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다.
⑧보충학습은 학습내용을 학생의 수준에 맞게 재조직하여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활동에 참여하도록 한다.
⑨시청각 자료 및 멀티미디어를 다양하게 활용하여 흥미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한다.
⑩말하기와 쓰기 지도는, 초기에는 의미 전달에 중점을 두어 지도하고, 점진적으로 유창성을 높여 가도록 지도한다.
⑪말하기 지도 초기에는, 의사 소통이 될 정도의 오류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수정을 피하도록 한다.
104.게임 활용의 효과(해.193)× 11
①학생의 학습동기 유발
②불확실성의 요소로 인한 학생주의 집중, 흥미 부여
③학습의 부담감 감소
④협동심 기름
⑤게임을 통한 학습활동에 적극적 참여
105.게임 사용시 교사의 유의점(해.193)
①교육목표 달성하기 위한 치밀한 계획을 거쳐 사용
②게임의 의미 : 일상적인 휴식이 아니라, 게임속에서 언어를 사용함으로 언어 학습에 도움
③발음, 어휘, 문법, 다양한 언어기능 등을 연습,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가능
106.듣기말하기 및 어휘 지도에
활용가능 게임(해.193)× 9
①Pictures and Sounds
②말 이어가기 게임
③속삭이기 게임
④Tick-tac-toe(삼목놓기)
⑤Scramble
⑥Hot and cold
⑦What's missing?
⑧Mamma says
⑨Bingo game
107.읽기 지도 활용 게임(해.196)× 3
①사전 찾기(dictionary search)
②낱말/문장 인식 게임(word/sentence recognition)
③이야기 순서 배열하기(text ordering)
108.쓰기 지도 활용 게임(해.196)× 2
①숨은그림찾기
②16 Cats
109.노래나 게임을 수업시간 활용할 때
유의할 점(해.197)× 9
①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강화할 수 있도록,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과 관련있는 게임 선택
②기다리는 시간이 적은 게임 적합
③학습활동의 종류나 속도를 다양하게 전개하여 학생들의 흥미 유도
④새로운 개념을 한두 가지만 포함
⑤간단한 게임, 게임요령 및 규칙의 분명한 전달
⑥학생의 흥미가 없어질 때쯤에는 학습활동의 종류 변화
⑦그 게임을 좋아하는 그룹은 그 게임을 계속하게 하고, 다른 그룹은 다른 계임을 하도록 다양하게 진행
⑧초보 단계에서 승자와 패자를 가르는 게임 부적절
⑨학습 상황과 시기에 맞게 창의적인 게임 활용
110.학생 중심 학습의 특징(해.199)× 4
①학생들의 필요, 학습형태, 학습목표에 초점을 둔 교수방법 사용
②학습내용과 목표는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니며, 학생들이 학습내용 및 방법에 대한 영향 가능
③학생들의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교수학습활동 권장
④학생들의 성취감, 자존심 고취 역점
111.짝활동, 조별, 분단별 학습시
주의할점 (해.199)× 2
①전제 집단수업과의 균형
②자발적이고 자신감 있는 의사소통활동 참여 위해 자유로운 학습 분위기 조성
112.소집단 활동시유의점(배이.550)× 7
①학급의 학생수가 많은 소집단 활동 바람직
②비좁은 교실에서는 학생들이 책상을 이동하는 것보다 소집단의 인원수를 달리함
③길지 않게 부분적으로 집단활동 도입
④학생 수준에 맞는 영어 사용
⑤학생들이 재능과 인성의 다양성 인정
⑥학생들이 범하는 오류나 실수는 직접 수정하지 않음
⑦소집단 활동 후 결과 보고 및 토의 실시
113.말하기지도의 중점과 지도시 유의점
(해.199)
①중점 : 유창성의 신장을 목표로 하고 점차적으로 정확한 표현을 사용하는 데 중점
②지도시 유의점 : 학생들의 발화시 의사소통에 그다지 지장을 주지 않는 실수는 즉각적으로 수정하지 않고 지나감
114.영어과 평가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
(해.201)× 5
①결과 중심의 평가가 아닌, 학생들이 주의 집중하여 학습할 수 있는 분위를 만들어 주는 자극임을 인지
②학생들의 심리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하되, 계량적 평가 지양
③게임이나 역할 놀이 같은 의사소통 활동시에 참여의욕, 태도, 의사소통 능력등을 관찰하여 서술식 기록
④음성언어 중심으로 지도하고, 음성 언어 사용능력의 관찰, 과업 수행등의 방법으로 평가
⑤심화보충 집단으로 나눌때에는 열린 교육의 수업 형태속에서 자연스러운 집단 형성 유도
115.영어교과의 평가결과 활용(해.201)
× 6
①학습자가 자기가 학습하고 행히야 할 것을 알려줌
②학생에게 영어 학습의 성취 정도 알려줌
③학생 학습동기 부여
④교사에게 학생의 진단 및 배치를 위한 정보 제공
⑤교사가 교수학습의 수준을 조정하고,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하는데 사용
⑥학생, 학부모, 학교가 기준에 대한 결정 도움자료
116.영어과 활용 수행평가의 유형
(해.202)
①실기시험
②관찰법
117.관찰법의 평가항목(해.202)× 4
①참여 의욕
②태도
③의사 소통 능력
④과업 수행 능력
118.음성언어 능력 평가 척도(해.205)
× 4
①발음의 유창도
②어휘 구사력
③정확성
④의사 소통 능력
119.평가자의 잘못된 관점으로
평가의 역류현상이 일어나는 것
backwash
120.실수(mistake)와 오류(error)의
차이
①실수 : 언어 수행상의 오류로 이미 알고 있는 체계를 정확히 활용하지 못해서 생김
②오류 : 학습자가 수행하는 시점에서의 언어를 직접적으로 표시해주는 중간언어의 특이성으로 언어가 발전해가고 있다는 증거
121.오류수정 지도시 교사의 지도원칙
①학생들이 발화 중 오류를 범하는 현상을 학생 스스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자신들이 범한 오류를 직접 수정하도록 격려
②오류 발생의 원인을 분석, 파악하여 그 결과를 수업에 반영시켜 지도함으로써 이후에 똑같은 오류가 학생들에게 재발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함
③학생들이 수업중에 반복되는 오류를 유념해 두었다가 수업이 끝날 때쯤 정확한 표현을 지도해야 함
122.Let's Sing/Chant
1)설정 취지
2)chant 지도시 유의점
①언어 특유의 리듬 살려 놀이처럼 발화하며 재미 느낌
②중요 낱말이나 표현의 반복적 발화 익히기
①우선 CD-ROM Title 또는 녹음 테이프로 익히고
②교사와 학생이 직접 구두로 소리
③손동작 또는 율동 가미 가능
④분단 또는 조별활동을 통해 의사소통 분위기
⑧보충학습은 학습내용을 학생의 수준에 맞게 재조직하여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활동에 참여하도록 한다.
⑨시청각 자료 및 멀티미디어를 다양하게 활용하여 흥미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한다.
⑩말하기와 쓰기 지도는, 초기에는 의미 전달에 중점을 두어 지도하고, 점진적으로 유창성을 높여 가도록 지도한다.
⑪말하기 지도 초기에는, 의사 소통이 될 정도의 오류에 대해서는 즉각적인 수정을 피하도록 한다.
104.게임 활용의 효과(해.193)× 11
①학생의 학습동기 유발
②불확실성의 요소로 인한 학생주의 집중, 흥미 부여
③학습의 부담감 감소
④협동심 기름
⑤게임을 통한 학습활동에 적극적 참여
105.게임 사용시 교사의 유의점(해.193)
①교육목표 달성하기 위한 치밀한 계획을 거쳐 사용
②게임의 의미 : 일상적인 휴식이 아니라, 게임속에서 언어를 사용함으로 언어 학습에 도움
③발음, 어휘, 문법, 다양한 언어기능 등을 연습, 강화시키기 위해 사용가능
106.듣기말하기 및 어휘 지도에
활용가능 게임(해.193)× 9
①Pictures and Sounds
②말 이어가기 게임
③속삭이기 게임
④Tick-tac-toe(삼목놓기)
⑤Scramble
⑥Hot and cold
⑦What's missing?
⑧Mamma says
⑨Bingo game
107.읽기 지도 활용 게임(해.196)× 3
①사전 찾기(dictionary search)
②낱말/문장 인식 게임(word/sentence recognition)
③이야기 순서 배열하기(text ordering)
108.쓰기 지도 활용 게임(해.196)× 2
①숨은그림찾기
②16 Cats
109.노래나 게임을 수업시간 활용할 때
유의할 점(해.197)× 9
①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강화할 수 있도록,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과 관련있는 게임 선택
②기다리는 시간이 적은 게임 적합
③학습활동의 종류나 속도를 다양하게 전개하여 학생들의 흥미 유도
④새로운 개념을 한두 가지만 포함
⑤간단한 게임, 게임요령 및 규칙의 분명한 전달
⑥학생의 흥미가 없어질 때쯤에는 학습활동의 종류 변화
⑦그 게임을 좋아하는 그룹은 그 게임을 계속하게 하고, 다른 그룹은 다른 계임을 하도록 다양하게 진행
⑧초보 단계에서 승자와 패자를 가르는 게임 부적절
⑨학습 상황과 시기에 맞게 창의적인 게임 활용
110.학생 중심 학습의 특징(해.199)× 4
①학생들의 필요, 학습형태, 학습목표에 초점을 둔 교수방법 사용
②학습내용과 목표는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니며, 학생들이 학습내용 및 방법에 대한 영향 가능
③학생들의 창의력을 신장시키는 교수학습활동 권장
④학생들의 성취감, 자존심 고취 역점
111.짝활동, 조별, 분단별 학습시
주의할점 (해.199)× 2
①전제 집단수업과의 균형
②자발적이고 자신감 있는 의사소통활동 참여 위해 자유로운 학습 분위기 조성
112.소집단 활동시유의점(배이.550)× 7
①학급의 학생수가 많은 소집단 활동 바람직
②비좁은 교실에서는 학생들이 책상을 이동하는 것보다 소집단의 인원수를 달리함
③길지 않게 부분적으로 집단활동 도입
④학생 수준에 맞는 영어 사용
⑤학생들이 재능과 인성의 다양성 인정
⑥학생들이 범하는 오류나 실수는 직접 수정하지 않음
⑦소집단 활동 후 결과 보고 및 토의 실시
113.말하기지도의 중점과 지도시 유의점
(해.199)
①중점 : 유창성의 신장을 목표로 하고 점차적으로 정확한 표현을 사용하는 데 중점
②지도시 유의점 : 학생들의 발화시 의사소통에 그다지 지장을 주지 않는 실수는 즉각적으로 수정하지 않고 지나감
114.영어과 평가에서 유의해야 할 사항
(해.201)× 5
①결과 중심의 평가가 아닌, 학생들이 주의 집중하여 학습할 수 있는 분위를 만들어 주는 자극임을 인지
②학생들의 심리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하되, 계량적 평가 지양
③게임이나 역할 놀이 같은 의사소통 활동시에 참여의욕, 태도, 의사소통 능력등을 관찰하여 서술식 기록
④음성언어 중심으로 지도하고, 음성 언어 사용능력의 관찰, 과업 수행등의 방법으로 평가
⑤심화보충 집단으로 나눌때에는 열린 교육의 수업 형태속에서 자연스러운 집단 형성 유도
115.영어교과의 평가결과 활용(해.201)
× 6
①학습자가 자기가 학습하고 행히야 할 것을 알려줌
②학생에게 영어 학습의 성취 정도 알려줌
③학생 학습동기 부여
④교사에게 학생의 진단 및 배치를 위한 정보 제공
⑤교사가 교수학습의 수준을 조정하고, 교수학습 과정안 작성하는데 사용
⑥학생, 학부모, 학교가 기준에 대한 결정 도움자료
116.영어과 활용 수행평가의 유형
(해.202)
①실기시험
②관찰법
117.관찰법의 평가항목(해.202)× 4
①참여 의욕
②태도
③의사 소통 능력
④과업 수행 능력
118.음성언어 능력 평가 척도(해.205)
× 4
①발음의 유창도
②어휘 구사력
③정확성
④의사 소통 능력
119.평가자의 잘못된 관점으로
평가의 역류현상이 일어나는 것
backwash
120.실수(mistake)와 오류(error)의
차이
①실수 : 언어 수행상의 오류로 이미 알고 있는 체계를 정확히 활용하지 못해서 생김
②오류 : 학습자가 수행하는 시점에서의 언어를 직접적으로 표시해주는 중간언어의 특이성으로 언어가 발전해가고 있다는 증거
121.오류수정 지도시 교사의 지도원칙
①학생들이 발화 중 오류를 범하는 현상을 학생 스스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자신들이 범한 오류를 직접 수정하도록 격려
②오류 발생의 원인을 분석, 파악하여 그 결과를 수업에 반영시켜 지도함으로써 이후에 똑같은 오류가 학생들에게 재발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함
③학생들이 수업중에 반복되는 오류를 유념해 두었다가 수업이 끝날 때쯤 정확한 표현을 지도해야 함
122.Let's Sing/Chant
1)설정 취지
2)chant 지도시 유의점
①언어 특유의 리듬 살려 놀이처럼 발화하며 재미 느낌
②중요 낱말이나 표현의 반복적 발화 익히기
①우선 CD-ROM Title 또는 녹음 테이프로 익히고
②교사와 학생이 직접 구두로 소리
③손동작 또는 율동 가미 가능
④분단 또는 조별활동을 통해 의사소통 분위기
추천자료
초등학교 체육 교육과정의 민속놀이 지도 내용 분석
초등학교 보건 교육과정 내용의 변천 및 특징
초등학교 도덕교육과 통합교육 교육과정 [발표자료]
초등 임용고사 대비 <초등수학 교육과정> 문제 제작 스터디 자료
초등 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미술과 판화교육의 의미와 목표, 초등학교 미술과 판화교육의 내용, 초등학교 미술...
체육과(체육교육) 교육과정 개정배경과 개정중점, 초등학교 체육과(체육교육) 연구사례, 초등...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교육과정 변천, 초등학교 도덕과(도덕교육)의 생활습관교육, 초...
초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의 교육과정변천, 초등학교 미술과(미술교육) 교육목적, 초등학교 ...
초등학교 특별활동 교육과정 운영
초등과학교육방법론 ‘탐구 학습 모형’ 모의 수업 과학과 교수&#8228;학습 과정안[물의 여...
초등 국어과 교육과정_전문가 협력 학습
[교육학개론] 교육제도敎育制度의 중요성과 학제에 대한 이해 및 한국의 학제의 이해(취학전...
제4차 산업혁명에 따른 초등학교 역량중심 교육과정, 교육혁신의 방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