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hlberg의 도덕발달 단계 이론과 자신의 도덕성 고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Kohlberg의 도덕발달 단계 이론과 자신의 도덕성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있어서 과연 이러한 행동을 하면 남들이 어떻게 생각할까라는 걸 먼저 생각하는 경향이 강하다. 예를 들자면 정말 화가 날지라도 이 상황에서 화를 낸다면 내가 여태껏 쌓아온 나의 인격이 한순간에 무너지는 것은 아닐까? 여태껏 좋은 사람으로 기억에 남아 있는데 이로 인하여 한순간에 나쁜 사람으로 전락하는 것은 아닐까? 내가 하기 싫은 일도 여태까지의 나의 평가로 봐서 당연히 해야 하는 건 아닌가? 이런 생각들이 나도 모르게 많이 지배하게 된다. 또한 남들과 함께 하는 일에 대해서는 책임감을 가지고 해야한다라고 생각한다. 즉 다시 말해서 사회계약정신 지향적 경향이라고 말할 수 있다. 나는 공동체적인 소속감을 굉장히 중요시 여기는 성격이다. 어떠한 이익을 보더라도 내가 그 공동체에 소속이 되어 있으면 그 이익을 충분히 공동체 구성원들과 함께 얻어나가야 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자면 함께 스터디를 하는 경우에는 자료 공유나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에 대해서는 충분히 함께 함으로써 성적에 대한 극대화가 있어야 한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있는 보편적 도덕 원리 지향을 말 할 수 있는데 이는 어느 누구나 가장 지향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특히 어떠한 일을 하는데 있어서 자신의 양심이 허락하는 범위 안에서 행하는 경우가 많다. 나 또한 그러한 경우가 많은데 예를 들자면 대학 내에서 만연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부정행위는 내 자신에게 있어서 성적을 올릴 수 있는 기회이지만 그 행동을 하는 데까지의 나의 양심이 허락지 못해 절대 하지 않는다.
이제 마무리를 하자면 이 과제를 하면서 드는 한 가지 생각은 Kohlberg는 도덕성의 발달은 어느 문화에서나 있는 것이며 그 발달의 과정은 거의 예외가 없이 이 여섯 단계를 거친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앞에서도 이야기 하였지만 어느 정도 약한 부분도 있을 것이고 강한 부분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아직까지도 사실 나의 도덕성에 대해 정확하게 고찰하는 것은 너무나 어렵다는 것이다. 이는 아마도 아직까지 정확한 이론을 파악하지 못한 것에서 기인되지 않았나 생각해보고 앞으로 더욱더 많은걸 공부해서 다시 한번 이러한 시간들을 가지면 어떨까라는 개인적인 생각을 하게 된다.
◆ 참고문헌: 유기섭(2005). 교육심리학. 서울: 동문사. (p125 ~ 131)
변창진 송명자 (1995). 인지 발달론적 접근 교육심리.
서울: 교육과학사. (p273 ~ 279)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2.18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63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