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설
Ⅱ. 누범에 대한 형의 가중의 문제점
Ⅲ. 누범가중의 요건
Ⅳ. 누범의 효과
Ⅱ. 누범에 대한 형의 가중의 문제점
Ⅲ. 누범가중의 요건
Ⅳ. 누범의 효과
본문내용
형의 시효완성(§77), 특별사면(사면법 §5ⅱ), 재판확정 후 법률의 변경으로 그 행위가 범죄를 구성하지 아니하는 때(§1③) 등을 들 수 있음
3) 3년 이내
상습법에 있어서는 그 일부행위가 누범기간 내에 이루어지는 한 나머지의 행위가 그 기간경과 후에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그 행위전부가 누범관계에 있음(판례)
Ⅳ. 누범의 효과
(1) 누범의 형은 그 죄에 정한 장기의 2배까지 가중함(§35②)
(2) 판결선고 후의 누범발각
판결선고 후 누범인 것이 발각된 때에는 그 선고한 형을 통산하여 다시 형을 정할 수 있다. 단 선고한 형의 집행을 종료하거나 그 집행이 면제된 후에는 예외로 한다(§36). 이 판결선고 후의 누범발각에 관한 형법의 규정은 헌법상의 일사부재리의 원칙에 반한다는 비판이 있음(다수설)
3) 3년 이내
상습법에 있어서는 그 일부행위가 누범기간 내에 이루어지는 한 나머지의 행위가 그 기간경과 후에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그 행위전부가 누범관계에 있음(판례)
Ⅳ. 누범의 효과
(1) 누범의 형은 그 죄에 정한 장기의 2배까지 가중함(§35②)
(2) 판결선고 후의 누범발각
판결선고 후 누범인 것이 발각된 때에는 그 선고한 형을 통산하여 다시 형을 정할 수 있다. 단 선고한 형의 집행을 종료하거나 그 집행이 면제된 후에는 예외로 한다(§36). 이 판결선고 후의 누범발각에 관한 형법의 규정은 헌법상의 일사부재리의 원칙에 반한다는 비판이 있음(다수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