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우리나라의 인구 구조 변화
2.우리나라 인구문제
3.우리나라 가족계획 사업의 발전 과정
4. 우리나라의 미래의 인구 피라미드와 보건의 예상 발전방향
5. 요 약 정 리
2.우리나라 인구문제
3.우리나라 가족계획 사업의 발전 과정
4. 우리나라의 미래의 인구 피라미드와 보건의 예상 발전방향
5. 요 약 정 리
본문내용
아질 것으로 전망.
65세 이상 고령인구
: 기대수명 연장 및 출산율 감소로 2005년 9.1%에서 2018년 14.3%로 고령사회에 진입
하고 2026년에는 20.8%로 본격적인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
<남녀별 인구>
[단위: 천명, 여자 백명당 남자 수]
1970
1980
1990
2000
2005
2010
2020
2030
2040
2050
총인구
32.241
38.124
42.869
47.008
48.138
48.875
49.326
48.635
46.343
42.343
남자
16.309
19.236
21.568
23.667
24.191
24.540
24.680
24.190
22.854
20.743
여자
15.932
18.888
21.301
23.341
23.947
24.334
24.646
24.444
23.489
21.609
성비
102.4
101.8
101.3
101.4
101.0
100.8
100.1
99.0
97.3
96.0
<연령별 인구>
1970
1980
1990
2000
2005
2010
2020
2030
2040
2050
인구수
0~14세
13.709
12.951
10.974
9.911
9.241
7.907
6.118
5.525
4.777
3.763
15~64세
17.540
23.717
29.701
33.702
34.530
35.611
35.506
31.299
26.525
22.424
65세이상
991
1.456
2.195
3.395
4.367
5.357
7.701
11.811
15.041
16.156
구성비
0~14세
42.5
34.0
25.6
21.1
19.2
16.2
12.4
11.4
10.3
8.9
15~64세
54.4
62.2
69.3
71.7
71.7
72.9
72.0
64.4
57.2
53.0
65세이상
3.1
3.8
5.1
7.2
9.1
11.0
15.6
24.3
32.5
38.2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단위: 천명, %]
<인구구조의 변동 추세>
* 남녀별 인구구조
-2005년 총인구 48.138천명중 남자는 24.191천명(50.3%), 여자는 23.947천명(49.7%)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244천명이 더 많음
- 총인구 성비는 2005년 현재 101.0으로 남초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출생성비 안정 및 고령화의 진전, 남성보다 긴 여성의 평균수명등의 이유로 2022년부터는 성비가 99.9로 여자가 남자보다 많아질 전망
* 연령별 인구구조
- 유소년인구(0~14세)감소세와 노령인구(65세이상)의 증가추세에 따라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16년을 기점으로 감소될 전망
- 특히, 인구의 고령화가 급진전됨에 따라 총 인구중 65세이상 비율이 70년 3.1%->2000년 7.2%(고령화 사회)->2018년14.3%(고령 사회)->2026년 20.8%(초고령 사회)에 진입
- 이에 따라 2005년에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7.9명당 노인 1명을 부양했지만, 2020년에는 4.6명당 노인 1명, 2050년 1.4명당 노인 1명을 부양해야 될 것으로 전망
<참고문헌출처>
-통계청 http://www.nso.go.kr/ -장래인구 통계(2006년)
-네이버 http://blog.naver.com/ssangzoo?Redirect=Log&logNo=21338435
-정연강 외(2006), 지역사회간호학 3판 분야별(484~503p), 현문사
-한국개발연구원 http://www.kdi.re.kr/
- 한국의 출생성비의 시계열적 추이에 관한 연구. 박상화. 김음익.
한국연구학 제 19권 제 2호(1996):5~18 한국연구학회
65세 이상 고령인구
: 기대수명 연장 및 출산율 감소로 2005년 9.1%에서 2018년 14.3%로 고령사회에 진입
하고 2026년에는 20.8%로 본격적인 초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
<남녀별 인구>
[단위: 천명, 여자 백명당 남자 수]
1970
1980
1990
2000
2005
2010
2020
2030
2040
2050
총인구
32.241
38.124
42.869
47.008
48.138
48.875
49.326
48.635
46.343
42.343
남자
16.309
19.236
21.568
23.667
24.191
24.540
24.680
24.190
22.854
20.743
여자
15.932
18.888
21.301
23.341
23.947
24.334
24.646
24.444
23.489
21.609
성비
102.4
101.8
101.3
101.4
101.0
100.8
100.1
99.0
97.3
96.0
<연령별 인구>
1970
1980
1990
2000
2005
2010
2020
2030
2040
2050
인구수
0~14세
13.709
12.951
10.974
9.911
9.241
7.907
6.118
5.525
4.777
3.763
15~64세
17.540
23.717
29.701
33.702
34.530
35.611
35.506
31.299
26.525
22.424
65세이상
991
1.456
2.195
3.395
4.367
5.357
7.701
11.811
15.041
16.156
구성비
0~14세
42.5
34.0
25.6
21.1
19.2
16.2
12.4
11.4
10.3
8.9
15~64세
54.4
62.2
69.3
71.7
71.7
72.9
72.0
64.4
57.2
53.0
65세이상
3.1
3.8
5.1
7.2
9.1
11.0
15.6
24.3
32.5
38.2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단위: 천명, %]
<인구구조의 변동 추세>
* 남녀별 인구구조
-2005년 총인구 48.138천명중 남자는 24.191천명(50.3%), 여자는 23.947천명(49.7%)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244천명이 더 많음
- 총인구 성비는 2005년 현재 101.0으로 남초현상을 보이고 있으나 출생성비 안정 및 고령화의 진전, 남성보다 긴 여성의 평균수명등의 이유로 2022년부터는 성비가 99.9로 여자가 남자보다 많아질 전망
* 연령별 인구구조
- 유소년인구(0~14세)감소세와 노령인구(65세이상)의 증가추세에 따라 생산가능인구(15~64세)는 2016년을 기점으로 감소될 전망
- 특히, 인구의 고령화가 급진전됨에 따라 총 인구중 65세이상 비율이 70년 3.1%->2000년 7.2%(고령화 사회)->2018년14.3%(고령 사회)->2026년 20.8%(초고령 사회)에 진입
- 이에 따라 2005년에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7.9명당 노인 1명을 부양했지만, 2020년에는 4.6명당 노인 1명, 2050년 1.4명당 노인 1명을 부양해야 될 것으로 전망
<참고문헌출처>
-통계청 http://www.nso.go.kr/ -장래인구 통계(2006년)
-네이버 http://blog.naver.com/ssangzoo?Redirect=Log&logNo=21338435
-정연강 외(2006), 지역사회간호학 3판 분야별(484~503p), 현문사
-한국개발연구원 http://www.kdi.re.kr/
- 한국의 출생성비의 시계열적 추이에 관한 연구. 박상화. 김음익.
한국연구학 제 19권 제 2호(1996):5~18 한국연구학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