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본문내용
문제제기
‘불특정 다수를 향한 범죄’는 갑자기 나타난 사회문제가 아니다.
과거에서부터 존재해왔고 현재 우리사회에서 드물지 않게 일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심이 드물었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일탈의 예로서 범죄에 대해 짚어보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불특정 다수를 향한 범죄’의 원인을 개인적 원인과 사회적인 원인으로 나누어 살펴본 후 예방책까지 생각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Ⅰ. 일탈의 개념
사회 또는 집단의 규범을 위반하는 행위
Ⅱ. 일탈 행위에 관한 이론
1) 생물학적 이론
*이탈리아의 범죄학자 C. Lombroso:
범죄는 진화에 있어서 격세유전(evolutionary throwback)의 결과라 주장함.
*영국의 의사 C. Goring:
범죄자들과 일반인들의 신체적 특징이 아무런 차이가 없음을 밝힘.
2) 심리학적 이론
Freud는 일탈행위를 superego나 ego가 적절히 발달하지 못해서 id의 충동을 통제하지 못할 경우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았다.
3) 아노미 이론
① 뒤르껨의 아노미 이론
아노미는 전통사회가 산업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규범이 붕괴됨으로써 생겨나는 규범의 무정부 상태를 일컫는 말이다.
현대와 같이 다양한 규범들이 공존하는 사회에서는 아노미가 일상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② 머튼의 아노미 이론
머튼은 ‘무규범 상태’라는 뒤르껨의 아노미 개념을 재구성 하여‘문화적 목표’와 ‘제도적 수단’ 간의 갈등을 아노미라고 규정하였다.
‘불특정 다수를 향한 범죄’는 갑자기 나타난 사회문제가 아니다.
과거에서부터 존재해왔고 현재 우리사회에서 드물지 않게 일어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이에 대한 체계적인 관심이 드물었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일탈의 예로서 범죄에 대해 짚어보고 사례분석을 통하여 ‘불특정 다수를 향한 범죄’의 원인을 개인적 원인과 사회적인 원인으로 나누어 살펴본 후 예방책까지 생각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Ⅰ. 일탈의 개념
사회 또는 집단의 규범을 위반하는 행위
Ⅱ. 일탈 행위에 관한 이론
1) 생물학적 이론
*이탈리아의 범죄학자 C. Lombroso:
범죄는 진화에 있어서 격세유전(evolutionary throwback)의 결과라 주장함.
*영국의 의사 C. Goring:
범죄자들과 일반인들의 신체적 특징이 아무런 차이가 없음을 밝힘.
2) 심리학적 이론
Freud는 일탈행위를 superego나 ego가 적절히 발달하지 못해서 id의 충동을 통제하지 못할 경우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았다.
3) 아노미 이론
① 뒤르껨의 아노미 이론
아노미는 전통사회가 산업사회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규범이 붕괴됨으로써 생겨나는 규범의 무정부 상태를 일컫는 말이다.
현대와 같이 다양한 규범들이 공존하는 사회에서는 아노미가 일상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② 머튼의 아노미 이론
머튼은 ‘무규범 상태’라는 뒤르껨의 아노미 개념을 재구성 하여‘문화적 목표’와 ‘제도적 수단’ 간의 갈등을 아노미라고 규정하였다.
추천자료
범죄적 하위문화론
노인학대범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범죄의 원인
마약범죄의 폐해사례와 사회학적 이론 고찰
교정복지론 요약(제 1장 비행청소년과 범죄인의 재활/제 2장 비행청소년과 범죄인의 재활의 ...
성범죄의 예방 및 대책
비범죄화
[비행과 범죄] 비행청소년과 범죄인의 특성 및 이해
[범죄심리학] 사회학적 범죄학 - 아노미 이론, 사회해체이론, 문화적 전파론, 하위문화이론, ...
범죄생물학적 이론
현대사회와 범죄 - 범죄발생에 관한 사회 환경적 원인에 관한 이론
[비행청소년] 비행청소년의 정의, 비행청소년의 범죄유형, 비행청소년의 범죄 원인 및 해결방...
[원광대] 인강, 현대사회와 범죄 / 범죄학 중간+기말(1주차~15주차) 족보
낙태의 범죄화에 따른 문제점 및 공론화를 통한 비범죄화 정책의 필요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