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새 천년 도시의 첫 세기
1. 도시 인구와 도시화율의 증가
2. 인구성장의 불균등 분포
3. 도시가 군집을 이루어 고도로 네트워크 되는 현상 발생
4. 대도시보다 빠른 성장을 보이는 소도시
2. 네트워크화된 도시 세계
1. 지난 세기에 도시의 성장을 이끈 세 개의 힘
2. 21세기의 거대한 변화의 힘 - 정보혁명(informational revolution)
3. 도시에서의 삶이 변화되는 21세기
3. 도시의 도전 과제
1. 도시의 역설
4. 도시 생활의 예측 : 1900, 2000, 2025……
1. 1900년의 도시
2. 미래의 도시에 대한 예측
3. 미래의 도시가 해결해야할 문제
1. 도시 인구와 도시화율의 증가
2. 인구성장의 불균등 분포
3. 도시가 군집을 이루어 고도로 네트워크 되는 현상 발생
4. 대도시보다 빠른 성장을 보이는 소도시
2. 네트워크화된 도시 세계
1. 지난 세기에 도시의 성장을 이끈 세 개의 힘
2. 21세기의 거대한 변화의 힘 - 정보혁명(informational revolution)
3. 도시에서의 삶이 변화되는 21세기
3. 도시의 도전 과제
1. 도시의 역설
4. 도시 생활의 예측 : 1900, 2000, 2025……
1. 1900년의 도시
2. 미래의 도시에 대한 예측
3. 미래의 도시가 해결해야할 문제
본문내용
분 도심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 변모하는 도시가 더 많이 생겨나고 견고하게 네트워크화 될 것이다.
⑥ 고용구조의 변화(경제의 세계화가 가장 큰 원인이다)
농업
공업
서비스
1965
1989~
1991
1965
1989~
1991
1965
1989~
1991
세계
57
48
19
17
24
35
산업화 국가
22
7
37
26
41
67
개발도상국
62
61
11
14
17
25
동아프리카와 남아프리카
73
50
9
18
18
32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79
67
8
9
13
24
세계의 고용구조, 1965년과 1989~1991년(단위: %) 출처: ILO, 1995: 19
→ 개인 서비스가 급격히 늘어날 것이나 인구 고령화로 인해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할 것
3. 미래의 도시가 해결해야할 문제
① 고령화 문제
: 고령자 수는 증가하는 데 반해 이들을 부양해야 할 활동적인 성인의 수는 줄어드는 문제에 당면하게 될 것이다. 증가하는 노인계층의 복지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② 이주해온 빈곤한 사람들의 고용 문제
③ 위생, 교통, 주택과 같은 전통적인 도시문제들은 지속적으로 큰 과제
④ 환경문제
→ 거대한 과제들이 이와 관련해서 제기될 것이다. 에너지 보존과 쓰레기 재활용을 위한 도시의 개조, 에너지 절약형 교통으로의 개편 등이 그것이다.
⑤ 역사지구를 보전하고 재이용하여 역사적인 공간의 파괴 없이 번창할 수 있는 새로운 활동을 수용해야 하는 과제
※ 이들 도시에서 최소한 예견할 수 있는 장래 문제에 대해 어떻게 그것을 해결할 만한 인적·물적 자원을 찾아낼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
→ 변모하는 도시가 더 많이 생겨나고 견고하게 네트워크화 될 것이다.
⑥ 고용구조의 변화(경제의 세계화가 가장 큰 원인이다)
농업
공업
서비스
1965
1989~
1991
1965
1989~
1991
1965
1989~
1991
세계
57
48
19
17
24
35
산업화 국가
22
7
37
26
41
67
개발도상국
62
61
11
14
17
25
동아프리카와 남아프리카
73
50
9
18
18
32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79
67
8
9
13
24
세계의 고용구조, 1965년과 1989~1991년(단위: %) 출처: ILO, 1995: 19
→ 개인 서비스가 급격히 늘어날 것이나 인구 고령화로 인해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할 것
3. 미래의 도시가 해결해야할 문제
① 고령화 문제
: 고령자 수는 증가하는 데 반해 이들을 부양해야 할 활동적인 성인의 수는 줄어드는 문제에 당면하게 될 것이다. 증가하는 노인계층의 복지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② 이주해온 빈곤한 사람들의 고용 문제
③ 위생, 교통, 주택과 같은 전통적인 도시문제들은 지속적으로 큰 과제
④ 환경문제
→ 거대한 과제들이 이와 관련해서 제기될 것이다. 에너지 보존과 쓰레기 재활용을 위한 도시의 개조, 에너지 절약형 교통으로의 개편 등이 그것이다.
⑤ 역사지구를 보전하고 재이용하여 역사적인 공간의 파괴 없이 번창할 수 있는 새로운 활동을 수용해야 하는 과제
※ 이들 도시에서 최소한 예견할 수 있는 장래 문제에 대해 어떻게 그것을 해결할 만한 인적·물적 자원을 찾아낼 것인가 하는 문제가 남아 있다.
추천자료
지방자치체제 하에서의 도시 및 공원의 계획과 발전방향에 대하여
제주국제자유도시 개발 현황과 그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제주국제자유도시 - 추진현황과 발전전망을 중심으로
대도시 지역농협과 농촌지역농협 직원 의식구조 차이 발전방안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의 평생학습도시 현황 및 발전방안 제언
라스베가스의 도시 발전 과정
[도시행정]주택가주차문제-문제점 분석 & 주차정책의 발전방향 탐구
미국의 전원도시 발전 흐름
프랑스 도시계획의 발전 현황
[도시인류학]도시의 위기와 대응방안(대구)-대구의 위기와 대응방안, 대구발전방안, 대구발전...
국가균형발전과 지방도시 활성화
[관광농업] 관광농업의 발전방안과 전망 (관광농업의 발전방안 : 정책 및 제도적 측면, 경영...
워터월드 (Waterworld) 1995 : 지구의 미래 수중도시 [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