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방의 구조
2. 유방암의 발생빈도
1) 외국의 유방암 발생 빈도
2) 우리나라의 유방암 발생 빈도
3. 유방암의 병인
1) 각 국가별 요소
2) 나이
3) 유방암 가족력 및 유전적 요소들
4) 호르몬 영향
5) 유방 질환 병력
6) 음식
7) 알콜
8) 담배
9) 몸무게
10) 방사선
4. 유방암 병기
5. 유방암의 증상
주기적 유방통
1) 빈도
2) 증상의 형태
3) 증상의 변화
4) 원인
비주기적 유방통
생리적 변화에 따른 멍울
유방의 변화에 따른 멍울
분비물
1) 유방암과 관계가 적은 분비물
2) 유방암을 의심하여야 할 분비물
유두 부위 습진, 궤양
유방 피부의 함몰이 있는 경우
유방 피부가 두꺼워 지는 경우
유방 피부에 전반적으로 염증성 변화가 생긴 경우
6. 유방암의 병리조직분류
7. 유방암의 전이
8. 유방암 생존률
9. 유방암의 합병증
10. 유방암의 진단검사 및 결과
11. 유방암의 치료
수술
1) 유방절제술
2) 방사선 요법
3) 보조요법
12. 유방암의 예방, 관리
2. 유방암의 발생빈도
1) 외국의 유방암 발생 빈도
2) 우리나라의 유방암 발생 빈도
3. 유방암의 병인
1) 각 국가별 요소
2) 나이
3) 유방암 가족력 및 유전적 요소들
4) 호르몬 영향
5) 유방 질환 병력
6) 음식
7) 알콜
8) 담배
9) 몸무게
10) 방사선
4. 유방암 병기
5. 유방암의 증상
주기적 유방통
1) 빈도
2) 증상의 형태
3) 증상의 변화
4) 원인
비주기적 유방통
생리적 변화에 따른 멍울
유방의 변화에 따른 멍울
분비물
1) 유방암과 관계가 적은 분비물
2) 유방암을 의심하여야 할 분비물
유두 부위 습진, 궤양
유방 피부의 함몰이 있는 경우
유방 피부가 두꺼워 지는 경우
유방 피부에 전반적으로 염증성 변화가 생긴 경우
6. 유방암의 병리조직분류
7. 유방암의 전이
8. 유방암 생존률
9. 유방암의 합병증
10. 유방암의 진단검사 및 결과
11. 유방암의 치료
수술
1) 유방절제술
2) 방사선 요법
3) 보조요법
12. 유방암의 예방, 관리
본문내용
정 및 가능한 합병증에 대한 정보도 교육한다.
수술 후 간호
간호사는 피부발적, 종창, 배액 냄새, 긴장도와 발열을 사정하기 위해 절개 부위와 피부판을 사정하고 창백함과 거무스름함을 사정하여야 한다. 피부판과 압박은 피해야만 한다. 환자의 체온을 유지시킨다. 피부판에 산소를 공급하고 순환을 증가시키기 위해 비강 산소를 투여할 수도 있다. 확장 수술에 대한 추후 설명은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2) 방사선 요법
근거리요법: 방사선 물질의 삽입
원격 방사선요법: 외부빔 사용(광양자 혹은 전자)
기타: 국소결절 조사
유방암 치료에서 방사선요법은 일차적 혹은 보조적 요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외부 빔으로 행해질 수 있거나 악성 조직 둘레의 간질에 이리듐 이식을 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추가조사용량”은 전자 광선을 이용하여 투여하거나 방사능 물질을 절개 부위로 삽입하여 투여할 수 있다. 방사선은 골 전이에 의한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stageⅣ 암에서 일시적 완화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부작용 - 피로, 피부반응
시술 전 간호
이리듐을 받는 환자는 병변이 있는 유방에 평행열 공동 플라스틱 카테터를 삽입함으로써 외과적으로 이식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횟수와 위치는 유방의 크기. 원 종양의 크기와 위치 및 조사되는 방사선의 용량에 따른다. 카테터는 수술실에서 설치한다. 환자가 회복실에서 깨어나면, 방사선 종양과의 모의 실험실에 가서 X-ray로 각 카테터에 필요로 되는 방사선 물질의 강도와 길이를 계산한다. 위치 추정 X-ray는 후부하(카테터에 이리듐을 배치하는 것)를 행하기 전에 카테터의 위치를 점검하는 데 사용된다.
시술 후 간호
환자는 카테터 부위에 압박감 혹은 무게를 느낄 수 있다. 이때는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방사선 물질은 약 24시간 가량 그 위치에 놓아두고, 카테터와 방사선 물질을 환자의 방에서 옮긴다. 그 후 마른 거즈 드레싱을 하고 환자는 퇴원한다.
방사선에 대한 유방 조직의 반응은 용량과 조직 민감도에 따라 다르다. 홍반과 같은 급성적이고 국소적인 염증 반응은 치료 후 여러 주일 동안 피부궤양을 유발할 수 있다. 유방의 잔여 수축과 피부색의 변화는 여러 달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액와의 섬유성 조직은 부분적으로 림프관을 폐쇄하여 림프 부종을 가져올 수 있다. 폐렴이나 섬유증식증이 없는지 관찰한다.
환자는 방향성이 있는 외용제나 자극을 유발하는 의복은 피하도록 한다. 근육 긴장을 유지하고 림프 부종을 예방하기 위해 운동을 하도록 한다. 유방 위축을 보상하기 위해 패드를 댄 브래지어를 착용할 수 있다.
환자교육
① 환측의 팔뿐만 아니라 수술 부위 피부 간호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② 계속적인 유방 자가검진의 중요성과 환측이 아닌 유방에 대한 지속적인 유방조영술에 대 해 교육한다.
③ 통증과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해 이완운동, 심상 유도요법 및 기분전환 활동과 같은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중재를 사용하도록 환자를 교육한다.
④ 신체상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Reach to Recovery Program과 같은 자원뿐 아니라 사회적 지지망을 사용하도록 격려한다.
3) 보조요법
복합화학요법: CMF, CMFVP, CA, CAF
항 estrogen요법: Tamoxifen citrate
Estrogens: DES, ethinyle estradiol
Androgens: Fluoxymesterone, testosterone, methyltestosterone
Progestins: Megestrol acetate, medroxyprogesterone
12. 유방암의 예방, 관리
1) 자가진단법
(1) 유방 자가 검진이란?
본인이 직접 자신의 유방을 만져보는 검사로 자신의 유방의 모양과 촉감에 익숙해지면
젖멍울과 구별되는 종괴를 찾을 수 있다.
유방 자가검진의 시기
생리를 하는 여성은 매달 월경이 끝난 후 1-2일에 하고 폐경이 된 여성이나 월경이 불규칙한 사람은 매월 일정한 날을 정하 여 시행해야 한다.
1단계 : 거울로 살펴 보기
①거울 앞에 선 상태에서 양팔을 모두 내린 자세로 양쪽 유방 크기, 피부색깔 변화, 유방 어느 곳의 함몰이 있는 지 관찰한다.
②양팔을 머리 위로 올린 자세에서 상체를 좌우로 30도씩 돌려가면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관찰한다.
③양손을 허리에 얹고 상체를 앞으로 약간 숙인 자세에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유방을 관찰한다.
2단계 : 서서 만져보기
①먼저 검진하려는 쪽 유방의 겨드랑이를 팔을 내린 상태에서 안에서 바깥쪽으로 촉진한다.
②검진하려는 쪽 유방의 팔을 머리위로 올린 상태에서 반대쪽 손의 세 손가락으로 유방을 젖꼭지에서 바깥쪽으로 원을 만들 면서 촉진해 나간다.
③젖꼭지를 상하 좌우로 짜봅니다. 이때 농빛이나 핏빛의 분비물이 나오는지 살펴본다.
④반대쪽 유방도 같은 방법으로 시행한다.
3단계 : 누워서 만져보기
① 검진하려는 쪽 어깨 밑에 수건을 받쳐 눕는다.
② 검진하려는 쪽 손등을 이마에 얹고 겨드랑이의 안쪽, 중앙, 바깥쪽을 촉진한다.
③ 검진하려는 쪽 팔을 올리고 반대쪽 손의 세 손가락으로 수직방향 혹은 나선방향으로 유방을 촉진한다.
* 유방 자가 검진 후 젖멍울과 구별되는 만져지는 부분이 있거나 유두 함몰, 유방 피부색 변화, 젖꼭지에서 핏빛이나 검붉은 색의 분비물이 나오면 의사의 진찰과 함께 영상의학과에서 유방촬영술과 유방 초음파를 시행하여야 한다.
2) 유방암 치료 후에는 정기적인 검사가 중요하다. 한 쪽 유방에 유방암이 있었던 여성은 다른 쪽 유방에 암이 발병할 위험이 높다. 따라서 주의 깊게 살펴보면서 치료받은 유방이나 다른 쪽 유방에 조금한 변화라도 있으면 즉시 의사에게 검진을 받아야 한다.
3) 유방암이었던 여성은 통증이나 식욕부진, 체중감소, 월경의 변화, 비정상적인 질 출혈, 흐릿한 시야 같은 신체적인 문제가 있으면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한 어지러움, 기침, 쉰 목소리, 두통, 요통, 소화기계 문제가 평상시와 다르다거나 사라지지 않으면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런 증상들이 암이 재발하는 증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수술 후 간호
간호사는 피부발적, 종창, 배액 냄새, 긴장도와 발열을 사정하기 위해 절개 부위와 피부판을 사정하고 창백함과 거무스름함을 사정하여야 한다. 피부판과 압박은 피해야만 한다. 환자의 체온을 유지시킨다. 피부판에 산소를 공급하고 순환을 증가시키기 위해 비강 산소를 투여할 수도 있다. 확장 수술에 대한 추후 설명은 환자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2) 방사선 요법
근거리요법: 방사선 물질의 삽입
원격 방사선요법: 외부빔 사용(광양자 혹은 전자)
기타: 국소결절 조사
유방암 치료에서 방사선요법은 일차적 혹은 보조적 요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외부 빔으로 행해질 수 있거나 악성 조직 둘레의 간질에 이리듐 이식을 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추가조사용량”은 전자 광선을 이용하여 투여하거나 방사능 물질을 절개 부위로 삽입하여 투여할 수 있다. 방사선은 골 전이에 의한 통증을 완화시키기 위해 stageⅣ 암에서 일시적 완화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부작용 - 피로, 피부반응
시술 전 간호
이리듐을 받는 환자는 병변이 있는 유방에 평행열 공동 플라스틱 카테터를 삽입함으로써 외과적으로 이식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횟수와 위치는 유방의 크기. 원 종양의 크기와 위치 및 조사되는 방사선의 용량에 따른다. 카테터는 수술실에서 설치한다. 환자가 회복실에서 깨어나면, 방사선 종양과의 모의 실험실에 가서 X-ray로 각 카테터에 필요로 되는 방사선 물질의 강도와 길이를 계산한다. 위치 추정 X-ray는 후부하(카테터에 이리듐을 배치하는 것)를 행하기 전에 카테터의 위치를 점검하는 데 사용된다.
시술 후 간호
환자는 카테터 부위에 압박감 혹은 무게를 느낄 수 있다. 이때는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방사선 물질은 약 24시간 가량 그 위치에 놓아두고, 카테터와 방사선 물질을 환자의 방에서 옮긴다. 그 후 마른 거즈 드레싱을 하고 환자는 퇴원한다.
방사선에 대한 유방 조직의 반응은 용량과 조직 민감도에 따라 다르다. 홍반과 같은 급성적이고 국소적인 염증 반응은 치료 후 여러 주일 동안 피부궤양을 유발할 수 있다. 유방의 잔여 수축과 피부색의 변화는 여러 달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액와의 섬유성 조직은 부분적으로 림프관을 폐쇄하여 림프 부종을 가져올 수 있다. 폐렴이나 섬유증식증이 없는지 관찰한다.
환자는 방향성이 있는 외용제나 자극을 유발하는 의복은 피하도록 한다. 근육 긴장을 유지하고 림프 부종을 예방하기 위해 운동을 하도록 한다. 유방 위축을 보상하기 위해 패드를 댄 브래지어를 착용할 수 있다.
환자교육
① 환측의 팔뿐만 아니라 수술 부위 피부 간호의 중요성에 대해 교육한다.
② 계속적인 유방 자가검진의 중요성과 환측이 아닌 유방에 대한 지속적인 유방조영술에 대 해 교육한다.
③ 통증과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해 이완운동, 심상 유도요법 및 기분전환 활동과 같은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중재를 사용하도록 환자를 교육한다.
④ 신체상 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Reach to Recovery Program과 같은 자원뿐 아니라 사회적 지지망을 사용하도록 격려한다.
3) 보조요법
복합화학요법: CMF, CMFVP, CA, CAF
항 estrogen요법: Tamoxifen citrate
Estrogens: DES, ethinyle estradiol
Androgens: Fluoxymesterone, testosterone, methyltestosterone
Progestins: Megestrol acetate, medroxyprogesterone
12. 유방암의 예방, 관리
1) 자가진단법
(1) 유방 자가 검진이란?
본인이 직접 자신의 유방을 만져보는 검사로 자신의 유방의 모양과 촉감에 익숙해지면
젖멍울과 구별되는 종괴를 찾을 수 있다.
유방 자가검진의 시기
생리를 하는 여성은 매달 월경이 끝난 후 1-2일에 하고 폐경이 된 여성이나 월경이 불규칙한 사람은 매월 일정한 날을 정하 여 시행해야 한다.
1단계 : 거울로 살펴 보기
①거울 앞에 선 상태에서 양팔을 모두 내린 자세로 양쪽 유방 크기, 피부색깔 변화, 유방 어느 곳의 함몰이 있는 지 관찰한다.
②양팔을 머리 위로 올린 자세에서 상체를 좌우로 30도씩 돌려가면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관찰한다.
③양손을 허리에 얹고 상체를 앞으로 약간 숙인 자세에서 위와 같은 방법으로 유방을 관찰한다.
2단계 : 서서 만져보기
①먼저 검진하려는 쪽 유방의 겨드랑이를 팔을 내린 상태에서 안에서 바깥쪽으로 촉진한다.
②검진하려는 쪽 유방의 팔을 머리위로 올린 상태에서 반대쪽 손의 세 손가락으로 유방을 젖꼭지에서 바깥쪽으로 원을 만들 면서 촉진해 나간다.
③젖꼭지를 상하 좌우로 짜봅니다. 이때 농빛이나 핏빛의 분비물이 나오는지 살펴본다.
④반대쪽 유방도 같은 방법으로 시행한다.
3단계 : 누워서 만져보기
① 검진하려는 쪽 어깨 밑에 수건을 받쳐 눕는다.
② 검진하려는 쪽 손등을 이마에 얹고 겨드랑이의 안쪽, 중앙, 바깥쪽을 촉진한다.
③ 검진하려는 쪽 팔을 올리고 반대쪽 손의 세 손가락으로 수직방향 혹은 나선방향으로 유방을 촉진한다.
* 유방 자가 검진 후 젖멍울과 구별되는 만져지는 부분이 있거나 유두 함몰, 유방 피부색 변화, 젖꼭지에서 핏빛이나 검붉은 색의 분비물이 나오면 의사의 진찰과 함께 영상의학과에서 유방촬영술과 유방 초음파를 시행하여야 한다.
2) 유방암 치료 후에는 정기적인 검사가 중요하다. 한 쪽 유방에 유방암이 있었던 여성은 다른 쪽 유방에 암이 발병할 위험이 높다. 따라서 주의 깊게 살펴보면서 치료받은 유방이나 다른 쪽 유방에 조금한 변화라도 있으면 즉시 의사에게 검진을 받아야 한다.
3) 유방암이었던 여성은 통증이나 식욕부진, 체중감소, 월경의 변화, 비정상적인 질 출혈, 흐릿한 시야 같은 신체적인 문제가 있으면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한 어지러움, 기침, 쉰 목소리, 두통, 요통, 소화기계 문제가 평상시와 다르다거나 사라지지 않으면 의사와 상의해야 한다. 왜냐하면 이런 증상들이 암이 재발하는 증상일 수 있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간호학특론A] 교환이론적 측면에 입각하여 병원급에서의 의사와 환자와의 관계 및 간호사의 ...
갑상선암 간호학 컨퍼런스 케이스 스터디 (Thyroid cancer Case Study)
성인간호학(암병동 케이스)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실습 폐렴(pneumonia) 간호과정
[성인간호학][Esophageal cancer][식도암]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결장암 케이스 스터디 (colon cancer case study) 간호과정
(간호학특론 D형) 파슨스의 환자역할에 대하여 만성질환자와 급성환자를 비교하여 사례 분석...
[성인간호학] 당뇨병의 분류, 당뇨환자 일반적인 치료 중재, 당뇨병 환자들에게 나타날 수 ...
당뇨병 분류, 당뇨병 환자 치료중재, 당뇨병환자 합병증과 간호, 당뇨병합병증 중 1가지 이상...
정신간호학 자살환자 간호 및 환자교육
성인간호학] 1영양지원 방법의 유형 적응증 및 장단점 비교 각각의 주요 간호중재방법-성인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