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해군력으로 바다를 장악한 아테네
2. 델로스 동맹 - 아테네 제국의 밑바탕
3. 제국으로서의 아테네
1). 대외 활동
2). 대내 활동
4. 펠레폰네소스 전쟁(기원전 431~404년)
5. 제국 회복의 열망
6. 동맹국 전쟁(기원전 357~355년)의 발발
1). 원인
2). 전개
3). 결과
7. 아테네인의 쇠퇴
2. 델로스 동맹 - 아테네 제국의 밑바탕
3. 제국으로서의 아테네
1). 대외 활동
2). 대내 활동
4. 펠레폰네소스 전쟁(기원전 431~404년)
5. 제국 회복의 열망
6. 동맹국 전쟁(기원전 357~355년)의 발발
1). 원인
2). 전개
3). 결과
7. 아테네인의 쇠퇴
본문내용
이었고 아테네인 역시 자신들이 동맹국들에 대해 어떠한 일을 저지르고 있었는지 잘 알고 있었음을 짐작케 해준다. 그러나 아테네는 아테네인의 민회가 동맹회의보다 우위에 있음을 밝혀 아테네인의 특권을 여전히 보장하는 면이 있었다.
-아테네는 이렇게 제 2차 해상동맹의 결성으로 본격적인 해상국가로서의 위치를 회복하였다. 그러나 해상동맹과 스파르타의 잦은 충돌로 스파르타의 힘이 서서히 약해지면서 해상동맹의 목적이 유명무실해지고, 제국을 유지하려는 아테네가 탈퇴하려는 폴리스를 잡고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강압적인 정책을 추진하면서 동맹국들 사이에 불만이 생기고 단결력이 떨어지면서 동맹국 전쟁이 일어났다.
6. 동맹국 전쟁(기원전 357~355년)의 발발
1). 원인
동맹국 전쟁은 스파르타가 그리스의 지배권을 상실하여 동맹이 이완될 기미가 보이자 아테네가 제국으로서의 위치를 고수하기 위해 동맹국에 대한 부당한 간섭을 한 것이 원인이다. 아테네는 제 2차 해상동맹을 맺을 당시 동맹국들을 위해 배려했던 조항들을 무참히 어겼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아테네는 해외 영토에 아테네인을 파견하여 토지를 강점(첫째, 아테네는 아테네 외의 어떠한 해외 영토도 소유하지 않을 것임을 천명한다)하고 동맹국의 국내 분쟁에 개입(모든 동맹국들의 자유와 자치가 허용된다)하였으며 동맹회의의 권한을 억제하여 동맹국들을 사실상의 속국으로 부렸다.
2). 전개
-비교적 강대국이었던 키오스, 로데스, 코스, 비잔티온 등이 아테네에 대항한 동맹국 편에 가담하였고 페르시아인도 개입한 것으로 보인다. 아테네인은 결국 기원전 355년의 평화에서 교전국가들의 동맹 탈퇴와 독립을 허용하고 말았다.
3). 결과
-아테네는 동맹국 전쟁의 패배로 인해 다시 한 번 제국으로서의 위치를 상실하였고 제국을 운영하는 것도, 유지하는 것도 이제 벅찬 일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것은 아테네인들의 제국정책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7. 아테네인의 쇠퇴
-제국 회복과정에서 국력만 소모한 아테네인은 기원전 350년대에는 이제 제국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울 만큼 국력이 쇠진했다. 그러한 상황에서 아테네인은 마케도니아 왕국의 공세에 시달리다가 결국 카이로네이아 전투의 패배로 고전기 폴리스 시대의 막을 내리고 말았다.
◁아테네 제국
색이 진한 부분:
Allied states
(아테네 동맹국)
색이 연한 부분:
Dependent states
(아테네의 영향력이 미치는 곳)
-아테네는 이렇게 제 2차 해상동맹의 결성으로 본격적인 해상국가로서의 위치를 회복하였다. 그러나 해상동맹과 스파르타의 잦은 충돌로 스파르타의 힘이 서서히 약해지면서 해상동맹의 목적이 유명무실해지고, 제국을 유지하려는 아테네가 탈퇴하려는 폴리스를 잡고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해 강압적인 정책을 추진하면서 동맹국들 사이에 불만이 생기고 단결력이 떨어지면서 동맹국 전쟁이 일어났다.
6. 동맹국 전쟁(기원전 357~355년)의 발발
1). 원인
동맹국 전쟁은 스파르타가 그리스의 지배권을 상실하여 동맹이 이완될 기미가 보이자 아테네가 제국으로서의 위치를 고수하기 위해 동맹국에 대한 부당한 간섭을 한 것이 원인이다. 아테네는 제 2차 해상동맹을 맺을 당시 동맹국들을 위해 배려했던 조항들을 무참히 어겼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아테네는 해외 영토에 아테네인을 파견하여 토지를 강점(첫째, 아테네는 아테네 외의 어떠한 해외 영토도 소유하지 않을 것임을 천명한다)하고 동맹국의 국내 분쟁에 개입(모든 동맹국들의 자유와 자치가 허용된다)하였으며 동맹회의의 권한을 억제하여 동맹국들을 사실상의 속국으로 부렸다.
2). 전개
-비교적 강대국이었던 키오스, 로데스, 코스, 비잔티온 등이 아테네에 대항한 동맹국 편에 가담하였고 페르시아인도 개입한 것으로 보인다. 아테네인은 결국 기원전 355년의 평화에서 교전국가들의 동맹 탈퇴와 독립을 허용하고 말았다.
3). 결과
-아테네는 동맹국 전쟁의 패배로 인해 다시 한 번 제국으로서의 위치를 상실하였고 제국을 운영하는 것도, 유지하는 것도 이제 벅찬 일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그것은 아테네인들의 제국정책을 위축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7. 아테네인의 쇠퇴
-제국 회복과정에서 국력만 소모한 아테네인은 기원전 350년대에는 이제 제국 회복을 기대하기 어려울 만큼 국력이 쇠진했다. 그러한 상황에서 아테네인은 마케도니아 왕국의 공세에 시달리다가 결국 카이로네이아 전투의 패배로 고전기 폴리스 시대의 막을 내리고 말았다.
◁아테네 제국
색이 진한 부분:
Allied states
(아테네 동맹국)
색이 연한 부분:
Dependent states
(아테네의 영향력이 미치는 곳)
추천자료
해상보험에대해서!!!(해상손해,해상운송)
한․미 동맹으로 살펴본 한국의 외교정책
해상보험에 대한 이해와 해상위험과 해상 손실의 실태와 원인 분석
[한미관계]한미동맹과 주한미군의 위상 및 역할분석
[서양외교사]비스마르크&비스마르크&비스마르크의 동맹체제에 관하여!
군사학 - 북한과 한미동맹의 필요성
해상보험과 해상손해의 개요와 특징 및 적용사례 조사분석
백제(百濟)의 멸망과 국외정세 분석, 7세기 국외 동맹체제, 백제멸망 이유, 흑치상지 인물소...
[전시작전권]전작권 전환문제와 한미동맹관계의 변화 보고서 자료
[전시작전권]전작권 전환문제와 한미동맹관계의 변화 PPT자료
[미일대북정책]미일대북정책(미국과 일본의 대북한정책), 미일군사동맹체제, 미일관계(미국과...
미일중장기고용, 미일자본협업(미국과 일본의 자본협업), 미일수산관리제도, 미일학교급식제...
미일방위협력(미국 일본의 방위협력), 미일군사동맹체제, 미일합동훈련(미국 일본의 합동훈련...
해상위험과 해상보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