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학과 생태파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태학과 생태파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생태학과 생태파괴

<목 차>

Ⅰ.생태학이란 무엇인가?

Ⅱ. 생태학의 종류
1. 해양 생태학
2. 육상 생태학
1) 육상 식물 생태학
2) 육상 동물 생태학

Ⅲ. 생태 파괴사례
1. 해양생태 파괴
1) 양식과 환경파괴
2) 유류오염
2. 육상생태 파괴
1) 산림의 훼손
2) 토양 오염

<참고문헌>

본문내용

육상 생태학의 파괴의 사례를 산림의 훼손에 대해 조사 하였다.
1) 산림의 훼손
지구상의 산림은 급격한 속도로 감소되어 가고 있다. 각종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전 지역에서 열대림을 비롯한 산림의 파괴가 진행되고 있다. 매년 1700만 헥타르의 열대림이 벌목과 개간으로 없어지고 있으며, 1980년대 이후에 훼손된 열대림 면적은 열대림 전체 면적 중 절반에 달한다.
산림의 감소는 열대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미국이나 유럽 등 온대 지역의 산림에도 그대로 해당되고 있다. 이들 지역의 산림 중 10-20%가 감소되었으며, 특히 독일의 경우는 1982년 이래 전체 삼림면적의 55%까지 피해를 입었다. 이들 국가의 산림은 매연 등의 공기오염과 산성비에 의해 고사되어 가고 있다는 점에서 열대림과 다르다. 산림의 훼손은 인류에게 여러가지 손실을 가져다주고 있다.
*산림훼손의 영향
산림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저장고의 역할을 하고 있으나 산림이 파괴되는 경우 이산화탄소의 흡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높아지게 된다. 더욱이 인도네시아, 태국, 말레이시아 등지에서와 같이 개간을 위해 열대림을 불태우는 경우는 상당량의 이산화탄소가 방출되어 대기를 오염시킨다. 또한 산림은 생물들의 서식처가 되고 있어서 산림파괴는 곧 생물들의 서식처를 파괴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특히 열대림에는 지구 전체 생물의 절반 이상이 살고 있으며, 열대림의 훼손으로 수많은 동식물이 서식처를 잃고 있다. 따라서 산림훼손은 생물다양성 보전에 치명적 피해를 주게 된다.
산림훼손은 때로는 사막을 확대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중국, 인도, 아프리카 등지에서는 에너지원으로 산림을 이용하여 무분별하게 벌목을 하며, 그에 따라 산림이 사막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현재 지구 육지면적의 20% 이상이 사막화되어 있으며, 이는 이상기후, 홍수, 한발을 가져오고 토양 침식과 토양의 질 저하로 식물 종을 멸종시키게 되어 식량과 식수 부족을 가져오게 된다.
*산림의정서의 의의
1992년 유엔 환경개발회의에서는 산림을 보호하고 보전하기 위한 원칙으로서 산림의정서를 채택하였다. 산림의정서는 산림의 관리, 보호 및 지속적인 개발에 관하여 전 지구적인 컨센서스를 반영하여 채택된 원칙으로, 협약과 같은 법적 구속력은 없지만 권위있는 성명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원래는 강제적 의무조항을 삽입한 산림협약으로 채택될 예정이었으나 말레이지아 등 열대림 개도국가가 강력하게 반대하는 바람에 구속력이 없는 원칙선언으로 채택되었다.
*산림의정서의 내용
산림의정서는 각국의 자원개발주권을 인정하는 동시에 다른 국가에 대한 환경적 피해방지를 요구하고 있다. 이것은 1972년 스톡홀름 선언 원칙 21호 의 기본정신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다. 따라서 각 국가는 자국의 산림을 이 용, 관리, 개발할 주권을 가지며, 이를 다른 나라에 양도할 수 없고, 다른 한편으로는 개발활동으로 인하여 다른 국가의 영역에 환경적 피해를 줄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이 다음에는 산림의 터전인 토양의 환경 파괴 사례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2) 토양 오염
산업과 생산활동에 따라 각종 유해물질이 토양에 주입되어 각종 식물 특히 농산물이 유해한 물질을 흡수함으로서 이것을 섭취하는 인간이나 동물에게 해를 끼치거나 토양의 물리. 화학적 성질을 저해하는 현상이다. 하수 ·폐기물의 투기, 농약의 살포 등에 의해서 토양이 오염되는데, 토양의 오염이 곧 지하수의 오염원, 하천수의 오염원이 될 염려가 있다. 토양오염은 토양환경보전법 법률 로 규제하고 있는데, 카드뮴 ·수은 ·납 ·아연 ·비소 ·육가크롬등의 중금속에 의한 농작물의 오염이 국민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오염규제대상이 된 것이다. 미국의 DDT 오염사건 등이 전세계적으로 공동관심사로 부각되자, 각국은 DDT(디디티), BHC(비에이치시) 등의 살포금지 등 강력한 규제를 가하고 있다.
*토양오염의 외국의 사례
장소 : 미국 미시간주
연도 : 1973년
원인물질 : PBB(Polybromide biphenyl)
가. 발생과정 및 원인규명
산불 진화용 소방제와 가축사료 첨가제를 동시에 제조하는 회사에서 부주의로 두 제품의 포장용기가 서로 바뀌어 가축사료 용기에 소방제가 들어가고 소방제 용기에는 가축사료 첨가제가 들어가게 되었다. 산불 진화용 소방제 속에는 PBB(Polybromide biphenyl)라는 고온에서도 쉽게 분해하지 않는 유독성 화학물질이 들어 있었는데, 이러한 PBB가 포함된 총 300킬로그램의 소방제가 가축사료로 뒤바뀐 채 시중에 판매되었다.
나. 피해상황
가축사료에 들어간 소방제로 인하여 3,000마리의 소, 6만마리의 돼지, 1,500마리의 양, 그리고 200만마리의 닭이 죽어갔으며, 가축을 사육하는 많은 농장주들이 신경마비 증세를 나타내었고, 이 무렵 생산된 많은 양의 치즈, 우유, 달걀 등이 폐기되어야만 했다. 이 사건으로 축산농가는 1억달러에 달하는 손해를 입게 되었다. 한편 죽은 가축과 축산물은 아무 곳에나 매립되어 폐기되었는데, 이는 후에 이 지역의 토양과 지하수, 그리고 인근 하천을 PBB로 오염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오염된 토양과 지하수 하천을 정화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지만 지금도 분해되지 않은 PBB가 검출되고 있다.
다. 사고후 처리과정 및 조치
미국은 1976년 유해물질 관리를 위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유해물질의 생산자가 이동과 사용, 그리고 처분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확인하여 보고하고, 재난시 책임지도록 제도화하였다.
우리나라에서도 1978년 9월 경기도 파주 지역에서 번데기를 사먹은 어린이 37명이 농약에 중독되었고 그중 9명이 사망하였다. 조사 결과 파라치온을 포장했던 마대에 번데기를 담았던 것이 원인으로 밝혀졌다.
<참고문헌>
마티스 웨커네이걸, 윌리엄 리스, 이유진, 류상윤 역, 2006, 생태발자국, 이매진 출판
스탠리 아이 도슨 외, 노태호 역, 2007, 생태학(인간과 자연), 아카데미
F.카프라(Fritjof Capra), 2005, 생명의 그물, 범양사
김욱동, 2002, 한국의 녹색문화, 문예
한국생태학회 http://www.ecosk.org/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2.03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07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