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동작 교육의 이해 - 유아동작 교육 (유아 동작교육의 개념과 중요성, 유아 동작교육의 이론적 기초, 유아발달과 동작교육, 유아 동작교육의 내용)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동작 교육의 이해 - 유아동작 교육 (유아 동작교육의 개념과 중요성, 유아 동작교육의 이론적 기초, 유아발달과 동작교육, 유아 동작교육의 내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유아 동작교육의 개념과 중요성
 1. 유아 동작교육의 개념
 2. 유아 동작교육의 중요성
 3. Rudolf Laban의 현대적 동작교육
Ⅱ. 유아 동작교육의 이론적 기초
 1. 성숙론적 관점
 2. 환경론적 관점
 3. 상호작용론적 관점
Ⅲ. 유아발달과 동작교육
 1. 유아발달과 학습의 원리
 2. 동작교육의 발달적 의의
Ⅳ. 유아 동작교육의 내용
 1. 동작을 통한 학습
 2. 유아 동작교육의 내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말뛰기(galloping)와 유사하다.
아. 말뛰기(galloping)
말뛰기는 앞으로나 뒤쪽 방향으로 미끄러지기를 실제 하는 것으로, 한쪽 다리를 앞으로 내밀고 다른 쪽 다리를 앞으로 내민 다리에 빨리 끌어다 붙이는 것이다. 말뛰기는 유아기에 달리기를 잘 할 수 있게 된 후에도 오랫동안 쉽게 발달되지 않는 것으로 관찰된다. 보통 유아는 좋아하지 않는 발보다 좋아하는 발을 먼저 앞으로 내놓으면서 하게 하는 것이다. 한발 들고 뛰기가 발달되지 않는 유아는 두발 번갈아 뛰는 스키핑에 어려움이 있는데, 그럴 때 시도해 보는 것이 간혹 말뛰기가 되기도 한다.
자. 오르기(climbing)
오르기는 기기와 비슷한 기본적 동작이다. 오르기는 다리만으로 할 수도 있고 팔로만할 수도 있으며, 팔과 다리를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오르기는 사물(밧줄, 사다리 등)을사용할 수 있는데, 사다리와 같은 사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동작은 한 손으로부터 시작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몸의 무게를 지탱하고 있는 다리로부터 팔로 먼저 옮겨가야 한다. 또한 동작에 있어서 손과 다리의 움직임을 리듬감 있는 형식으로 반복적이어야 한다.
이동동작은 안정동작과 함께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안정동작의 기본적인 형태는 이동동작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기 이전에 숙달되어야 한다. 이동동작의 스텝은 리듬의 요소를 학습하는 가장 좋은 접근이 된다. 이러한 기본적 이동동작의 다양한 형태를 경험할수록 유아는 리듬적 운동능력과 표현능력이 증진되며 균형감이 풍부해져서 더욱 창의적인동작으로 이끄는 준비가 이루어진다.
3) 조작동작(manipulative movement)
대근육 조작은 물체와의 관계에서 이루어지며 사물에 힘을 주고 사물로부터 힘을 받게될 때 이용된다. 조작동작은 이동동작과 안정동작 두 가지의 기초 동작에 근거를 두고있다. 조작동작에서는 이동이나 안정의 동작들 중에서 두 가지 이상의 움직임을 결합시키게 된다. 물체의 조작을 통해서 유아는 공간 속에서 움직이는 물체의 관계를 탐색할수 있게 된다. 유아기에 배워야 하는 기본적인 조작동작에는 던지기, 받기, 차기, 때리기등이 있다.
가. 던지기(throwing)
던지기는 팔과 손의 동작을 사용해서 공간 속으로 물체를 밀어내는 것을 말한다. 던지기의 형태는 다양한데, 양손(혹은 한 손)으로 밑에서 던져 올리기, 수직으로 던져 올리기,어깨 위에서 던지기 등이 있다.
던지기의 형태는 발달을 자극하기 위해서 큰 공을 던질 때는 유아에게 두 손을 사용하게 하며, 한 손에 넣을 수 있는 작은 공을 던질 때는 어깨 위로 손을 들어 던지게 하고,던지기에 적합한 공의 크기는 공받기에 사용되는 공의 크기와는 구별하여 지도한다. 던지기는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속도와 거리의 관점에서 많은 연습을 하게 되면 좀 더 성숙된 형태의 던지기를 촉진할 수 있으나, 지나치게 집착하게 될 때는 오히려 퇴행을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나. 받기(catching)
받기의 기본 운동 패턴은 손을 사용해서 움직이는 물체를 조절하는 기능을 말한다. 잡기는 시 지각의 추적능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유아는 받기 능력보다는 던지기능력이 더 일찍 발달된다. 유아에게 빨리 움직이는 공은 받기 어렵고, 너무 느린공도 받기 어렵다. 그러므로 곧은 궤도에서 공이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속도로 던져야한다. 유아들의 받기를 지도할 때 교사가 유념할 사항은 초기 발달 단계에서는 앞으로혹은 뒤로 움직이는 것보다 옆으로 움직이는 것이 더 쉽고, 손바닥으로 공을 잡는 것보다 손가락으로 공을 잡는 것이 효과적인 받기 방법이며, 유아들이 큰 공을 너무 오래 사용하게 되면 받기 발달에 방해가 된다는 것이다.
유아는 받기와 던지기의 발달형태가 다르므로 동시에 두 동작을 발달시키려는 활동은오히려 유아들을 좌절시키거나 비생산적 경험을 하게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두 동작을필요로 하는 어떤 활동이 있다면 한 가지만을 계속 강조하여 익숙하게 한 뒤 다른 것을또 강조하도록 해야 한다.
다. 차기(kicking)
차기는 다리를 사용해서 힘을 물체에 전달하는 때리기의 형태를 말한다. 유아의 차기능력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상당히 드물다. 차기에는 두 가지 형태가 있는데, 손에서떨어진 공이 땅에 닿기 전에 차는 것과, 운동장에서 정지된 상태에 있는 공이나 움직이는 공을 차는 것이 있다. 유아가 한 발로 균형 있게 설 수 있을 때 차기를 할 준비가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성숙된 차기의 형태는 몇몇 유아에게서 관찰될 수 있다.
유아들은 엄지발가락을 다치지 않기 위해 발등으로 차는 법을 배워야 한다. 부드러운공이 초기의 차기 경험에 적당하며, 차기 게임을 많이 하는 동안 유아들은 차는 힘을 많이 내기 위해 걷거나 뛰면서 공을 차게 된다. 공이 떨어질 때 차는 것을 시도하면서 나타나는 실수는 공을 앞으로 차기보다는 차서 올리려는데 있다.
라. 때리기(striking)
때리기 형태는 야구, 테니스, 배드민턴, 골프 같은 활동에서 특별한 기술로 발달된다.
각각의 운동기술은 독특한 기교를 가지고 있으며, 각기 다른 장비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기본적으로 때리기는 초기의 때리기, 두 손으로 때리기, 옆으로 때리기의 일정한 방법으로 발달한다. 유아는 때리기를 할 기회를 많이 가짐으로써 개발된 형태의 때리기를 할수 있다.
참고문헌
이영 이미화(1997). 2세아를 위한 놀이 및 활동. 서울: 학문사.
이영 전인옥 김온기(2004). 유아를 위한 창의적 동작교육. 서울: 교문사.
이영심(2006). 유아 동작교육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이춘희(1999). 창의적 유아 동작교육. 서울: 동문사.
이희자 임영옥(2006). 영ㆍ유아 교육 아동 음악과 동작. 서울: 형설출판사.
이희자 김경의 이효숙 함은숙 허은주 안연경(2007). 영 유아를 위한 동작교육. 공동체.
이영심(2001). 손동작과 동작놀이. 창지사
전인옥이영(2002). 유아동작교육.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전인옥,이현균(2001).유아체육활동의 이론과 실제. 서울: 양서원.
한양순 정송자 이영숙(1984). 여러나라의 민속무용. 서울: 동화출판사

추천자료

  • 가격7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14.06.18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48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