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마의 모든것 (유래, 역사, 규칙, 시설, 심판, 반칙, 용품, 용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승마의 모든것 (유래, 역사, 규칙, 시설, 심판, 반칙, 용품, 용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으로 인한 또는 경기중 과실점을 합한다. 최종합계는 경기의 과실점의 성적이 된 다.
실점은 다음과 같다.첫번째 - 2점두번째 - 4점세번째 - 8점네 번째 - 실격
실권된후 선수는 끝까지 경기를 끝마친다. 점수는 평소와 같은 방 법으로 주어진다.
채점방식 - 21) 불복종
첫번째 거부, 도피 또는 권승 : 20점같은 장애물에서의 두번째 거부, 도피 또는 권승 : 40점같은 장애물에서의 세번째 거부, 도피 또는 권승 : 실권
낙마
말의 전도 및 또는 선수의 낙마 : 60점스티플체이스에서 두번째 말의 전도 및 또는 선수의 낙마 : 실권크로스컨트리에서 두번째 말의 전도 및 선수의 낙마 : 실권
채점방식 - 3-장애물 전도, 수호의 물 또는 발구름판을 밟았을 경우 : 5점-첫번째 불복종 : 10 점-전대회기간중 두번째 불복종 : 20점-전대회기간중 세번째 불복종 : 실권 -첫번째 말의 전도 및 또는 선수의 낙마 : 30점-두번째 말의 전도 및 또는 선 수의 낙마 : 실권







마장마술 경기
경고 및 실권-입장시간으로부터 A지점으로의 퇴장시간 사이에 말의 네다리 모두 완전하게 경기장을 이탈했을 경우 실권된다.-20초 이상 넘게 경기의 계속을 방해하는 반항은 실권된 다.-선수가 "경로의 실수" 를 저지른 경우 심판장은 벨을 울려 경고 한다.가능하 면 심판장은 선수가 경기를 다시 해야하는 지점과 시행해야 할 다음 동작을 알려주고 선수가 경기를 계속할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때로는 선수가 "경로의 실수"를 범했을 지라도 불필요한 벨소리가 경기의 흐름을 방해할수도 있다.-한 선수가 "경로의 위 반"을 범했을 때 "경로의 위반"으로 벌칙을 받는다.-원칙적으로 심판장이 "경로의 실수" 로 판정 벨을 울리기 전까지는 선수는 경기의 동작을 반복해서는 안된다. 그러 나 만일 선수가 동작을 재시행하고 똑같은 동작을 다시 실시 했을 시 심판원들은 첫번 동작만을 고려해야 하며 동시에 경로의 위반으로 판정된다.-세 명의 모든 심판들 이 실수로 인정치 않을 경우, 그 선수는 불확실함의 이익을 얻는다.-목소리나 표 시등 모든 외부적인 방해는 허가받지 않은 도움으로 간주한다.허가 받지 않은 도움을 받은 선수는 심판부의 재량으로 실권된다.-출발신호후 60초 이내에 경기장에 입장 하지 않은 경우, 출발신호 전 경기장에 입장한 경우, 허가받지 않은 도움을 받았을 경 우, 실권에 해당한다.-부적합한 마구를 착용하고 경기를 했을 경우 또는 채직을 사용했을 경우, 누에 띄게 다리를 절때, 입장 및 퇴장시간 사이에 경기장을 떠났을 경 우 실권된다.
지구력 경기
실권해당 사항 - 1-제 2 마필검진에서 다리를 절거나 탈진함을 발견했을 경우-가혹행위-부적합 한 마구를 착용하고 경기에 임했을 경우-공식감시원 앞에서 검량에 실패했을 경우 와 또는 최소중량에 도달하지 못했을 때-수정되지 않은 경로의 위반-장애물 또는 의무통과 지점을 빠뜨렸을 경우-잘못된 순서로 장애물을 비월하거나 의무통 과 지점을 통과한 경우-잘못된 방향으로 장애물을 비월했을 경우-이미 비월한 장애물을 재비월 했을 경우
장애물 경기
실권해당 사항 - 2-선수의 번호가 호명된후 경기장에 입장하지 않을 경우-기승한 채로 경기장에 입 장하거나, 퇴장하지 않을 경우-모든 허가받지 않은 도움-경기중 벨이 울렸을 때 정지하지 않을 경우-보호모를 쓰지 않거나 마구를 잘 조이지 않고 장애물을 비 월할때나 시도할 경우-경기개시전 경기장의 장애물을 비월하거나 시도했을 경우 -신호전에 경기를 시작하여 경로상의 첫번째 장애물을 비월했을 경우-출발신 호 후 60초 아내에 출발선을 통과하지 않을 경우-경기시작 전이나 불복종후 말에 게 장애물을 보였을 경우-경기도중 말이 계속해서 60초간 반항할 경우-낙마후 도 포함해서 장애물 또는 복합장애물의 첫번째 부분을 비월하는데 60초 이상이 걸렸을 경우-출발 및 또는 도착선 통과시 양 표시기 사이로 통과하지 않았을 경우-경 기도중 경로외의 지역에 있는 장애물을 비월했을 경우-경로상에 있는 장애물중 어 느하나를 빠뜨리고 비월했을 경우-잘못된 순서대로 장애물을 비월했을 경우- 잘못된 방향으로 장애물을 비월했을 경우-정지 지시후 벨신호가 울리기 전에 장애 물을 비월하거나 시도하는 경우-폐쇄 복합장애물의 모든 장애물을 비월하지 않은 경우-경기장을 떠나기전 기승하지 않고 도착선을 통과한 경우-자유로워진 말 이 경기개시전이나 경기종료전에 경기장을 이탈했을 경우경기도중 기승한채로 보 호모 및 또는 안경을 받았을 경우-폐쇄복합장애물을 올바른 방향으로 비월하지 않 거나 폐쇄장애물을 옮겨놓았을 경우-자유로와진 말이 폐쇄복합장애물에서 이탈했 을 경우-수정되지 않은 경로에서의 과실-부적합한 마구를 착용하거나 길이가 75CM를 초과하는채찍을 사용하는경우






부츠
승마복엷은 색의 셔츠 위에 검은 색 재킷이나 진한 청색 등을 입고 스톡타이를 매고 핀으로 고정시킨다. 여기에 naby색이나 검은 색의 승마모와 베이지색, 크림색, 또는 노란색의 승마바지, 검은 색의 부츠를 신은 정장 차림이 기본적으로 구성된다.
안장안장에는 마장마술용 안장과 장애물비월용 안장 그리고 이 두가지를 결합시킨 종합안 장이 있다.
마장마술용 안장은 경기가 시트에 깊이 앉아서 규정된 구분동작의 정확 성, 연계동작의 자연스러움, 추진 운동의 경쾌함, 말의 거부감이나 과민성이 없는 유 순한 자세 등을 연출하기에 시트가 깊이 들어가 있고 날개부분밑으로 길게 느어져 있 는 것이 특징이다.
장애물 비월용 안장은 장애물 비월 경기는 장애불을 뛰어넘는기 승자의 움직임이 많으므로 시트가 얕고 날개부분은 적당한 크기로 조절되어 말이 장애 물 통과 시 부담을 줄이고 기승자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 다.
종합마술용 종합안장은 위의 두개의 안장을 결합시킨 형태로 종합 마술이 마장 마술, 장애물 비월, 비구력 경기등이 이루어지는 경기이므로 시트는 마장 마술용처럼 약간 깊고 날개부분은 장애물 비월용처럼 고안되었다. 이 안장은 종합 마술용뿐만 아 니라 마장 마술, 장애물 비월 등의 경기에도 다목적으로 쓰인다.
장갑
채칙

키워드

승마,   ,   장애물,   올림픽,   스포츠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1.28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86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