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과 경제정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물질적 부의 축적이 경제지표가 되어서는 안되고 인간의 생명이 유지되고 모든 사람들이 건강 하게 살고 모든 사람들이 골고루 교육의 혜택을 누리고 생태계가 건강하게 유지되고 경제적 수탈 과 침탈이 없는 경제적 불평등으로 일어나는 분쟁이 없는 평화가 경제지표가 되어야 한다고 본 다.
세계화(Globalization)와 직결되는 대안은 세계화(Globalization)가 주입하는 "무한경쟁"이라고 하는 개념에 대립해서 함께 연합하고 함께 살아가는 공동의 삶, 연대(Solidarity)의 삶이다. 그리고 세계 화(Globalization)에 대항해 지역화(Localization)로 움직여야 한다는 것이다. 지역의 경제활동을 높 이고 활성화하고 이것을 세계로 연결하는 지역이 주인이 되고 세계가 봉사자가 되는 방향으로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세계화(Globalization)는 우리 자신의 노동력을 값싸게만 매기라고 요구하고 위협하는데 이에 대해 우리의 자신을 값있게 만들어 가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구상에서 앞으로도 수많은 나라들이 강대국의 자본에 의해 자기들의 집을 빼앗기고 자기들의 문화를 빼앗기고 자기들의 주권을 빼앗기고 자기들의 독립을 빼앗기게 되는 현상이 전개될 것이 다. 세계경제대국인 일본도 휘청거리고 있고 유럽의 양심적인 사람들은 다음 차례는 중국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VII
이번에 한국이 당하고 있는 경제위기는 세계가 앞으로 당할 경제의 십자가를 먼저 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제 한국은 이런 아픔을 깊이 새겨야 한다. 우리는 이 아픔을 딛고 세상을 구원하는 민족으로 교회로 부름을 받고 있다는 정도의 사명을 자각해야 한다.
우리는 이번 기회에 세상이 주는 원칙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일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과 철 학에 비추어 비판해 보고 그것이 복음적 원칙과 일치하는가를 늘 검토하는 습관을 이 기회에 길 러야 한다. 세상이 경제제일주의로 갈 때 무턱대고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신앙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또한 신앙은 세상의 가장 구체적인 일에도 길을 제시하는 것이란 신학적 생각을 재정립하 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생각으로 현 한국의 경제위기를 진단하고 더 나아가서 세계적 시각에서 진단하여 한국만이 경제위기에서 일시적으로 벗어나기 위한 묘안만을 찾는 것이 아니라 세계 전체가 정의롭고 평화 롭게 살기 위한 범 세계적인 정의로운 경제대안을 모색하는 일을 우리가 해야 할 것이다.
3.1독립선언서를 보면 한국의 독립만을 위한 외침이 아니었다. 그것은 당시의 힘에 의한 지배의 구시대로부터 정의와 진리의 세 시대를 여는 선언이었다. 3.1 독립선언서가 가진 시각은 세계역사 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었다.
이 정신이 우리 핏속에 흐르고 있을 것이다. 우리의 신앙과 이 정신이 지금 우리에게 주어진 이 고통을 하나님의 정의와 진리로 세계경제 구원을 위한 십자가로 인식하게 하고 이제 십자가를 지 고 세계의 해방과 정의를 위해 하나님과 역사의 부름 앞에 나서야 할 것이다. 그러면 현재의 슬 픔을 기쁨으로 바꿀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12.08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23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