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역사
2. 최초교육법에 나타난 교육의 이념 및 목적과 내용
3. 제 7차 교육과정
4. 편제
5. 우리나라교육의 목적
2. 최초교육법에 나타난 교육의 이념 및 목적과 내용
3. 제 7차 교육과정
4. 편제
5. 우리나라교육의 목적
본문내용
면적, 주기적, 일시적으로 개정되었으며,철저한 평가 연구에 기초하지 않아 설계가 허술하고 개정된 교육과정을 실현하는 여건의 뒷받침이 허술하여 현재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가 뜨겁게 이루어지고 있다.
교과목은 기본적으로 교육(과정)에서 학생의 더 나은 학습과 삶을 열어 주기 위한 수단이요 환경의 일부이다.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교과는 새롭게 재편될 수도 있어야 한다.
여러 요인에 따라 교과의 생성소멸은 다반사로 있는 일임에도 국가 교육과정이 교사 수급 위주로 교과목의 존폐와 교과목의 비중을 지켜주는 일에 지나치게 골몰하다 보니 교육과정 전문가들이 마땅히 해야할 일을 못해온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 교과목 편제 위주로, 편제에 따른 시간과 단위 배당 위주로 교육과정 개정을 멈추고 교육 내용과 활동 경험을 더욱 정련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 개정은 교육활동을 통해 가르쳐야 하는, 기르려고 하는, 배우려고 하는 기본능력을 밝히고 그것들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내용을 구성하는 것을 신중히 검토해야 할 것이다.
학생들의 현재와 장래의 삶(일상 생활, 직업)에서 요구되는, 학교 교육활동을 통해 기르려는 지적 활동을 위한 기본 능력과 그 교육적 의의를 밝혀주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이 될 수 있다. 이런 예는 호주(key competencies), 독일(core skills), 뉴질랜드(generic skills), 영국(core skills), 미국(basic skills) 등의 교육과정 관련 문서에서 흔히 찾아 볼 수 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직업 기초 능력으로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 능력, 자원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의 9 가지로 들고 있다(정철영 외, 1998).
이것들은 교과 영역에 결부되어 그것들을 넘어서 가르쳐질 수 있는 능력들이다.. 그 결과로 수업과 학습 및 평가에 의미 있는 변화를 초래하게될 것이다.교육목표, 교육과정, 수업, 교육평가에 이르는 과정이 일관되고 점진적인 개선의 과정이 되기 위해서는 이들 사이를 유기적으로 연계시키는 장치를 마련해야할 것이다.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기준, 교과별 교육과정, 학교 급별 교육과정, 개별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에 대한 종합적이고 꾸준한 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모든 수준과 형태의 교육과정에 대한 점검과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국가 교육과정의 질 관리는 교육과정 수정의 기획, 연구, 개발, 실험 검토, 고시와 적용 및 피드백에 이르기까지 전체 과정에서 필요로 되는 것이다. 국가 교육과정 관련 집단과 기관을 축으로 하는 국가 교육과정 개선팀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몇 차 몇 차하는 전면적 주기적 일시적 교육과정 개정을 넘어 실질적이고 내용있는 교육과정 개정을 위하여 점진적이고 항상적인 교육과정 평가 연구가 필요하며 이런 평가 연구가 실질적인 교육과정 개선으로 이어지는 고리를 만드는 작업이 요구된다.
교과목은 기본적으로 교육(과정)에서 학생의 더 나은 학습과 삶을 열어 주기 위한 수단이요 환경의 일부이다.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교과는 새롭게 재편될 수도 있어야 한다.
여러 요인에 따라 교과의 생성소멸은 다반사로 있는 일임에도 국가 교육과정이 교사 수급 위주로 교과목의 존폐와 교과목의 비중을 지켜주는 일에 지나치게 골몰하다 보니 교육과정 전문가들이 마땅히 해야할 일을 못해온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지울 수 없다. 교과목 편제 위주로, 편제에 따른 시간과 단위 배당 위주로 교육과정 개정을 멈추고 교육 내용과 활동 경험을 더욱 정련하는 방향으로 변화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과정 개정은 교육활동을 통해 가르쳐야 하는, 기르려고 하는, 배우려고 하는 기본능력을 밝히고 그것들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내용을 구성하는 것을 신중히 검토해야 할 것이다.
학생들의 현재와 장래의 삶(일상 생활, 직업)에서 요구되는, 학교 교육활동을 통해 기르려는 지적 활동을 위한 기본 능력과 그 교육적 의의를 밝혀주는 것이 매우 중요한 일이 될 수 있다. 이런 예는 호주(key competencies), 독일(core skills), 뉴질랜드(generic skills), 영국(core skills), 미국(basic skills) 등의 교육과정 관련 문서에서 흔히 찾아 볼 수 있다.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직업 기초 능력으로 의사소통능력, 수리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관리 및 개발 능력, 자원활용능력, 대인관계능력, 정보능력, 기술능력, 조직이해능력의 9 가지로 들고 있다(정철영 외, 1998).
이것들은 교과 영역에 결부되어 그것들을 넘어서 가르쳐질 수 있는 능력들이다.. 그 결과로 수업과 학습 및 평가에 의미 있는 변화를 초래하게될 것이다.교육목표, 교육과정, 수업, 교육평가에 이르는 과정이 일관되고 점진적인 개선의 과정이 되기 위해서는 이들 사이를 유기적으로 연계시키는 장치를 마련해야할 것이다.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기준, 교과별 교육과정, 학교 급별 교육과정, 개별 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에 대한 종합적이고 꾸준한 평가가 요구되고 있다.
모든 수준과 형태의 교육과정에 대한 점검과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국가 교육과정의 질 관리는 교육과정 수정의 기획, 연구, 개발, 실험 검토, 고시와 적용 및 피드백에 이르기까지 전체 과정에서 필요로 되는 것이다. 국가 교육과정 관련 집단과 기관을 축으로 하는 국가 교육과정 개선팀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국가 교육과정 모니터링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몇 차 몇 차하는 전면적 주기적 일시적 교육과정 개정을 넘어 실질적이고 내용있는 교육과정 개정을 위하여 점진적이고 항상적인 교육과정 평가 연구가 필요하며 이런 평가 연구가 실질적인 교육과정 개선으로 이어지는 고리를 만드는 작업이 요구된다.
추천자료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학습)의 개념과 가치,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학습)의 연구사...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중점과 목표, 고등학교 선택중심교육과정, 고등학교 재량활동교육과정...
[교육과정][교육과정의 관련법규][교육과정의 개선방안]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의 필요성,...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정의와 형태,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운영지침과 운영실...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교육적 의미와 필요성,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목표와 기본원칙, 재량활동...
[사회과교육과정]사회과교육과정의 특성, 사회과교육과정의 목적, 사회과교육과정의 개정 배...
[제7차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 고등학교선택중심교육...
[제7차교육과정][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고등학교선택중심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의 편성, 제...
단계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 개념과 도입배경, 단계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 학습) 운...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의 의미, 종류, 중요성,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의...
[제7차교육과정] 제7차교육과정의 특성과 기본 방향, 제7차교육과정의 절차, 제7차교육과정의...
[제7차교육과정][특별활동][재량활동]제7차교육과정 개정, 제7차교육과정 학교교육과정, 제7...
[제7차교육과정]제7차교육과정의 도입 과정, 제7차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제7차교육과정 추구...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경험과 교육듀이의 경험중심 교육과정을 중심으로,듀이의 교과발달 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