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음식에 집착하게 하는 원인
2.1. 경제적 원인
2.1.1. 기업들의 전략적 마케팅
2.1.2. 음식 소비의 세계화
2.2. 사회적 원인
2.2.1. 사회구조의 변화
2.2.2. 과도한 스트레스
2.2.3. 외모지상주의
2.2.4. 자기관리의 덫
2.3. 문화적 원인
2.3.1. 대중매체
2.3.2. 개인 미디어
2.4. 심리적 원인
2.4.1. 고급문화의 동경
2.4.2. 스트레스 해소의 부재
2.4.3. 음식에 대한 박탈감
2.4.4.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
3. 음식에 대한 현대인의 집착이 야기하는 문제점
3.1. 경제적 문제점
3.2. 건강상의 문제점
3.2.1. 신체적 문제
3.2.2. 정신적 문제
3.3. 사회적 문제점.
4. 음식에 대한 집착의 해결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2. 음식에 집착하게 하는 원인
2.1. 경제적 원인
2.1.1. 기업들의 전략적 마케팅
2.1.2. 음식 소비의 세계화
2.2. 사회적 원인
2.2.1. 사회구조의 변화
2.2.2. 과도한 스트레스
2.2.3. 외모지상주의
2.2.4. 자기관리의 덫
2.3. 문화적 원인
2.3.1. 대중매체
2.3.2. 개인 미디어
2.4. 심리적 원인
2.4.1. 고급문화의 동경
2.4.2. 스트레스 해소의 부재
2.4.3. 음식에 대한 박탈감
2.4.4. 건강한 삶에 대한 욕구
3. 음식에 대한 현대인의 집착이 야기하는 문제점
3.1. 경제적 문제점
3.2. 건강상의 문제점
3.2.1. 신체적 문제
3.2.2. 정신적 문제
3.3. 사회적 문제점.
4. 음식에 대한 집착의 해결 방안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성형수술을 할 용의가 있다고 답했으며 3%는 체중 관리를 위해 먹은 걸 토하거나 아예 먹지 않는다고 털어놓았다. 자신의 욕망을 조절하지 못하고 필요 이상의 음식을 먹고 토하기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다. 전문가들은 “거식증 뿐 아니라 식욕과 관련된 식이장애는 주로 스트레스나 사회적 시선에 대한 자신의 왜곡된 판단에 의한 것이 많기 때문에 오히려 문명이 발달하고 기본적인 식욕이 해결되는 곳에서 더욱 많이 일어난다” 고 설명한다. 사실 필자의 주변에서도 이미 두 명이 식이장애로 병원치료를 받는 것을 보았다. 이들 모두 단 일 년 전만해도 그냥 맛있는 음식을 찾아다니는 평범한 사람들이였다. 이런 사례를 직접 보면서 음식에 집착하는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이러한 정신적 문제에 언제나 노출되어 있는 샘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성인이 되기도 전에 외모지상주의에 잔뜩 상처받은 청소년들이 자랐을 때 그 욕망을 어떻게 해소할 수 있을지가 궁금하다.
3.3. 사회적 문제
좋은 음식점에서 식사를 하고, 인터넷 블로그를 뒤져 비싸고, 맛있는 집을 찾아가 배부르게 식사를 하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건 개인의 취향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개인이 정상적으로 매우 긍정적인 방향으로 음식을 즐길 수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맛있고 질 좋은 음식을 먹는 것을 부추기는 것은 현대의 제 2의 포식신화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아주 가난 하던 시절 배가 부르다는 말의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하던 시절에 포식신화가 떠돌았다고 한다. 예수님이 빵 2 조각으로 수 천명의 사람의 배가 부르게 먹였다는 것과 같다. 한국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존에 필요한 만큼의 음식을 먹을 수 있지만, 맛있고 질 좋은 음식에 대한 욕망은 새로운 음식에 대한 신화를 창조한다. 실제로 음식의 맛과는 상관없이 인간 스스로가 창조해 놓은 환상의 맛을 느끼려고 한다. 그리고 실제로 있지도 않는 것을 있다고 믿으면서 그걸 먹어 보지 못한 것에 대하여 상대적 빈곤감을 느끼게 된다. 이것은 예전에 계란 프라이가 부유함을 상징하여 동경하던 때와는 다르다. 이전과 다르게 현재는 충분한 에너지를 섭취하고, 풍족한 생활을 즐기면서도 최상의 맛, 더욱 좋은 맛을 끊임없이 동경하고 충족하고자 한다. 그러면서 현재의 자신이 즐기고 있는 식문화의 즐거움을 놓쳐버리는 실수를 저지른다.
4. 음식에 대한 집착의 해결 방안
음식에 대한 집착의 해결 방안은 다각적으로 분석을 해본 원인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우선 경제적으로는 밀려드는 외국의 새로운 음식들과 경쟁 사회에서의 마케팅의 측면을 궁극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비교적 통제할 수 있는 부분인 사회적 원인과 심리적 원인, 그리고 문화적 원인에 대하여 방안을 찾아야 한다. 사회적 원인에서 우리는 소비 지향적인 사회의 분위기를 쇄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명품을 소비하고 비싼 음식을 선호하고, 웰빙이 아닌 웰바잉의 시대를 살고 있다. 그 속에서 진정한 행복이 소비에 있지 않다는 사회 전반적인 깨달음이 필요하다. 또한 애정을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 소비를 최고로 치는 사회 분위기도 바뀌어야 한다. 좋은 레스토랑에서 밥을 사는 것이 사랑의 표현이 아니라는 사실을 개인적으로도 알아야 하며, 문화는 생산하는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더욱 신경 써야 한다. 그리고 거식증, 폭식증 등 심각한 정신장애를 유발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히던 사회의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외모지상주의가 만연한 사회분위기를 누그러트릴 필요가 있다. 아름다움을 좋아하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라고 하지만, 여기서의 아름다움은 이상화된 아름다움으로 도저히 인간이 만족시키기 어려운 것에 기준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런 외모 지상주의를 부추기는 언론매체들도 이것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하지만 이 모든 것 중에 가장 우선 되어야 할 것은 개인이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스스로 즐거운 일거리를 찾고, 취미생활을 가지고, 현재의 자신의 모습 그대로에 만족하고 보듬어야 한다. 우리는 사회적으로 경제적으로 문화적으로 수많은 영향을 받고 살아가고 있지만, 제대로 된 잣대를 가지고 있다면, 비판적인 사고를 할 만한 능력이 된다면 그런 것들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5. 결론
필자는 현대의 한국인들이 얼마나 음식에 집착하고 있는 가를 알아보았고, 그 원인에 대하여 심리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분석을 해 보려고 하였다. 이것 이외에도 사실은 너무나 다양한 원인들이 있었다. 이 모든 분석의 기초는 음식이 인간의 생존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라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렇게 우리의 삶 속에 너무나 중요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너무나 커질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식탐의 문제를 가볍게만 보는 경향이 있다. 이 부분에서 음식을 두려워하며 스스로의 생명을 위협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사실을 유심히 살펴야 한다. 날씬해야 한다는 보이지 않는 사회적 압력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모든 가치를 소비에만 부여하는 사고방식이 존재하고, 마구 뿌려지는 광고와 음식에 관련된 넘치는 정보들이 매일 우리를 유혹한다. 이런 것들이 우리를 음식에 많은 신경을 쓰게 만들고 있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탐식에 대한 그 위험성을 명확히 깨닫고 있다면 큰 문제가 일어나기 전에 좋은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상일, “대한민국소비트렌드”, 2004, 원앰원북스
박용우,“신인류 다이어트”, 2006, 김영사
캐럴라인 랩,“세상은 왜 날씬한 여자를 원하는가”, 2006, 북하우스
C.S.루이스, “스크루테이프의 편지”, 2006
http://www.pbj.co.kr/news/read.php?idxno=31887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70411MW071708933837
http://www.joongdoilbo.co.kr/jsp/article/article_detail.jsp?article_no=200602130106%20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0707/h2007070918581421950.htm
3.3. 사회적 문제
좋은 음식점에서 식사를 하고, 인터넷 블로그를 뒤져 비싸고, 맛있는 집을 찾아가 배부르게 식사를 하는 것은 그 자체만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건 개인의 취향이라고 할 수 있다. 그 개인이 정상적으로 매우 긍정적인 방향으로 음식을 즐길 수도 있다. 하지만 이렇게 맛있고 질 좋은 음식을 먹는 것을 부추기는 것은 현대의 제 2의 포식신화를 만들어 내는 것이다. 아주 가난 하던 시절 배가 부르다는 말의 뜻을 잘 이해하지 못하던 시절에 포식신화가 떠돌았다고 한다. 예수님이 빵 2 조각으로 수 천명의 사람의 배가 부르게 먹였다는 것과 같다. 한국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생존에 필요한 만큼의 음식을 먹을 수 있지만, 맛있고 질 좋은 음식에 대한 욕망은 새로운 음식에 대한 신화를 창조한다. 실제로 음식의 맛과는 상관없이 인간 스스로가 창조해 놓은 환상의 맛을 느끼려고 한다. 그리고 실제로 있지도 않는 것을 있다고 믿으면서 그걸 먹어 보지 못한 것에 대하여 상대적 빈곤감을 느끼게 된다. 이것은 예전에 계란 프라이가 부유함을 상징하여 동경하던 때와는 다르다. 이전과 다르게 현재는 충분한 에너지를 섭취하고, 풍족한 생활을 즐기면서도 최상의 맛, 더욱 좋은 맛을 끊임없이 동경하고 충족하고자 한다. 그러면서 현재의 자신이 즐기고 있는 식문화의 즐거움을 놓쳐버리는 실수를 저지른다.
4. 음식에 대한 집착의 해결 방안
음식에 대한 집착의 해결 방안은 다각적으로 분석을 해본 원인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우선 경제적으로는 밀려드는 외국의 새로운 음식들과 경쟁 사회에서의 마케팅의 측면을 궁극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 비교적 통제할 수 있는 부분인 사회적 원인과 심리적 원인, 그리고 문화적 원인에 대하여 방안을 찾아야 한다. 사회적 원인에서 우리는 소비 지향적인 사회의 분위기를 쇄신해야 할 필요가 있다. 우리는 명품을 소비하고 비싼 음식을 선호하고, 웰빙이 아닌 웰바잉의 시대를 살고 있다. 그 속에서 진정한 행복이 소비에 있지 않다는 사회 전반적인 깨달음이 필요하다. 또한 애정을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서 소비를 최고로 치는 사회 분위기도 바뀌어야 한다. 좋은 레스토랑에서 밥을 사는 것이 사랑의 표현이 아니라는 사실을 개인적으로도 알아야 하며, 문화는 생산하는 생산자의 입장에서는 더욱 신경 써야 한다. 그리고 거식증, 폭식증 등 심각한 정신장애를 유발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히던 사회의 외모지상주의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필요하다. 외모지상주의가 만연한 사회분위기를 누그러트릴 필요가 있다. 아름다움을 좋아하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라고 하지만, 여기서의 아름다움은 이상화된 아름다움으로 도저히 인간이 만족시키기 어려운 것에 기준을 두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이런 외모 지상주의를 부추기는 언론매체들도 이것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하지만 이 모든 것 중에 가장 우선 되어야 할 것은 개인이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스스로 즐거운 일거리를 찾고, 취미생활을 가지고, 현재의 자신의 모습 그대로에 만족하고 보듬어야 한다. 우리는 사회적으로 경제적으로 문화적으로 수많은 영향을 받고 살아가고 있지만, 제대로 된 잣대를 가지고 있다면, 비판적인 사고를 할 만한 능력이 된다면 그런 것들이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5. 결론
필자는 현대의 한국인들이 얼마나 음식에 집착하고 있는 가를 알아보았고, 그 원인에 대하여 심리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분석을 해 보려고 하였다. 이것 이외에도 사실은 너무나 다양한 원인들이 있었다. 이 모든 분석의 기초는 음식이 인간의 생존에 필수불가결한 요소라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렇게 우리의 삶 속에 너무나 중요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하면 너무나 커질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식탐의 문제를 가볍게만 보는 경향이 있다. 이 부분에서 음식을 두려워하며 스스로의 생명을 위협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사실을 유심히 살펴야 한다. 날씬해야 한다는 보이지 않는 사회적 압력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모든 가치를 소비에만 부여하는 사고방식이 존재하고, 마구 뿌려지는 광고와 음식에 관련된 넘치는 정보들이 매일 우리를 유혹한다. 이런 것들이 우리를 음식에 많은 신경을 쓰게 만들고 있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탐식에 대한 그 위험성을 명확히 깨닫고 있다면 큰 문제가 일어나기 전에 좋은 해결책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상일, “대한민국소비트렌드”, 2004, 원앰원북스
박용우,“신인류 다이어트”, 2006, 김영사
캐럴라인 랩,“세상은 왜 날씬한 여자를 원하는가”, 2006, 북하우스
C.S.루이스, “스크루테이프의 편지”, 2006
http://www.pbj.co.kr/news/read.php?idxno=31887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070411MW071708933837
http://www.joongdoilbo.co.kr/jsp/article/article_detail.jsp?article_no=200602130106%20
http://news.hankooki.com/lpage/society/200707/h2007070918581421950.htm
키워드
추천자료
마케팅이란 무엇인가?마케팅에 관한 모든분석자료
<마케팅원론> 강한 마케팅 조직을 위한 방향성 모색
[마케팅관리] LG텔레콤의 ‘폰앤펀’의 체험마케팅분석과 마케팅전략수립 (A+리포트)
<국제마케팅>자랑스러운 중소기업 ROSE Telecom의 인도시장 장악 마케팅 전략
마케팅 실패 사례 / 마케팅 사례의 총괄적인 분석
[중소기업경영론]성공한 중소기업과 실패한 중소기업을 각각 1개씩 선정한 후, 해당 중소기업...
심비오틱 마케팅(Symbiotic Marketing) 성공사례, 성공요인, 성공전략, 경영전략, 마케팅 전...
미녀는석류를좋아해,감각기억,단기기억,장기기억,기억과마케팅,마케팅전략,기억마케팅
마케팅 전략 - 에이스침대 마케팅 전략 - 경쟁분석, 마케팅 전략 핵심
피자헛기업분석,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관리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
IT업계보고서 구글의창조경영,구글의혁신경영사례,구글마케팅전략성공,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
<글로벌마케팅 중간고사> 모범답안 (글로벌마케팅, 마케팅, 관리방안, 배경, 문화, 혁신, 정...
[ 콜라보레이션 마케팅 사례연구 레포트 ] 콜라보레이션의 개념과 특징,성공요인분석및 콜라...
코즈마케팅 개념,도입효과분석과 코즈마케팅 기업 성공,실패사례분석및 코즈마케팅 향후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