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생체 기관들의 기능>
Ⅰ. 심장
Ⅱ. 간
Ⅲ. 위
Ⅳ. 폐
Ⅴ. 대장
Ⅵ.소장
Ⅶ.신장
Ⅷ. 방광
Ⅸ. 비장
Ⅹ. 췌장
Ⅺ. 담(쓸개)
Ⅰ. 심장
Ⅱ. 간
Ⅲ. 위
Ⅳ. 폐
Ⅴ. 대장
Ⅵ.소장
Ⅶ.신장
Ⅷ. 방광
Ⅸ. 비장
Ⅹ. 췌장
Ⅺ. 담(쓸개)
본문내용
있으며 명치 및 위의 뒤에 있으며 등에 붙어 있다.
2. 비장의 형상과 구조
비장의 무게는 약200g정도이고, 길이는 약 12Cm정도이며 편편하고 둥근 모양으로 얇은 피막에 쌓여 있고 바깥쪽은 불룩하고 안쪽 면은 위와 신장(콩팥)에 붙어 있으며 오목하다. 비장은 인체에서 가장 큰 임파기관 이다.
3. 비장(지라)의 기능
혈액을 만드는 일과 혈액을 저장하는 일, 쓸모 없는 적혈구를 파괴하는 일, 핏속에 균이 들어 오면 이것을 없애주는 면역체를 만드는 일 및 임파구를 만들어 저장 하는 일 등을 하고 있다. 또한, 비장은 소화운송을 주관하고 있다. 비장은 음식을 소화하고 거기에서 얻은 영양분을 전신 각처에 운반하고 있다. 비장은 몸 안의 수분과 습기도 주관한다. 비장은 몸 안에 들어온 수분을 처리하는 일을 하고 있다. 만약 비기가 허약해지면 수분을 처리하는 능력을 잃게 되여 병이 생기는데 설사와 소변이 잘 안 나오고, 몸이 무겁거나 푸석 푸석 붓게 된다. 또한 몸 안의 혈액을 통솔하며, 생리적으로 혈액을 통솔하는 일을 하고 있다.
Ⅹ. 췌장
1. 췌장의 위치
췌장은 아주 큰 소화선 즉 소화액을 만들어 내는 곳으로서 위의 뒷쪽, 척추 뼈의 앞에 가로 누어 있으며 췌장의 머리는 십이지장에 둘러 싸여 있다. 첫번째와 두번째 허리뼈 높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췌장의 꼬리 부분은 비장에 닿아 있다.
2. 췌장의 형상과 구조
췌장은 길이가 약 12-15Cm정도이고 무게는70g 가량으로 앞쪽만이 복막에 덮인 복막 뒷쪽에 있다. 모양은 편편하고 길며 마치 혓바닥 같이 생겼으며 빛깔은 핑크 색이고 물렁물렁한 장기이다. 췌장은 다음과 같은 두 종류의 분비선 즉 체액을 만들어 내는 샘 을 갖고 있다. 외분비선 = 이곳에서는 췌액을 만들어 소장으로 보내어 소화흡수를 돕는다. 내분배선 = 이곳에서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을 만들어 핏속으로 보낸다.
3. 췌장이 하는 일
췌장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큰일을 한다. 하나는 만들어진 췌액을 십이지장으로 해서 소장 속으로 보내어 소화흡수를 돕는 일을 하고, 하나는 "란겔한스씨도"라는 세포에서 호르몬 "인슐린"을 만들어 직접 핏속이나 임파속으로 넣어주어 핏속의 당분(설탕)의 양을 조절하는 일을 한다. 이 "인슐린"의 생산이 모자라면 피소에 당분이 지나치게 남아돌게 되며 당뇨병을 일으키게 된다.
. 담(쓸개)
1. 담의 위치 담은 명치 즉, 횡격막의 바로 밑에 오른쪽에 치우쳐 놓여 있는 간의 오른쪽 덩어리 즉, 우엽의 밑에 붙어 있다. 윗쪽은 간의 밑에 바짝 붙어 있고 복막에 덮여 있으며 매끈하다
2. 담의 형상과 구조 담(쓸개)은 뚱뚱한 가지 모양의 주머니 같기 때문에 담낭이라 불린다. 크기는 7-10Cm, 속에쓸개즙을 담을 수 있는 양은 35-40cc이다. 담낭은 간에 연결된 간관과 담낭관 및 총담관에 연결되어 있다. 총담관은 또 소장의 십이지장에 연결되어 있다.
3. 담의 기능담낭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쓸개물)을 그 속에 저장하며 담즙 속에 있는 물기를 12분의 1까지 쫄아들게 즉, 농축시키는 일을 한다. 그리고 음식물이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내려오게 되면 반사적으로 담낭이 수축되며 담즙을 쏟아내어 총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을 내려 보낸다. 총담관이나 간관에 담석이 막히거나, 간 또는 담낭에 병이 생겨 담즙의 배설이 안되면 결국 답즙 성분이 핏속으로 거꾸로 흘러들어 황달이 일어난다. 담즙 즉 쓸개즙은 간에서 하루 약 600cc(박카스 6병)정도가 만들어져 담낭에 보관된다. 담즙의 색깔은 미녹색이다. 이 미녹색이 물에 풀어지면 노란색을 띠는데 대변의 노란색이 담즙색이다. 담즙은 소장속에서 지방분 즉, 기름기를 소화하는데 작용한다.
2. 비장의 형상과 구조
비장의 무게는 약200g정도이고, 길이는 약 12Cm정도이며 편편하고 둥근 모양으로 얇은 피막에 쌓여 있고 바깥쪽은 불룩하고 안쪽 면은 위와 신장(콩팥)에 붙어 있으며 오목하다. 비장은 인체에서 가장 큰 임파기관 이다.
3. 비장(지라)의 기능
혈액을 만드는 일과 혈액을 저장하는 일, 쓸모 없는 적혈구를 파괴하는 일, 핏속에 균이 들어 오면 이것을 없애주는 면역체를 만드는 일 및 임파구를 만들어 저장 하는 일 등을 하고 있다. 또한, 비장은 소화운송을 주관하고 있다. 비장은 음식을 소화하고 거기에서 얻은 영양분을 전신 각처에 운반하고 있다. 비장은 몸 안의 수분과 습기도 주관한다. 비장은 몸 안에 들어온 수분을 처리하는 일을 하고 있다. 만약 비기가 허약해지면 수분을 처리하는 능력을 잃게 되여 병이 생기는데 설사와 소변이 잘 안 나오고, 몸이 무겁거나 푸석 푸석 붓게 된다. 또한 몸 안의 혈액을 통솔하며, 생리적으로 혈액을 통솔하는 일을 하고 있다.
Ⅹ. 췌장
1. 췌장의 위치
췌장은 아주 큰 소화선 즉 소화액을 만들어 내는 곳으로서 위의 뒷쪽, 척추 뼈의 앞에 가로 누어 있으며 췌장의 머리는 십이지장에 둘러 싸여 있다. 첫번째와 두번째 허리뼈 높이에 위치한다. 그리고 췌장의 꼬리 부분은 비장에 닿아 있다.
2. 췌장의 형상과 구조
췌장은 길이가 약 12-15Cm정도이고 무게는70g 가량으로 앞쪽만이 복막에 덮인 복막 뒷쪽에 있다. 모양은 편편하고 길며 마치 혓바닥 같이 생겼으며 빛깔은 핑크 색이고 물렁물렁한 장기이다. 췌장은 다음과 같은 두 종류의 분비선 즉 체액을 만들어 내는 샘 을 갖고 있다. 외분비선 = 이곳에서는 췌액을 만들어 소장으로 보내어 소화흡수를 돕는다. 내분배선 = 이곳에서는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을 만들어 핏속으로 보낸다.
3. 췌장이 하는 일
췌장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큰일을 한다. 하나는 만들어진 췌액을 십이지장으로 해서 소장 속으로 보내어 소화흡수를 돕는 일을 하고, 하나는 "란겔한스씨도"라는 세포에서 호르몬 "인슐린"을 만들어 직접 핏속이나 임파속으로 넣어주어 핏속의 당분(설탕)의 양을 조절하는 일을 한다. 이 "인슐린"의 생산이 모자라면 피소에 당분이 지나치게 남아돌게 되며 당뇨병을 일으키게 된다.
. 담(쓸개)
1. 담의 위치 담은 명치 즉, 횡격막의 바로 밑에 오른쪽에 치우쳐 놓여 있는 간의 오른쪽 덩어리 즉, 우엽의 밑에 붙어 있다. 윗쪽은 간의 밑에 바짝 붙어 있고 복막에 덮여 있으며 매끈하다
2. 담의 형상과 구조 담(쓸개)은 뚱뚱한 가지 모양의 주머니 같기 때문에 담낭이라 불린다. 크기는 7-10Cm, 속에쓸개즙을 담을 수 있는 양은 35-40cc이다. 담낭은 간에 연결된 간관과 담낭관 및 총담관에 연결되어 있다. 총담관은 또 소장의 십이지장에 연결되어 있다.
3. 담의 기능담낭은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쓸개물)을 그 속에 저장하며 담즙 속에 있는 물기를 12분의 1까지 쫄아들게 즉, 농축시키는 일을 한다. 그리고 음식물이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내려오게 되면 반사적으로 담낭이 수축되며 담즙을 쏟아내어 총담관을 통해 십이지장을 내려 보낸다. 총담관이나 간관에 담석이 막히거나, 간 또는 담낭에 병이 생겨 담즙의 배설이 안되면 결국 답즙 성분이 핏속으로 거꾸로 흘러들어 황달이 일어난다. 담즙 즉 쓸개즙은 간에서 하루 약 600cc(박카스 6병)정도가 만들어져 담낭에 보관된다. 담즙의 색깔은 미녹색이다. 이 미녹색이 물에 풀어지면 노란색을 띠는데 대변의 노란색이 담즙색이다. 담즙은 소장속에서 지방분 즉, 기름기를 소화하는데 작용한다.
추천자료
울혈성 심부전
코뿔소 교회
간경화증
승모판협착
울혈성 심부전(CHF; Congestive Heart Failure)
울혈성심부전
[간호학] 울혈성심부전 CHF. (congestive heart failure) 케이스 스터디
일반식도초음파
울혈성 심부전(CHF: Congestive heart failure)
울혈성심부전 질병스터디
Myocardial infarction, 심근경색증, case study, 케이스스터디, MI, 간호과정, SOAPIE, 심근...
협심증(angina pectoris) 케이스 스터디 A+
Aritrial fibrillation(심방세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