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준별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
-수준별 교육과정 시행상의 문제점
-수준별 교육과정 시행상의 문제점
본문내용
다. 교육과정 실험연구학교로 지정됐던 서울 서초구 양재고교는 보고서에서 한 학급당 50-60명이나 되는 상태로는 학습의 개별화, 다양화에는 접근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고, 교과목 선택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30명 안팎의 학생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규모의 교실 확보를 위해선 당장 교실 증설계획을 세우고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외에도 학생을 수준별로 분류하는데 따른 분류기준의 문제, 달리 가르치고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는 각 집단에 대한 평가방법의 문제, 특히 2-3개 학년을 담당해야 하는 교사들의 수업준비 부담의 문제와 위로부터의 통제적인 추진과정에서 오는 형식적인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등이 수준별 교육과정 시행을 저해하는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이성호. 교수방법론, 학지사.
이용숙, 수준별 교육과정, 어떻게 편성운영할 것인가?, 교육개발, 84-91.
제2차 대통령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1997), 제7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홍후조, 한국에서의 수준별 교육과정 적용, 무엇이 문제인가?, 교육개발, 100-103.
이외에도 학생을 수준별로 분류하는데 따른 분류기준의 문제, 달리 가르치고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는 각 집단에 대한 평가방법의 문제, 특히 2-3개 학년을 담당해야 하는 교사들의 수업준비 부담의 문제와 위로부터의 통제적인 추진과정에서 오는 형식적인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 등이 수준별 교육과정 시행을 저해하는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이성호. 교수방법론, 학지사.
이용숙, 수준별 교육과정, 어떻게 편성운영할 것인가?, 교육개발, 84-91.
제2차 대통령 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교육과정개정연구위원회(1997), 제7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홍후조, 한국에서의 수준별 교육과정 적용, 무엇이 문제인가?, 교육개발, 100-103.
추천자료
수준별교육과정
수준별 교육과정에 대한 논란(문제점)과 제언
수준별교육과정
수준별 교육과정 도입의 필요성과 시행상 문제점 및 찬반논쟁
수준별교육과정편성
수준별교육과정 단계별 설명
반올림속에 나타난 수준별교육과정
상업계 고등학교(상고) 특징과 의의, 상업계 고등학교(상고) 교육과정과 수준별교육과정, 상...
자기주도적학습력의 정의와 가치, 자기주도적학습력과 수준별교육과정, 자기주도적학습력과 ...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영어교육) 실태와 지도중점, 초등학교 3학년 영어과(영어교육) 수준별...
수학과(수학교육)의 목표, 수학과(수학교육)의 교재, 수학과(수학교육)의 내용, 수학과(수학...
수학과(수학교육) 열린교육 이론과 내용, 수학과(수학교육) 열린교육과 창의성계발, 수학과(...
수학과(수학수업, 수학교육)의 특성과 목표, 수학과(수학수업, 수학교육)의 실태와 지도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