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말에 오르고 내리기
1) 말에 오르기 전
2) 말에 오르는 법(기승술)
3) 말에서 내릴 때(하마)
2. 고삐 잡는 법
3. 올바른 앉은 자세 잡기
1)신체 부위별 승마자세
2) 승마의 올바른 자세
4. 밸런스
5. 말을 타기
1)사람이 말을 탄다는 것은
2) 자세의 기본은 릴렉스
3) 다리의 위치
6. 승마의 보법
1) 평보平步 Walk
2) 속보速步 Trot
3) 구보驅步 Canter
4) 습보襲步 Gallop (경주시)
1) 말에 오르기 전
2) 말에 오르는 법(기승술)
3) 말에서 내릴 때(하마)
2. 고삐 잡는 법
3. 올바른 앉은 자세 잡기
1)신체 부위별 승마자세
2) 승마의 올바른 자세
4. 밸런스
5. 말을 타기
1)사람이 말을 탄다는 것은
2) 자세의 기본은 릴렉스
3) 다리의 위치
6. 승마의 보법
1) 평보平步 Walk
2) 속보速步 Trot
3) 구보驅步 Canter
4) 습보襲步 Gallop (경주시)
본문내용
9~105걸음, 구보 걸음당 2m~3.5m를 감)
- 앞다리가 땅을 차고 나갈 때는 목을 들어 올리고, 그 다리가 착지할 때는 목을 숙이게 되므로, 목과 머리를 약간 흔들게 됨
- 평보의 3배로 말이 도약하여 달리는 방법
- 네 개의 다리가 지면에서 떨어져 허공에 뜨는 순간이 있음
- 보통 말이 좌회전할 때 좌구보, 우회전할 때 우구보
4) 습보襲步 Gallop (경주시)
- 말이 전속력으로 달릴 때의 4절도節度의 걸음걸이
- (우습보시) 왼쪽뒷발 → 오른쪽뒷발 → 왼쪽앞발 → 오른쪽앞발
- 고개를 낮추고 마체를 최대한 신장시키는 비약 운동
- 네 개의 다리가 지면에서 떨어져 허공에 뜨는 순간이 있음
※ 속보시 기수의 움직임 : 경속보
말이 좀더 자유스럽게 움직이게 하려면, 두 박자 중 한 박자에 앉고 다른 한 박자에 일어선다. 마장에서 속보시 말의 안쪽 뒷다리에 더 많은 하중이 가해지므로, 안쪽 뒷다리가 땅에 떨어졌을 때 앉고 들렸을 때 서주어 전방이동을 도와준다. 이를 Correct diagonal 이라하며 방향이 바뀔 때마다 앉았다 일어섰다의 순서를 바꾸어 주어야 한다.
이는 의도적으로 등자를 밟고 몸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말의 반동으로 자연스럽게 맞추어 나가는 연습을 하는 것이다. 말은 계속 움직이고 있으므로 경속보에서 자신의 무게 중심을 말에 맞추기 위해서는 허리를 뜨게 할 때는 똑바로 몸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배꼽부터 먼저 앞으로 끌려가듯이 허리를 뜨게 하고, 안장에 다시 앉을 때는 무릎부터 내려야 한다. 이 때 등자에 걸리는 무게는 허리가 들려졌을 때나 내려졌을 때나 달라지지 않게 한다.
※ 각 보법의 상세한 종류
- 평보의 종류
① 보통 평보
② 수축 평보 : 보통 평보보다 보폭은 단축되나 목을 높이는 활력있는 걸음
③ 중간 평보 : 보통 평보와 신장 평보의 중간 정도의 걸음
④ 신장 평보 : 보폭을 최대한 넓게 하여 뒷발이 앞발자국을 넘어 딛는 걸음
⑤ 자유 평보 : 휴식을 위한 걸음으로 고삐를 늦추어 긴장을 완하시키는 걸음
- 속보의 종류
① 보통 속보
② 수축 속보 : 속도는 줄어들고 보폭은 줄어드나 머리를 높이 굴요(屈橈 말의 머리 를 높게 들고 콧등을 수직상태로 만드는 것)하는 강한 전진기세를 보이는 걸음
③ 중간 속보 : 보통 속보와 신장 속보 사이에 있는 걸음
④ 신장 속보 : 보폭을 최대한 넓게 하여 걷는 속보, 앞발을 내어 뻗고 뒷발이 몸체 밑으로 깊이 딛으며 강한 탄발력을 갖는 걸음
- 구보의 종류
① 보통 구보
② 수축 구보 : 수축 속보와 마찬가지의 요령
③ 중간 구보 : 중간 속보와 마찬가지의 요령
④ 신장 구보 : 분당 420m를 가는 구보로 신장 속보와 요령은 동일
⑤ 답보 변환 : 구보시 공중에서 다리를 변환하는 것으로 특정 지점이나 일정한 걸 음마다 변환하는 것을 말하며 마체는 반드시 직진을 유지해야함
※ 말은 자연 상태에서 하루 25km를 이동하며 사람을 태우면 평보로 20km밖에 가지 못한다. 고대 파발마를 잇는 역참 구간을 10.8km(약 30리)로 정한 것도 말이 하루 달릴 수 있는 능력을 감안한 것이다. 승마시에도 말의 운동량을 고려하면서 운동할 필요가 있다.
*목차
1. 말에 오르고 내리기
1) 말에 오르기 전
2) 말에 오르는 법(기승술)
3) 말에서 내릴 때(하마)
2. 고삐 잡는 법
3. 올바른 앉은 자세 잡기
1)신체 부위별 승마자세
2) 승마의 올바른 자세
4. 밸런스
5. 말을 타기
1)사람이 말을 탄다는 것은
2) 자세의 기본은 릴렉스
3) 다리의 위치
6. 승마의 보법
1) 평보平步 Walk
2) 속보速步 Trot
3) 구보驅步 Canter
4) 습보襲步 Gallop (경주시)
- 앞다리가 땅을 차고 나갈 때는 목을 들어 올리고, 그 다리가 착지할 때는 목을 숙이게 되므로, 목과 머리를 약간 흔들게 됨
- 평보의 3배로 말이 도약하여 달리는 방법
- 네 개의 다리가 지면에서 떨어져 허공에 뜨는 순간이 있음
- 보통 말이 좌회전할 때 좌구보, 우회전할 때 우구보
4) 습보襲步 Gallop (경주시)
- 말이 전속력으로 달릴 때의 4절도節度의 걸음걸이
- (우습보시) 왼쪽뒷발 → 오른쪽뒷발 → 왼쪽앞발 → 오른쪽앞발
- 고개를 낮추고 마체를 최대한 신장시키는 비약 운동
- 네 개의 다리가 지면에서 떨어져 허공에 뜨는 순간이 있음
※ 속보시 기수의 움직임 : 경속보
말이 좀더 자유스럽게 움직이게 하려면, 두 박자 중 한 박자에 앉고 다른 한 박자에 일어선다. 마장에서 속보시 말의 안쪽 뒷다리에 더 많은 하중이 가해지므로, 안쪽 뒷다리가 땅에 떨어졌을 때 앉고 들렸을 때 서주어 전방이동을 도와준다. 이를 Correct diagonal 이라하며 방향이 바뀔 때마다 앉았다 일어섰다의 순서를 바꾸어 주어야 한다.
이는 의도적으로 등자를 밟고 몸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말의 반동으로 자연스럽게 맞추어 나가는 연습을 하는 것이다. 말은 계속 움직이고 있으므로 경속보에서 자신의 무게 중심을 말에 맞추기 위해서는 허리를 뜨게 할 때는 똑바로 몸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배꼽부터 먼저 앞으로 끌려가듯이 허리를 뜨게 하고, 안장에 다시 앉을 때는 무릎부터 내려야 한다. 이 때 등자에 걸리는 무게는 허리가 들려졌을 때나 내려졌을 때나 달라지지 않게 한다.
※ 각 보법의 상세한 종류
- 평보의 종류
① 보통 평보
② 수축 평보 : 보통 평보보다 보폭은 단축되나 목을 높이는 활력있는 걸음
③ 중간 평보 : 보통 평보와 신장 평보의 중간 정도의 걸음
④ 신장 평보 : 보폭을 최대한 넓게 하여 뒷발이 앞발자국을 넘어 딛는 걸음
⑤ 자유 평보 : 휴식을 위한 걸음으로 고삐를 늦추어 긴장을 완하시키는 걸음
- 속보의 종류
① 보통 속보
② 수축 속보 : 속도는 줄어들고 보폭은 줄어드나 머리를 높이 굴요(屈橈 말의 머리 를 높게 들고 콧등을 수직상태로 만드는 것)하는 강한 전진기세를 보이는 걸음
③ 중간 속보 : 보통 속보와 신장 속보 사이에 있는 걸음
④ 신장 속보 : 보폭을 최대한 넓게 하여 걷는 속보, 앞발을 내어 뻗고 뒷발이 몸체 밑으로 깊이 딛으며 강한 탄발력을 갖는 걸음
- 구보의 종류
① 보통 구보
② 수축 구보 : 수축 속보와 마찬가지의 요령
③ 중간 구보 : 중간 속보와 마찬가지의 요령
④ 신장 구보 : 분당 420m를 가는 구보로 신장 속보와 요령은 동일
⑤ 답보 변환 : 구보시 공중에서 다리를 변환하는 것으로 특정 지점이나 일정한 걸 음마다 변환하는 것을 말하며 마체는 반드시 직진을 유지해야함
※ 말은 자연 상태에서 하루 25km를 이동하며 사람을 태우면 평보로 20km밖에 가지 못한다. 고대 파발마를 잇는 역참 구간을 10.8km(약 30리)로 정한 것도 말이 하루 달릴 수 있는 능력을 감안한 것이다. 승마시에도 말의 운동량을 고려하면서 운동할 필요가 있다.
*목차
1. 말에 오르고 내리기
1) 말에 오르기 전
2) 말에 오르는 법(기승술)
3) 말에서 내릴 때(하마)
2. 고삐 잡는 법
3. 올바른 앉은 자세 잡기
1)신체 부위별 승마자세
2) 승마의 올바른 자세
4. 밸런스
5. 말을 타기
1)사람이 말을 탄다는 것은
2) 자세의 기본은 릴렉스
3) 다리의 위치
6. 승마의 보법
1) 평보平步 Walk
2) 속보速步 Trot
3) 구보驅步 Canter
4) 습보襲步 Gallop (경주시)
키워드
추천자료
아르헨티나 탱고(Argentine Tango)의 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정신과적 응급
테니스 경기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인 연습방법과 효과적인 주기적 운동
볼링의 모든 것(개요,특성,효과,역사,원리,시설,장비,기술,용어 등)
[우수평가자료]덕혜옹주 독후감상문, 저자가 말하는 핵심내용분석과 느낀 점을 중심으로.
수영영법
[사회문제]가정폭력 개념과 유형 그리고 문제점 및 해결방안
탁구에관한모든것 - 이거이상탁구에관한것은없다
아쿠아로빅의 필요성
화물운송자 자격시험 요약집
[서평] 모두가 함께 하는 생활체육과 건강
HACCP 위생교육 사례(위생교육 자료, 단체급식 조리종사자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