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요법 - 중풍(뇌졸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간요법 - 중풍(뇌졸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약물치료>

<찜질치료>

본문내용

. 한번에 50알씩 하루 3번 끼니 사이에 먹는다. 술을 못하는 사람은 물을 타서 먹는다. 신경통에도 쓴다.
68)황기, 당귀미, 적작 등: 반신불수가 되고 머리가 어지러우며 입과 눈이 비뚤어지고 혈압이 높지 않은 데는 황기 50g, 당귀미 5g, 적작 15g, 지룡 15g, 천궁 10g, 도인 10g, 홍화 15g을 물로 달여서 하루에 2번 나누어 더운 것을 먹는다.
69)겨자씨, 식초: 반신불수에는 겨자씨 가루를 식초에 개어 마비된 쪽의 몸에 바르고 한잠을 잔다.
70)천오, 오령지 등: 반신불수가 된 데는 천오 150g, 오령지 150g, 천남성 100g, 용뇌 1.5g, 사향 1.5g을 가루내어(사향은 따로 가루낸 다음 한데 섞는다) 물로 반죽하여 오동씨 크기에 환약을 만들어 한번에 10알씩 하루에 2번 더운물로 먹는다.
71) 당귀, 천마, 전갈: 반신불수가 된 데는 당귀 60g, 천마 15g, 전갈 12g을 가루내어 한번에 15g씩 하루에 2번 먹는다.
72)도인: 중풍으로 반신불수가 된 데는 적당한 양의 도인(뾰족한 부분을 떼어버린다)을 술에 며칠간 담가두었다가 말려 쌀물로 오동씨 크기로 환을 만들어 한번에 20알씩 하루에 2번 황주로 먹는다.
73)닭똥, 검은콩: 중풍,마비, 반신불수에는 닭똥 흰 것과 검은콩을 반반 섞어 누렇게 볶아 그 2배의 소주로 반이 되게 달인 후 짜서 한 컵씩 마신다.
74)수탉, 엄나무껍질, 금은화: 중풍으로 몸을 움직이지 못하는 데는 수탉 한 마리를 잡아서 내장을 버리고 그 속에 엄나무껍질과 금은화 각각 250g을 넣고 꿰맨 다음 단지에 넣고 물 다섯 사발을 넣는다. 다음 가마에다 물을 적당히 두고 단지를 그 가마 속에 넣고 끓인다. 단지 안의 물이 절반쯤 준 다음 닭의 배 속의 약을 버리고 닭고기와 그 물을 3번에 나누어 끼니 사이에 먹는다.
75)밤(건율): 중풍으로 다리를 못 쓰는 데는 매일 끼니 전 아침에 양쪽이 납작한 밤 2개를 누운 자세로 천천히 자꾸 씹어 물이 되면 배꼽 밑으로 넣는 기분으로 삼킨다.
76)생강: 갑자기 중풍으로 인사불성이 된 데는 생강을 많이 짓찧어 환자의 이마와 코 밑 그리고 눈 옆에 바르고 열심히 문지르는 한편 생강즙을 안각(남자는 왼쪽)에 떨어뜨린다.
77)독활: 중풍으로 정신이 혼미한 데는 독활 30g을 술로 달여서 하루에 2번 나누어 먹는다.
78)백반, 소금: 중풍으로 갑자기 입을 꼭 다문 채 침을 흘리며 인사불성일 때에는 백반과 소금을 반반 섞어 가루내어 이빨에 문지르면 입을 벌리게 된다. 그리고 배를 갈아 즙을 내서 마시게 한다.
79)겨자씨: 중풍으로 온몸이 마비된 경우에는 겨자씨 달인 물을 꼭 짜서 마신다. 또는 가루를 식초에 개어 온몸에 바른다. 피부가 약하면 물을 섞어서 발라도 된다. 신체의 일부분이 마비된 데는 겨자씨를 갈아 식초에 섞어 장기간 마비된 부위에 바른다.
80)자소: 온몸이 마비된 데는 자소 75g을 짓찧은 데 물 5.4l를 넣어 즙을 짜내고 그 즙으로 멥쌀 360ml를 끓여 죽을 쑤어 파와 후추, 생강을 섞어 먹는다
81)회화나무:중풍으로 전신 또는 신체 일부가 마비된 데는 회화나무가지를 잘게 썰어 푹 삶은 물에 술을 타서 마신다. 마시는 양은 차잔 하나씩 공복에 마신다. 몸이 굳은 데는 회화나무껍질을 잘게 썰어 짓찧어 술로 달인 물을 수시로 마시고 또 그 물을 환부에 바른다.
82)콩술: 중풍으로 팔다리가 마르고 등이 굳어지는 데는 검은콩 9l를 볶아 술 28.8l에 넣어 밀봉하여 두었다가 콩은 버리고 술만 자주 마신다.
83)귤나무껍질(진피): 중풍으로 몸이 뻣뻣해진 데는 잘게 썬 귤나무껍질 1.8l 가량을 술 3.6l에 섞어 하루 밤 놓아두었다가 이튿날 덥혀 수시로 마신다. 한번 먹어 낫지 않으면 여러 번 되풀이한다.
84)백반: 혀가 뻣뻣하게 굳어 백약이 무효인 데는 같은 양의 백반과 계심을 함께 가루내어 혀 밑에 넣는다.
85)오계: 중풍으로 혀가 굳은 데는 수오계 한 마리에 파흰밑을 한 줌 썰어 넣고 푹 끓여 즙을 공복에 먹으면 낫는다.
86)부자: 만성화된 경풍에는 배꼽을 딴 부자를 가루내어 큰 지렁이 몸이 덮일 정도로 뿌려준 다음 지렁이 몸에 묻은 부자가루를 긁어서 쌀알 크기의 환약을 만들어 한번에 10알씩 미음으로 먹는다.
<찜질치료>
1)조협: 중풍으로 수족이 마비된 데는 좀이 먹지 않은 조협 600g을 곱게 찧고 거기에 소금 5.4l를 섞어 볶아 뜨거운 채로 헝겊주머니에 넣어 환부를 찜질한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2.19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69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