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간호과정 적용 Case Study.
✿이론적 고찰
선천성 고관절 탈구
1) 원인/빈도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진단적 사정
5) 치료적 관리
6) 간호
7) 치료의 합병증
✿자료 수집 방법
1. 영아 ~ 청소년기 자료수집방법
✿ Lab. Data Analysis
1. Routine CBC & Diff.
2. 응급생화학 - SST
3. Urine
✿Nursing Problem List
✿간호과정 기록지 양식
#1) 견인기 사용과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2) 부동과 관련된 배변장애(변비)
✿이론적 고찰
선천성 고관절 탈구
1) 원인/빈도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진단적 사정
5) 치료적 관리
6) 간호
7) 치료의 합병증
✿자료 수집 방법
1. 영아 ~ 청소년기 자료수집방법
✿ Lab. Data Analysis
1. Routine CBC & Diff.
2. 응급생화학 - SST
3. Urine
✿Nursing Problem List
✿간호과정 기록지 양식
#1) 견인기 사용과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2) 부동과 관련된 배변장애(변비)
본문내용
갈려는 약간 발그스레 하더니 오늘은 좀 괜찮네요.’
예전보다 많이 먹지 못하고 수술 후에는 더 안먹어요’
간 호 목 적
기 대 되 는 결 과
대상자는
피부 손상의
위험성이 없다.
대상자는 견인기를 착용 하는 동안 회음부 발진이 나타나지 않는다.
압박부위 피부는 깨끗하고 자극이나 손상을 받지 않는다.
간 호 계 획 및 이론적근거
간 호 수 행
① 올바르게 피부관리법을 교육하고 제공한다.
피부관리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올바르게 하는가도 중요하다. 올바른 피부관리법을 교육하고 제공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② 압박 부위를 매 4시간 마다 마사지 한다.
맛사지는 혈액순환을 도와 피부 손상을 예방한다.
③ 하지의 혈액순환을 사정한다.
압박과 견인으로 인한 하지의 혈액순환이 어려울 수 있다.
④ 충분한 영양공급을 하고 혈액검사를 통한 영양 판정을 한다.
충분한 영양공급은 피부손상 위험성을 낮춘다.
⑤매 근무시마다 피부상태를 관찰하고, 기록하며, 상태변화가 있을시 보고한다.
피부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빠른 처치나 예방을 할 수 있다.
⑥엉덩이가 진무르지 않도록 기저귀를 자주 갈아준다.
소변이나 대변의 암모니아는 피부에 자극적이므로 기저귀를 제때 갈아주지 않으면 아기 피부를 자극하게 된다.
⑦기저귀를 찬 부위가 조이지 않아 통풍이 잘 되도록 한다.
통풍은 기저귀찬 부위를 건조하게 유지시켜준다.
⑧드레싱이나 전극, 반창고를 사용할때는 피부가 손상 받지 않도록 조심해서 간호를 시행한다.
피부가 약해서 드레싱이나 테이프 제거 시 피부가 자극된다.
⑨환아의 잠재적 피부손상 위험 요인을 기록한다.(ex.피부손상 위험 수준: 척도1-10중 5)
기준 척도를 정하여 피부손상의 위험요인을 확인 할 수 있다.
① 깨끗한 물로 환아를 닦아주었다. (환아는 움직일수 없고 견인된 상태라 씻거나 닦인 후 견인 부분에 물기가 남지 않도록 하고 깨끗하게 유지되도록 부모에게 교육하였다.)
② 부모에게 올바른 피부관리법을 교육하였다.
- 씻긴 후 건조에 대한 교육과 알칼리성 혹은 Hexachlo phene 세정제나 로션 사용을 금하도록 하였다.
③ 압박부위를 맛사지 해주었다.
④ 4시간마다 혈액순환을 사정하였다.
- 발등을 손으로 눌럿다 떼었을 때 바로 원래 색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복사뼈 부위를 눌렀을 때 부종은 없었다.
⑤ 식욕이 저하된 환아에게 조금씩 자주 수유나 이유식을하도록 격려하였다.
⑥ 간호의 처치가 있을 때 마다 환아의 피부 상태를 자주 확인하였다.
⑦ V/S 체크시, 울 때마다 환아가 소변이나 대변을 보는지 자주 관찰하고 기저귀를 갈아 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⑧ 기저귀를 갈 때 조이지 않도록 매듭부위를 느슨하게 해 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⑨ 드레싱은 없었고 견인기를 탈착할 때 피부손상이 없도록 주의하였다.
⑩ 8시간 마다 환아의 잠재적 피부손상 위험 요인을 사정했다.
평 가
대상자는 견인기를 착용 하는 동안 회음부 발진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계속적인 관리로 피부 발진이 없도록 한다.
압박부위 피부는 깨끗하고 자극이나 손상을 받지 않고 있으나 위험요인이 있는 동안은 지속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2) 부동과 관련된 배변장애(변비)
간 호 진 단
의 미 있 는 자 료
부동과 관련된 배변장애(변비)
객관적자료
선천성 고관절 탈구(congenital dislocation of the hip joint)
입원 2일째
Bryant traction 적용중
Hb 8, MCV 74.3, MCH 23.1, MCHC 31.1
Albumin 2.1
BUN 5.2
Sodium 146
2008.10.21일 Close reduction of CDH 시행.
Dextrose 1:4, Pocral syrub 투여 중.
체중 8.9(40%)kg, 신장 75(40%)cm, 두위 45.6(50%)cm
‘기저귀 갈려는 약간 발그스레 하더니 오늘은 좀 괜찮네요.’
주관적자료
‘예전보다 많이 먹지 못하고 수술 후에는 더 안먹어요’라고 말함
‘예전 보다 변을 잘 못보고 2-3일에 1번씩 힘들게 변을 봐요’라고 함.
간 호 목 적
기 대 되 는 결 과
대상자는 규칙적인 배변 습관을 가진다.
충분한 수분과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고 변비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아침마다 규칙적으로 배변한다.
간 호 계 획 및 이론적근거
간 호 수 행
① 배변의 횟수와 특성 등을 사정한다.
환자의 배변에 대해 정확히 알수 있다.
②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한다.
정확한 섭취량과 배설량을 알기 위함
③ 가능한 한 규칙적인 시간에 변기를 대어주는 등 배변을 격려한다.
규칙적인 배변 습관을 기르기 위함
④ 필요시 관장약을 투여한다.
관장약을 통해 배변할 수 있다.
⑤ 수분과 섬유질이 많이 포함된 음식 섭취와 변비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 섭취를 권장한다.
수분과 섬유질이 많이 포함된 음식의 중요성을 알도록 하기 위함
⑥ 복부에 손을 얹고 오른쪽으로 큰 원을 그리며, 횡행결장과 하행결장을 부드럽게 마사지하도록 교육한다
횡행결장과 하행결장을 마사지하는 것은 배변을 자극시킴
① 환자의 입원 전 배변 횟수와 특성에 대해 부모님에게 물어보고 이후의 배변양상과 횟수를 기록해달라고 부탁하여 사정하였다.
- 입원 2일째 아직 변을 보지 못했다고 하였으며 원래는 하루에 한번 정도 변을 본다고 함.
② I&O 를 check 한다.
일
Input
Output
Total
800ml
700
③ 오전 중 보호자가 편한 시간에 아이의 식사가 끝난 후 배변을 격려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④ 관장은 하지 않았다.
⑤ 부모님께 아동이 평소 좋아하던 수분과 섬유질이 많은 과일을 간식으로 제공하도록 격려하였다.
⑥ 보호자에게 맛사지를 시범을 보인 후 시행하도록 격려 하였다.
평 가
충분한 수분과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고 있었고 부모는 이 중재와 변비와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었다. (해결)
중재기간이 짧아 규칙적 배변을 관찰하지는 못했다. 계속적인 중재와 관칠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2006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2006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2004
-임산 아동간호학. 스문사, 1997
예전보다 많이 먹지 못하고 수술 후에는 더 안먹어요’
간 호 목 적
기 대 되 는 결 과
대상자는
피부 손상의
위험성이 없다.
대상자는 견인기를 착용 하는 동안 회음부 발진이 나타나지 않는다.
압박부위 피부는 깨끗하고 자극이나 손상을 받지 않는다.
간 호 계 획 및 이론적근거
간 호 수 행
① 올바르게 피부관리법을 교육하고 제공한다.
피부관리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얼마나 올바르게 하는가도 중요하다. 올바른 피부관리법을 교육하고 제공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② 압박 부위를 매 4시간 마다 마사지 한다.
맛사지는 혈액순환을 도와 피부 손상을 예방한다.
③ 하지의 혈액순환을 사정한다.
압박과 견인으로 인한 하지의 혈액순환이 어려울 수 있다.
④ 충분한 영양공급을 하고 혈액검사를 통한 영양 판정을 한다.
충분한 영양공급은 피부손상 위험성을 낮춘다.
⑤매 근무시마다 피부상태를 관찰하고, 기록하며, 상태변화가 있을시 보고한다.
피부상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여 빠른 처치나 예방을 할 수 있다.
⑥엉덩이가 진무르지 않도록 기저귀를 자주 갈아준다.
소변이나 대변의 암모니아는 피부에 자극적이므로 기저귀를 제때 갈아주지 않으면 아기 피부를 자극하게 된다.
⑦기저귀를 찬 부위가 조이지 않아 통풍이 잘 되도록 한다.
통풍은 기저귀찬 부위를 건조하게 유지시켜준다.
⑧드레싱이나 전극, 반창고를 사용할때는 피부가 손상 받지 않도록 조심해서 간호를 시행한다.
피부가 약해서 드레싱이나 테이프 제거 시 피부가 자극된다.
⑨환아의 잠재적 피부손상 위험 요인을 기록한다.(ex.피부손상 위험 수준: 척도1-10중 5)
기준 척도를 정하여 피부손상의 위험요인을 확인 할 수 있다.
① 깨끗한 물로 환아를 닦아주었다. (환아는 움직일수 없고 견인된 상태라 씻거나 닦인 후 견인 부분에 물기가 남지 않도록 하고 깨끗하게 유지되도록 부모에게 교육하였다.)
② 부모에게 올바른 피부관리법을 교육하였다.
- 씻긴 후 건조에 대한 교육과 알칼리성 혹은 Hexachlo phene 세정제나 로션 사용을 금하도록 하였다.
③ 압박부위를 맛사지 해주었다.
④ 4시간마다 혈액순환을 사정하였다.
- 발등을 손으로 눌럿다 떼었을 때 바로 원래 색으로 돌아왔다. 그리고 복사뼈 부위를 눌렀을 때 부종은 없었다.
⑤ 식욕이 저하된 환아에게 조금씩 자주 수유나 이유식을하도록 격려하였다.
⑥ 간호의 처치가 있을 때 마다 환아의 피부 상태를 자주 확인하였다.
⑦ V/S 체크시, 울 때마다 환아가 소변이나 대변을 보는지 자주 관찰하고 기저귀를 갈아 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⑧ 기저귀를 갈 때 조이지 않도록 매듭부위를 느슨하게 해 주는 것을 관찰하였다.
⑨ 드레싱은 없었고 견인기를 탈착할 때 피부손상이 없도록 주의하였다.
⑩ 8시간 마다 환아의 잠재적 피부손상 위험 요인을 사정했다.
평 가
대상자는 견인기를 착용 하는 동안 회음부 발진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계속적인 관리로 피부 발진이 없도록 한다.
압박부위 피부는 깨끗하고 자극이나 손상을 받지 않고 있으나 위험요인이 있는 동안은 지속적인 중재가 필요하다.
#2) 부동과 관련된 배변장애(변비)
간 호 진 단
의 미 있 는 자 료
부동과 관련된 배변장애(변비)
객관적자료
선천성 고관절 탈구(congenital dislocation of the hip joint)
입원 2일째
Bryant traction 적용중
Hb 8, MCV 74.3, MCH 23.1, MCHC 31.1
Albumin 2.1
BUN 5.2
Sodium 146
2008.10.21일 Close reduction of CDH 시행.
Dextrose 1:4, Pocral syrub 투여 중.
체중 8.9(40%)kg, 신장 75(40%)cm, 두위 45.6(50%)cm
‘기저귀 갈려는 약간 발그스레 하더니 오늘은 좀 괜찮네요.’
주관적자료
‘예전보다 많이 먹지 못하고 수술 후에는 더 안먹어요’라고 말함
‘예전 보다 변을 잘 못보고 2-3일에 1번씩 힘들게 변을 봐요’라고 함.
간 호 목 적
기 대 되 는 결 과
대상자는 규칙적인 배변 습관을 가진다.
충분한 수분과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고 변비와의 관계를 설명한다.
아침마다 규칙적으로 배변한다.
간 호 계 획 및 이론적근거
간 호 수 행
① 배변의 횟수와 특성 등을 사정한다.
환자의 배변에 대해 정확히 알수 있다.
②섭취량과 배설량을 기록한다.
정확한 섭취량과 배설량을 알기 위함
③ 가능한 한 규칙적인 시간에 변기를 대어주는 등 배변을 격려한다.
규칙적인 배변 습관을 기르기 위함
④ 필요시 관장약을 투여한다.
관장약을 통해 배변할 수 있다.
⑤ 수분과 섬유질이 많이 포함된 음식 섭취와 변비와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하고 섭취를 권장한다.
수분과 섬유질이 많이 포함된 음식의 중요성을 알도록 하기 위함
⑥ 복부에 손을 얹고 오른쪽으로 큰 원을 그리며, 횡행결장과 하행결장을 부드럽게 마사지하도록 교육한다
횡행결장과 하행결장을 마사지하는 것은 배변을 자극시킴
① 환자의 입원 전 배변 횟수와 특성에 대해 부모님에게 물어보고 이후의 배변양상과 횟수를 기록해달라고 부탁하여 사정하였다.
- 입원 2일째 아직 변을 보지 못했다고 하였으며 원래는 하루에 한번 정도 변을 본다고 함.
② I&O 를 check 한다.
일
Input
Output
Total
800ml
700
③ 오전 중 보호자가 편한 시간에 아이의 식사가 끝난 후 배변을 격려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④ 관장은 하지 않았다.
⑤ 부모님께 아동이 평소 좋아하던 수분과 섬유질이 많은 과일을 간식으로 제공하도록 격려하였다.
⑥ 보호자에게 맛사지를 시범을 보인 후 시행하도록 격려 하였다.
평 가
충분한 수분과 섬유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고 있었고 부모는 이 중재와 변비와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었다. (해결)
중재기간이 짧아 규칙적 배변을 관찰하지는 못했다. 계속적인 중재와 관칠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2006
-아동간호학 각론, 현문사, 2006
-최신 임상간호 매뉴얼, 현문사, 2004
-임산 아동간호학. 스문사, 1997
추천자료
신생아실 미숙아 케이스 스터디
회전근개파열(rotator cuff syndrom) 케이스스터디
간호학과> 아두골반불균형-제왕절개 케이스스터디 (여성실습)
(A+) PVC 심실성 기외수축 케이스 스터디
쇄골골절 케이스 스터디
[간호학] 자궁내 성장지연과 양수과소증 케이스 스터디
신경외과케이스스터디-지주막하출혈 (SAH)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 미숙아 (Premature infant)
[간호학과] 소아과(PED,PICU) AML(acute myeloid leukemia/급성 골수성 백혈병)환아 케이스 ...
[성인 내과케이스] 백혈병 (leukemia) 케이스 스터디
척추협착증(Spinal Stenosis) 케이스 스터디 A+
아동간호학 케이스스터디 총 폐정맥 환류 이상(TAPVR)
[모성간호학]출산기 건강장애과 간호-케이스스터디
아동간호학 케이스 미숙아 문헌고찰(미숙아에 대한 요약 및 정리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