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이 발성에 미치는 영향, 호흡근과 발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리포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흡이 발성에 미치는 영향, 호흡근과 발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리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제를 선택한 이유
2. 발성을 할 때 근육들의 메커니즘
3. 근육의 작용이 발성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
4. 발성에서의 근육의 중요성
5. 실제로 적용해 봤을 때의 개인적인 경험과 사례
6. 결론

본문내용

사각근, 목빗근 등의 보조 호흡근들도 있긴 하지만 우리가 발성을 할 때 쓰이는 주된 흡기근으로는 횡격막, 외늑간근이 있고, 주된 호기근으로는 복직근, 복횡근, 외복사근, 내복사근, 내늑간근이 있다. 우리 몸의 대부분의 근육들은 서로 근막으로 머리부터 발끝까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근육이 단일적으로 움직이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구조이다. 그래서 호흡근과 코어근이 후두와 성대에까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이다. 성대를 조절하는 내후두근은 후두를 이루고 있는 연골들에 붙어있으며, 대부분 한 쪽은 버티고 한 쪽은 끌어당기는 형태로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내후두근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각 연골들과 후두의 안정성이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된다. 후두가 단단히 고정되지 않고 후두의 위치가 급격하게 변하게 되면 성대의 빠른 진동, 강한 접촉을 버티지 못하고 근육의 텐션이 풀리면서 음질이 변하게 되기 때문에 강질의 소리와 강질의 고음을 내기 위한 필수 조건은 바로 후두를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 후두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외후두근이다. 외후두근은 후두를 올리는 근육인 설골상근과 후두를 내리는 근육인 설골하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설골상근과 설골하근이 모두 강하게 수축해서 후두가 단단하게 고정될수록 성대가 빠르게 진동하거나 강하게 접촉할 수 있는 조건이 만들어지게 되며, 만약 어느 한 쪽의 수축이 우세하면 후두는 고정되지 않고, 과도하게 올라가거나 내려가게 되며 발성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예를 들어 설골하근이 이완된 상태에서 설골상근만 수축한다면 후두가 상승하면서 삼킴 작용에 의해 목이 막히게 되고, 설골상근을 이완시키고 설골하근이 우세하면 오히려 후두가 짓눌리게 되면서 목이 막히고 윤상갑상근의 수축이 차단돼서 고음을 내기가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가 생기게 된다.
  • 가격3,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5.07.03
  • 저작시기2023.04
  • 파일형식기타(docx)
  • 자료번호#49582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