전기 동작이 불확실 할 때 발전기 코일소손 우려 ###
### 한전선로와 비상발전기 간 병렬운전 시 발전기 쪽의 여자(EXCITATION)조정에 의해 역률조정 ###
(2) 유효 전력
병렬 운전하고 있는 두 발전기 G1,G2 에서 G2 발전기의 원동기의 조속기를 조정하여 G2 발전기의 기계적 입력을 증가 시키면 G2의 유기 전압의 위상은 G1에 비하여 위상이 앞서려고 하므로, 두 발전기 사이에 동기 화력이 발생해서 G2 발전기의 부하는 증가하게 되고,G1 발전기의 부하는 감소하게 되어 부하 분담이 변하게 된다. 이 경우 선로의 주파수 및 전압을 일정 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G2 발전기에 주어진 기계적 입력만큼 G1 발전기의 기계적 입력을 G1 발전기의 조속기에 의해서 증가시켜야 한다.
즉, 병렬 운전에서 발전기 원동기의 기계적 출력을 변화 시키면,유효 전력의 분담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 원동기의 기계적 출력 변화, 연료 계통 이상 등으로 한쪽 발전기가 MOTOR가 되어
원동기 및 발전기 소손, 역 전력 계전기 불확실 동작 등으로(계전기 동작으로 미연에 사고 방지)
- 조속기의 특성과 부하 분담
병렬 운전 중에 계통의 부하가 변화하면, 부하의 분담은 조속기(GOVERNOR)의 특성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조속기의 특성을 표시하는 것으로 속도 조정율(SPEED VARIATION)이 있다.
여기서, N은 정격 출력에서의 정격 회전수,No는 조속기를 조정 하지 않고 정격 출력에서 무 부하로 하였을 때의 회전수이다. 보통 S(속도조정률)는 2 -- 3[%] 정도이며, 보상기에 의해서 S의 값에 따라서 속도 부하 특성 곡선의 기울기가 결정되는데 S의 값이 작을 때에는 속도 변화에 따르는 부하의 변화가 너무 커서 운전이 불안정하게 된다. 각 발전기의 속도 조정율이 상이하여 속도 특성이 위의 그림과 같이 표시될 때 이것을 병렬 운전하면 두 발전기의 주파수가 같다는 것이 필요조건 이므로,각 발전기의 부하 분담 은 정격 부하에서 일치하나, 부분 부하에서는 그림과 같이 용량에 비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발전기의 병렬 운전에서는 어떤 부하에서나 각 발전기의 용량에 비례하는 부하가 분배 되자면 속도 조정율이 같아야 한다.
●난조
-조속기의 특성과 부하 분담
난조의 정도가 약한 경우에는 동기화력의 변동에 따르는 주파수계, 전류계 등의 지침이 약간 떨리는 정도이며, 정격치의 몇%범위 내이면 운전하는데 큰 지장은 없으나, 심한 경우에는 발전기 자체가 동기 속도 부근에서 진동하게 되어 동기화력도 커지고, 주파수, 전류, 전력이 크게 변화하여 동기를 벗어나(탈조 현상),정지하게 된다.
난조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1) 원동기의 조속기의 감도가 너무 예민한 경우
(2) 원동기 회전력에 고조파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GOVERNOR 특성변화 & BACK POWER유입등..)
(3) 전기자 회로의 저항이 너무 큰 경우
● 난조의 방지책
(1) 회전자의 관성 J 를 적당하게 하여 회전자의 고유 주파수를 난조의 원인인 원동기의 강제 진동의 주파수와 차이가 나게 한다.
(2) 제동 권선(DAMPER)을 설치한다.(이 권선은 발전기 제작 시 설치하였으리라 생각함)
(3) 역 기전력 흡수 장치 설치(바리스터 또는 TNR)
(4) 발전기 단독 운전 시 SPEED CONTROLLER만 설치필요
(5) 병렬 운전 시 SPEED CONTROLLER & LOAD SHARING 장치 설치필요
### 난조, 항은 ENGINE 소손 및 GENERATOR 제어부분 쪽의 고장을 많이 가져 올수 있다
### GEN. 병렬운전 시 ENG. 과 ENG. 사이에 전기적으로 COUPLING 되어있어 VIBRATION 및 CYCLE의 주기로 인하여
GOVERNOR POWER가 약하며 DAMPING 역할이 잘되지 않아 ENG. 과 ENG. 사이에 주기적으로 회전속도에 고조파성분이 발생하여 M.S.B.D의 KW METER가 심하게 진동하며 불안정한 전력공급이 되고 LOW LOAD에서 REVERSE POWER RELAY 동작하여 차단기 TRIP이 되고, 또한 重(HEAVY LOAD)부하에서는 안정적으로 전력이 공급되지만 갑자기 LOW LOAD로 부하가 변화 시 ENG. 소손의 우려가 있습니다.
● 제어 및 보호방식
1) 보호 방식
발전 설비의 보호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보호 장치는 아래와 같다.
(1) 과속도 보호 장치 : 정격 회전의 115[%] 이상에서 동작한다.
(2) 냉각수의 단수 또는 온도 상승 경보회로
(3) 과전압, 과전류 보호 장치,
(4) 역기전력 보호 장치 (병렬 운전 시 설치 필요)
(5) LO 압력 저하 시 엔진 STOP 회로
## 즉, 역 기전력,기전력크기, 고조파, 무효 순환 전류 등으로 제어기기에 고장을 가져오게 된다.##
## SPEED CONTROLLER 설치로 원할 한 운전 ##
(2) 속도 조정율
부하의 변동에 대해서는 속도 조정율이 작은 것이 좋으나, 부하 분담을 원활하게 하려면, 적당한 속도 조정율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 부하 분담
병렬로 접속한 발전기에 부하를 걸면, 이 부하의 유효 전력은 각 발전기가 원동기에서 받는 동력에 비례하여 분담하게 되고, 무효 전력은 각 발전기에 주어지는 여자(EXCITATION)의 크기에 의해서 결정된다.
- 전력의 분담
(1) 무효 전력
병렬 운전되고 있는 두 발전기 G1,G2 의 전압과 위상이 같을 때,G1 발전기의 여자를 증가 시키면,두 발전기의 유기 기전력이 차이가 나므로,G1,G2 발전기 사이에는 무효 순환 전류가 흐르게 되어,G1 발전기에 대해서는 지상 전류가 되어 단자 전압을 내리게 되고,G2 발전기에 대해서는 진상이 되어 단자 전압을 올리게 되어, 두 발전기의 단자 전압은 평형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무효 순환 전류가 흐르게 되면 G1 발전기는 그만큼 무효 순환 전류가 증가하고, G2 발전기는 그만큼 무효 순환 전류가 감소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무효 전력의 분담이 변하게 된다. 즉 병렬 운전에서 발전기의 여자를 변화 시키면,무효 전력의 분담을 조정할 수 있다.
### 자동 전압 조정기 계통의 고장 등으로 과전류 계전기 동작이 불확실 할 때 발전기 코일소손 우려 ###
### 한전선로와 비상발전기 간 병렬운전 시 발전기 쪽의 여자(EXCITATION)조정에 의해 역률조정 ###
(2) 유효 전력
병렬 운전하고 있는 두 발전기 G1,G2 에서 G2 발전기의 원동기의 조속기를 조정하여 G2 발전기의 기계적 입력을 증가 시키면 G2의 유기 전압의 위상은 G1에 비하여 위상이 앞서려고 하므로, 두 발전기 사이에 동기 화력이 발생해서 G2 발전기의 부하는 증가하게 되고,G1 발전기의 부하는 감소하게 되어 부하 분담이 변하게 된다. 이 경우 선로의 주파수 및 전압을 일정 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G2 발전기에 주어진 기계적 입력만큼 G1 발전기의 기계적 입력을 G1 발전기의 조속기에 의해서 증가시켜야 한다.
즉, 병렬 운전에서 발전기 원동기의 기계적 출력을 변화 시키면,유효 전력의 분담을 조정할 수 있게 된다.
#### 원동기의 기계적 출력 변화, 연료 계통 이상 등으로 한쪽 발전기가 MOTOR가 되어
원동기 및 발전기 소손, 역 전력 계전기 불확실 동작 등으로(계전기 동작으로 미연에 사고 방지)
- 조속기의 특성과 부하 분담
병렬 운전 중에 계통의 부하가 변화하면, 부하의 분담은 조속기(GOVERNOR)의 특성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조속기의 특성을 표시하는 것으로 속도 조정율(SPEED VARIATION)이 있다.
여기서, N은 정격 출력에서의 정격 회전수,No는 조속기를 조정 하지 않고 정격 출력에서 무 부하로 하였을 때의 회전수이다. 보통 S(속도조정률)는 2 -- 3[%] 정도이며, 보상기에 의해서 S의 값에 따라서 속도 부하 특성 곡선의 기울기가 결정되는데 S의 값이 작을 때에는 속도 변화에 따르는 부하의 변화가 너무 커서 운전이 불안정하게 된다. 각 발전기의 속도 조정율이 상이하여 속도 특성이 위의 그림과 같이 표시될 때 이것을 병렬 운전하면 두 발전기의 주파수가 같다는 것이 필요조건 이므로,각 발전기의 부하 분담 은 정격 부하에서 일치하나, 부분 부하에서는 그림과 같이 용량에 비례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발전기의 병렬 운전에서는 어떤 부하에서나 각 발전기의 용량에 비례하는 부하가 분배 되자면 속도 조정율이 같아야 한다.
●난조
-조속기의 특성과 부하 분담
난조의 정도가 약한 경우에는 동기화력의 변동에 따르는 주파수계, 전류계 등의 지침이 약간 떨리는 정도이며, 정격치의 몇%범위 내이면 운전하는데 큰 지장은 없으나, 심한 경우에는 발전기 자체가 동기 속도 부근에서 진동하게 되어 동기화력도 커지고, 주파수, 전류, 전력이 크게 변화하여 동기를 벗어나(탈조 현상),정지하게 된다.
난조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1) 원동기의 조속기의 감도가 너무 예민한 경우
(2) 원동기 회전력에 고조파 성분이 포함되는 경우(GOVERNOR 특성변화 & BACK POWER유입등..)
(3) 전기자 회로의 저항이 너무 큰 경우
● 난조의 방지책
(1) 회전자의 관성 J 를 적당하게 하여 회전자의 고유 주파수를 난조의 원인인 원동기의 강제 진동의 주파수와 차이가 나게 한다.
(2) 제동 권선(DAMPER)을 설치한다.(이 권선은 발전기 제작 시 설치하였으리라 생각함)
(3) 역 기전력 흡수 장치 설치(바리스터 또는 TNR)
(4) 발전기 단독 운전 시 SPEED CONTROLLER만 설치필요
(5) 병렬 운전 시 SPEED CONTROLLER & LOAD SHARING 장치 설치필요
### 난조, 항은 ENGINE 소손 및 GENERATOR 제어부분 쪽의 고장을 많이 가져 올수 있다
### GEN. 병렬운전 시 ENG. 과 ENG. 사이에 전기적으로 COUPLING 되어있어 VIBRATION 및 CYCLE의 주기로 인하여
GOVERNOR POWER가 약하며 DAMPING 역할이 잘되지 않아 ENG. 과 ENG. 사이에 주기적으로 회전속도에 고조파성분이 발생하여 M.S.B.D의 KW METER가 심하게 진동하며 불안정한 전력공급이 되고 LOW LOAD에서 REVERSE POWER RELAY 동작하여 차단기 TRIP이 되고, 또한 重(HEAVY LOAD)부하에서는 안정적으로 전력이 공급되지만 갑자기 LOW LOAD로 부하가 변화 시 ENG. 소손의 우려가 있습니다.
● 제어 및 보호방식
1) 보호 방식
발전 설비의 보호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보호 장치는 아래와 같다.
(1) 과속도 보호 장치 : 정격 회전의 115[%] 이상에서 동작한다.
(2) 냉각수의 단수 또는 온도 상승 경보회로
(3) 과전압, 과전류 보호 장치,
(4) 역기전력 보호 장치 (병렬 운전 시 설치 필요)
(5) LO 압력 저하 시 엔진 STOP 회로
추천자료
유아동작교육에 관련된 이론
유아동작교육 고찰
무용/동작 치료의 이론적 기초
기본간호중재와수기 운동과동작 실습보고서
[학습동기][학습동기 제고 단계][Keller(켈러) 학습동기이론][Keller(켈러) 학습동기유발전략...
[학습동기][학습동기유발]국어과교육의 학습동기유발전략, 수학과교육의 학습동기유발전략, ...
통합적 동작활동 계획안과 동작활동을 녹화한 CD를 제출하시오.
동기 개념과 역할, 동기부여(모티베이션) 목표설정이론, 동기부여(모티베이션) 공평성이론, ...
결과 보고서 - 패러데이 유도법칙, AC 발전기, 전자파 속력
오실로스코프 동작과 측정법
유아동작 교육의 이해 - 유아동작 교육 (유아 동작교육의 개념과 중요성, 유아 동작교육의 이...
★우수자료★[동작치료] 동작치료 접근법 = 동작치료의 대상, 동작치료 효과, 동작치료 특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