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시대별 분류
1) 1980년대 이전 영화의 특징
2) 1980년대 영화의 특징
3) 1990년대 영화의 특징
4) 2000년대 영화의 특징
3. 맺음말
2. 시대별 분류
1) 1980년대 이전 영화의 특징
2) 1980년대 영화의 특징
3) 1990년대 영화의 특징
4) 2000년대 영화의 특징
3. 맺음말
본문내용
흥행성공의 이유는 코미디를 앞세워서 영화를 폭력적으로 느끼게 하기 보다는 가벼운 엽기행각으로 만든데 있다고 하지만 이 보고서에서는 그 흥행의 이유를 ‘기존과는 다른 여성상의 변화’에서 찾고자 한다. 기존의 여성상은 앞에서 무수히 말해왔지만, 수동적이고 남성에 의해 남성을 위한 남성에 대한 여성상이었다. 이런 여성상을 이 영화에서는 당당하게 여성 그 자신 혼자만의 힘으로 모든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고, 자신의 위치를 세워나가는 여성을 그린 것이다. 이 영화는 이러한 여성의 모습으로 인한 변화로 흥행을 했다고도 할 수 있다.
또 2000년대 영화의 특징으로는 인터넷 소설의 영화화이다.
「엽기적인 그녀」와 「동갑내기 과외하기」가 인기를 끌면서 10대 취향의 인터넷 소설이 많이 개봉되었다.「내사랑 싸가지」, 「그놈은 멋있었다」, 「늑대의 유혹」등을 들 수가 있다. 여기서는 「엽기적인 그녀」를 보자.
어느 날 복학생인 견우는 인천행 지하철에서 취한 채 비틀거리는 그녀와 우연히 만나는데, 그녀가 음식물을 토한 후 견우를 자기애인 것처럼 대하는 난처한 상황에 빠진다. 이전 연인이 죽은 후 가슴에 깊은 상처를 안고 사는 그녀와 순진한 견우는 해프닝을 겪으면서 사랑의 감정을 키워 가는데, 결국 실연의 상처를 극복하지 못한 그녀는 타임캡슐에 서로의 마음을 담고 2년 후에 열어보자며 헤어지자는 뜻을 전한다. 그리고 2년 후, 둘은 처음에 그랬던 것처럼 다시 운명적으로 만나게 된다.
「엽기적인 그녀」
「엽기적인 그녀」에서도 여성은 기존의 여성상과는 다른 모습으로 등장한다. 말 그대로 기존의 여성상의 위치에서 보면 ‘엽기적’인 여성인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으로 인해 전지현은 스타로서의 입지를 확실히 할 수가 있었다. 우리 모두가 이것을 엽기적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마음속으로 그것을 동경하고 상상해왔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남자에게 당당히 맞서고 자신의 주장을 굽힘없이 말할 수 있는 그러한 여성을 말이다.
3. 맺음말
시대가 변함에 따라 대중매체에 나타나는 남성과 여성의 역할은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2000년대 전까지는 남성우월주의적 관점과 여성의 미모주의적 관점이 대부분이었지만 2000년대 오늘날의 대중매체에서는, 여성과 남성은 동등하다는 생각이 들고,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높아지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하지만 높아지고 있는 중이지 현재 남성보다 여성의 지위가 높다고 단적으로는 말할 수 없다. 단지 그 과정에 있는 것이다.
영화에서 여성은 주체적이지 못하고 남자의 부속물로서 관객들에게는 매력적인 눈요기의 대상에 지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드라마에서도 여성은 일하는 능력보다는 미모가 중점적으로 부각되고, 여성의 사회역할을 남성에 대해 순종적이고 의지하는 모습으로 고정화시키는 이미지를 표현한다. 문제는 여러 대중매체들이 수용자에게 이러한 여성의 왜곡된 이미지를 반복해 심어주면서 그것이 여성의 본질인 양 굳어지게 한다는 것이다. 포장된 화면들의 홍수에서 우리는 우리의 가치판단을 잃어버리고 있는 것이다. 다행히도 요즘에는 이러한 포장이 많이 벗겨지고 있는 중이지만, 아직도 그 포장은 여전히 우리에게는 두껍기만 하다. 하지만 이러한 포장을 벗길 수 있는 것도 또 덧붙일 수 있는 것도 대중매체이다. 이렇듯이 우리는 대중매체의 영향 하에서 벗어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렇듯 더욱 더 대중매체는 우리에게 아주 중요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대중매체를 통한 바람직한 여성상의 표현이 중요한 과제로 남고 있다.
*목차
1. 머리말
2. 시대별 분류
1) 1980년대 이전 영화의 특징
2) 1980년대 영화의 특징
3) 1990년대 영화의 특징
4) 2000년대 영화의 특징
3. 맺음말
또 2000년대 영화의 특징으로는 인터넷 소설의 영화화이다.
「엽기적인 그녀」와 「동갑내기 과외하기」가 인기를 끌면서 10대 취향의 인터넷 소설이 많이 개봉되었다.「내사랑 싸가지」, 「그놈은 멋있었다」, 「늑대의 유혹」등을 들 수가 있다. 여기서는 「엽기적인 그녀」를 보자.
어느 날 복학생인 견우는 인천행 지하철에서 취한 채 비틀거리는 그녀와 우연히 만나는데, 그녀가 음식물을 토한 후 견우를 자기애인 것처럼 대하는 난처한 상황에 빠진다. 이전 연인이 죽은 후 가슴에 깊은 상처를 안고 사는 그녀와 순진한 견우는 해프닝을 겪으면서 사랑의 감정을 키워 가는데, 결국 실연의 상처를 극복하지 못한 그녀는 타임캡슐에 서로의 마음을 담고 2년 후에 열어보자며 헤어지자는 뜻을 전한다. 그리고 2년 후, 둘은 처음에 그랬던 것처럼 다시 운명적으로 만나게 된다.
「엽기적인 그녀」
「엽기적인 그녀」에서도 여성은 기존의 여성상과는 다른 모습으로 등장한다. 말 그대로 기존의 여성상의 위치에서 보면 ‘엽기적’인 여성인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으로 인해 전지현은 스타로서의 입지를 확실히 할 수가 있었다. 우리 모두가 이것을 엽기적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마음속으로 그것을 동경하고 상상해왔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남자에게 당당히 맞서고 자신의 주장을 굽힘없이 말할 수 있는 그러한 여성을 말이다.
3. 맺음말
시대가 변함에 따라 대중매체에 나타나는 남성과 여성의 역할은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2000년대 전까지는 남성우월주의적 관점과 여성의 미모주의적 관점이 대부분이었지만 2000년대 오늘날의 대중매체에서는, 여성과 남성은 동등하다는 생각이 들고, 여성의 사회적 지위는 높아지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하지만 높아지고 있는 중이지 현재 남성보다 여성의 지위가 높다고 단적으로는 말할 수 없다. 단지 그 과정에 있는 것이다.
영화에서 여성은 주체적이지 못하고 남자의 부속물로서 관객들에게는 매력적인 눈요기의 대상에 지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드라마에서도 여성은 일하는 능력보다는 미모가 중점적으로 부각되고, 여성의 사회역할을 남성에 대해 순종적이고 의지하는 모습으로 고정화시키는 이미지를 표현한다. 문제는 여러 대중매체들이 수용자에게 이러한 여성의 왜곡된 이미지를 반복해 심어주면서 그것이 여성의 본질인 양 굳어지게 한다는 것이다. 포장된 화면들의 홍수에서 우리는 우리의 가치판단을 잃어버리고 있는 것이다. 다행히도 요즘에는 이러한 포장이 많이 벗겨지고 있는 중이지만, 아직도 그 포장은 여전히 우리에게는 두껍기만 하다. 하지만 이러한 포장을 벗길 수 있는 것도 또 덧붙일 수 있는 것도 대중매체이다. 이렇듯이 우리는 대중매체의 영향 하에서 벗어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렇듯 더욱 더 대중매체는 우리에게 아주 중요한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대중매체를 통한 바람직한 여성상의 표현이 중요한 과제로 남고 있다.
*목차
1. 머리말
2. 시대별 분류
1) 1980년대 이전 영화의 특징
2) 1980년대 영화의 특징
3) 1990년대 영화의 특징
4) 2000년대 영화의 특징
3.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