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가. 실존주의란 무엇인가
1) 개념
2) 전개과정
나. 실존주의의 교육이론
1) 교육개념
2) 교육목적
3) 교육내용
4) 교육방법
다. Martin Buber(1878-1965)의 교육사상
1) 생애와 저작
2) 만남의 철학과 교육
라. 교육사적 의의와 한계
1) 의의
2) 한계
1) 개념
2) 전개과정
나. 실존주의의 교육이론
1) 교육개념
2) 교육목적
3) 교육내용
4) 교육방법
다. Martin Buber(1878-1965)의 교육사상
1) 생애와 저작
2) 만남의 철학과 교육
라. 교육사적 의의와 한계
1) 의의
2) 한계
본문내용
랑하는 것. 즉 일상생활의 모든 것을 신성화하는 것. 부버는 “하나님의 신성을 발견할 수 있는 존재의 사다리계단은 언제, 어디서라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토대 위에서 만남의 철학 전개. 인간이 세계에 대해 가질 수 있는 두 가지 태도 는 ‘나-그것’, ‘나-너’의 태도. 인간은 나 자체로는 존재하지 않으며, ‘나-너의 나’이거나 나 - 그것의 관계
나 - 너의 관계
-경험과 인식과 이용의 대상으로 인식
-상대를 경험의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현 존하는 그대로 전인격적 존재로 대함
-비대화적이고 비인격적이며 일방적인
관계
-대화적이며 인격적이고 상호적인 만남 의 관계
‘나-그것의 나’라는 것. 어떤 관계를 형성하느냐에 따라 삶의 양상이 달라짐
-부버는 나-너의 관계 속에 들어간 사람만이 자유인이라고 함. 나-너의 관계는 어느 순간 나-그것의 관계로, 나-그것관계는 나-너의 관계로 변할 수 있다고 봄. 어느 것도 지속성 이 보장되지 않으며, 모든 것은 단속성을 본질로 한다.
->인간은 이 두 세계를 한꺼번에 살아가고 있는데, 본래적인 인간 존재의 삶은 나-너의 관계를 통해 대화적인 생활로서 다른 사람과 만날 때 가능. “나는 당신에 대한 관계를 통해서 내가 된다”
-나-너의 만남을 이루게 해주는 것이 대화
*대화의 종류: 기술적인 대화 - 객관적인 필요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
독백 - 서로 말을 하고 있지만, 상대가 자신에 대해 갖는 인사에만 신경
순수한 대화 - 상대를 잇는 그대로 보는 것. 무언(無言)으로도 가능.
-참다운 인간: 관계를 통해 자신의 실존을 형성해나가는 창조자
*“인간 실존의 기본적인 사실은 인간이 인간과 더불어 함께 있다는 것”
->진정한 삶은 만남이고, 교육은 이러한 만남을 가능하게 하는 순수한 대화의 관계.
라. 교육사적 의의와 한계
1) 의의
-비연속적 인간 형성의 가능성 부각
-교육학에서 인간의 복권: 비합리적인 부분도 인간의 본질
->삶의 어두운 측면도 교육의 영역에 끌어들여 보다 진솔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
-학생 개개인의 개성 존중과 그에 따른 다양한 커리큘럼의 필요성 강조
-인간의 실존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역할이 매우 중요
->새로운 차원의 교사론, 교사교육의 필요성 제기
2) 한계
-인간 현존재의 토대를 사회과학적 시각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노력 미흡
-비연속적 형식의 교육이 갖는 한계
-보다 넓은 연속적인 형성과 성장의 가능성 무시
-인류의 문화유산 전달에 취약
*이러한 토대 위에서 만남의 철학 전개. 인간이 세계에 대해 가질 수 있는 두 가지 태도 는 ‘나-그것’, ‘나-너’의 태도. 인간은 나 자체로는 존재하지 않으며, ‘나-너의 나’이거나 나 - 그것의 관계
나 - 너의 관계
-경험과 인식과 이용의 대상으로 인식
-상대를 경험의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현 존하는 그대로 전인격적 존재로 대함
-비대화적이고 비인격적이며 일방적인
관계
-대화적이며 인격적이고 상호적인 만남 의 관계
‘나-그것의 나’라는 것. 어떤 관계를 형성하느냐에 따라 삶의 양상이 달라짐
-부버는 나-너의 관계 속에 들어간 사람만이 자유인이라고 함. 나-너의 관계는 어느 순간 나-그것의 관계로, 나-그것관계는 나-너의 관계로 변할 수 있다고 봄. 어느 것도 지속성 이 보장되지 않으며, 모든 것은 단속성을 본질로 한다.
->인간은 이 두 세계를 한꺼번에 살아가고 있는데, 본래적인 인간 존재의 삶은 나-너의 관계를 통해 대화적인 생활로서 다른 사람과 만날 때 가능. “나는 당신에 대한 관계를 통해서 내가 된다”
-나-너의 만남을 이루게 해주는 것이 대화
*대화의 종류: 기술적인 대화 - 객관적인 필요에 따라 이루어지는 것
독백 - 서로 말을 하고 있지만, 상대가 자신에 대해 갖는 인사에만 신경
순수한 대화 - 상대를 잇는 그대로 보는 것. 무언(無言)으로도 가능.
-참다운 인간: 관계를 통해 자신의 실존을 형성해나가는 창조자
*“인간 실존의 기본적인 사실은 인간이 인간과 더불어 함께 있다는 것”
->진정한 삶은 만남이고, 교육은 이러한 만남을 가능하게 하는 순수한 대화의 관계.
라. 교육사적 의의와 한계
1) 의의
-비연속적 인간 형성의 가능성 부각
-교육학에서 인간의 복권: 비합리적인 부분도 인간의 본질
->삶의 어두운 측면도 교육의 영역에 끌어들여 보다 진솔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
-학생 개개인의 개성 존중과 그에 따른 다양한 커리큘럼의 필요성 강조
-인간의 실존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역할이 매우 중요
->새로운 차원의 교사론, 교사교육의 필요성 제기
2) 한계
-인간 현존재의 토대를 사회과학적 시각에서 파악하고자 하는 노력 미흡
-비연속적 형식의 교육이 갖는 한계
-보다 넓은 연속적인 형성과 성장의 가능성 무시
-인류의 문화유산 전달에 취약
키워드
추천자료
[미국교육개혁][미국교육제도][미국교육과정][미국교육철학]미국교육의 목표, 미국교육의 제...
[기독교교육][기사도교육][시민교육]중세의 기독교교육, 중세의 기사도교육, 중세의 카알대제...
[프뢰벨][교육철학][교육사상]프뢰벨의 생애, 프뢰벨의 교육사상(교육철학), 프뢰벨의 교육목...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권근과 이황,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교육철학) 이이, 조선 ...
[프레이리][프레이리교육철학][프레이리교육사상][의식화교육][대화의교육][해방의교육]프레...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E)놀이가 유아교육에 차지하는 비중을 교육철학자들의 입장을 빌려와 논의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 - 놀이가 유아교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교육철학자들의 입장을 빌려와...
[교육관][교육철학]9율곡이이][남궁억][여성교육관][실존적 민족적 교육관]교육관의 분류, 교...
[교육철학 및 교육사] 교육 사상가들의 이상과 현실 - 서양교육사(로크, 바제도우, 슈타이너)...
교육철학 - 교육철학의 사상가와 교육관에 관해
[철학] 교육철학 및 교육사 - 01.고대 삼국시대의 교육과 고려시대의 교육
[교육철학 및 교육사(Ⅱ)] 조선시대의 교육, 조선후기의 교육사상, 근대의 교육 (조선시대 교...
[교육학개론] 현대 교육사조 재건주의 교육 - 재건주의 교육이념, 재건주의 교육철학, 재건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