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줄거리
0.도입부분에 대한 소개
1.진리의 큰 바다는 믿음으로 들어가고, 지혜로 건너간다.
2.모든 것은 낮아서 바다가 되고 하늘은 거기에 내려와져 있다.
3.허무처럼 큰 공간은 없다.
4.흐르는 것을 따르라 흐르지 않는 것을 따르지 말라
5.애욕을 비웃지마라 보살의 씨앗이다
6.있다 그리고 없다
7.불가사의한 중생의 업
8.이 세상에 홀로 있는 것은 없다
9.세상은 자신을 잃어가면서 세상이 되는 구나
0.도입부분에 대한 소개
1.진리의 큰 바다는 믿음으로 들어가고, 지혜로 건너간다.
2.모든 것은 낮아서 바다가 되고 하늘은 거기에 내려와져 있다.
3.허무처럼 큰 공간은 없다.
4.흐르는 것을 따르라 흐르지 않는 것을 따르지 말라
5.애욕을 비웃지마라 보살의 씨앗이다
6.있다 그리고 없다
7.불가사의한 중생의 업
8.이 세상에 홀로 있는 것은 없다
9.세상은 자신을 잃어가면서 세상이 되는 구나
본문내용
난해한 영화 이었지만 결국 깨달음을 얻게 되는 선재를 보면서 나는 많을 것을 느끼게 되었다. 그중 가장 크게 느낀 것은 마치 유교의 그것과 같았다. 돌고 도는 것이다. 만물이 순환한다는 것이다. 처음 선재가 여행을 시작하게 되고 그리고 마지막에 깨달음을 얻고 난후의 선재 결국 선재는 돌고 돌아 제자리에 온 것이다. 하지만 처음 여행을 시작할 때와 마음가짐이 다르다는 것이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즉 9번째 시리즈에서 깨달음을 얻는 선재, 그리고 원효대사의 깨달음을 얻는 이야기 등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만물은 계속 순환하고 돌고 돌지라도 그것을 어떻게 받아 들이냐에 따라 똑같은 것이 다른 것 이 되고 싫은 것이 좋은 것이 되는 것이라는 것, 그리고 있는 것이 없는 것이고, 없는 것이 있는 것이 된다는 것이다. 내가 읽었던 시크릿 이라는 책에서도 그 사람의 생각 즉, 마음가짐이 중요하다고 이야기 하는 사실 돌이켜보면 우리가 사는 세상 그리고 모든 좋은 책들과, 경언, 위대한 사람들의 말속에는 마음가짐이 담겨있는 것 같다. 결국 사람의 마음가짐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영화에서 힘들게 그리고 여러 시리즈를 거쳐서 하고 싶은 결론은 이것이 아니었나 생각해 본다.
추천자료
[영화] 화엄경을 보고
한국사상에서 나(또는 인간)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의 화엄경
[불교][불교사상][불교문화][연기론][한국문화][불교 기원][불교 목적][불교 내용][불교 전개...
[불교][불교사상][한국불교]불교와 불교사상 및 한국불교의 특징(석가모니의 설교 방법, 삼국...
[불교사상][불교전래][불교의의][불교경전][초기불교][연기론][삼국시대불교][불교]불교사상...
[불교][불교사상][한국 불교][남북국시대 불교][고려시대 불교]불교 및 불교사상과 한국불교...
소승불교와 대승불교의 불교윤리 개론
영화 화엄경 감상문
[불교 미륵][불교 미륵신앙]불교 미륵의 기원, 불교 미륵의 사상, 불교 미륵신앙의 역사적 의...
화엄경의 중심사상
[불교불상][불교][불상][불교불상 정의][불교불상 종류][불교불상 전래][불교불상 발전][불교...
[영화 감상문] ‘화엄경 (華嚴經 / The Avatamska Sutra)’
인문학강의 Who am I 『인간을 보는 다른 시선』 베르나르 베르베르(Bernard Werbe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