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니라 무의식적인
반응이나 일상생활일 수 있다.
: 교사의 지도방법=유아들은 그들의 수준과 욕구에 맞지 않는 교육과정과 활동에는 손가락을 빠는 것과 같은
부적절한 행동으로 반응한다. 유아들의 욕구과 수준에 맞지 않는 교육과정이라고 판단되면,
유아들에게 적절하도록 유아교육기관내의 교육과정과 활동들을 변화시킨다. 유아들에게
적절하도록 유아교육기관에서 즐거움을 느낀다면 손가락을 빨고자 하는 욕구가 감소될 것이다.
= 손가락을 빠는 행동을 대체하기 위해 다른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활동을 제공한다. 감각활동을 하고자 하는 유아의 욕구가 손가락을 빠는 행동으로 간접적으로 표현되었는지를 고려하여 본다. 물놀이, 모래놀이,
찰흙놀이, 다양한 촉감을 가진 주머니, 요리활동, 냄새 맡고 맛을 보는 식별활동과 같은 감각 활동을
유아교육과정 안에 포함시켜 감각자극에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제공한다.
= 유아의 양 손이 활동적으로 움직 일 때는 그의 입에 손가락을 넣지 않는다.
잘 계획된 하루 일과시간표와 활동 선택권을 제공하면 유아는 자신의 양손을 사용할 수 있는 많은 기회를 갖게 되므로 양손을 입안에 넣는 기회가 감소될 것이다.
부적응 행동 15- 신체부위를 잡아당기는 아이
:특징=손가락으로 자기 몸의 다른 곳을 잡아당기는 증상인데 눈에 띄기 쉬우므로 부모에게 꾸중듣기 쉽다.
“ 보기싫어”라고 주의를 받으면 일시적으로 그만두지만 또 한다. 아이는 무의식적으로 하는 것이므로
주변에서 어떻게 주의를 주어도 쉽게 고치지 못한다. 그러나 주의를 주면 조금은 고쳐지기도 하지만
좀처럼 고치기 힘들다. 잡아당기는 부분은 사람에따라 다르지만 습관화 되어서 그만두기 어렵다.
텔레비전을 보면서 손가락을 잡아 뜯거나 깍지를 끼고 잡아 빼는등 그 행동이 다양하다.
: 교사의 지도방법=아이의 버릇은 교사나 주변 아이들의 눈에 띄므로 교사는 모두의 앞에서 그 것을 지적하는데
이렇게 되면 오히여 고치지 않을 수있다. 모르는 척 무시하는 것이 제1단계의 지도법이다.
이것은 가정에서도 같다. 다음으로 아이가 손을 잡아 뜯지 않도록 손을 사용하는 재미있는 놀이를 권해준다. 이야기를 듣거나 텔레비전을 볼 때는 손이 놀지 않도록 무엇인가를 손에
잡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참고문헌>>
김재은(1994). 유아문제행동의 특징과 지도방법. 국민서관
지성애(1997). 유아행동지도: 생활지도와 문제행동 해결을 위한 지침. 양서원
반응이나 일상생활일 수 있다.
: 교사의 지도방법=유아들은 그들의 수준과 욕구에 맞지 않는 교육과정과 활동에는 손가락을 빠는 것과 같은
부적절한 행동으로 반응한다. 유아들의 욕구과 수준에 맞지 않는 교육과정이라고 판단되면,
유아들에게 적절하도록 유아교육기관내의 교육과정과 활동들을 변화시킨다. 유아들에게
적절하도록 유아교육기관에서 즐거움을 느낀다면 손가락을 빨고자 하는 욕구가 감소될 것이다.
= 손가락을 빠는 행동을 대체하기 위해 다른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활동을 제공한다. 감각활동을 하고자 하는 유아의 욕구가 손가락을 빠는 행동으로 간접적으로 표현되었는지를 고려하여 본다. 물놀이, 모래놀이,
찰흙놀이, 다양한 촉감을 가진 주머니, 요리활동, 냄새 맡고 맛을 보는 식별활동과 같은 감각 활동을
유아교육과정 안에 포함시켜 감각자극에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제공한다.
= 유아의 양 손이 활동적으로 움직 일 때는 그의 입에 손가락을 넣지 않는다.
잘 계획된 하루 일과시간표와 활동 선택권을 제공하면 유아는 자신의 양손을 사용할 수 있는 많은 기회를 갖게 되므로 양손을 입안에 넣는 기회가 감소될 것이다.
부적응 행동 15- 신체부위를 잡아당기는 아이
:특징=손가락으로 자기 몸의 다른 곳을 잡아당기는 증상인데 눈에 띄기 쉬우므로 부모에게 꾸중듣기 쉽다.
“ 보기싫어”라고 주의를 받으면 일시적으로 그만두지만 또 한다. 아이는 무의식적으로 하는 것이므로
주변에서 어떻게 주의를 주어도 쉽게 고치지 못한다. 그러나 주의를 주면 조금은 고쳐지기도 하지만
좀처럼 고치기 힘들다. 잡아당기는 부분은 사람에따라 다르지만 습관화 되어서 그만두기 어렵다.
텔레비전을 보면서 손가락을 잡아 뜯거나 깍지를 끼고 잡아 빼는등 그 행동이 다양하다.
: 교사의 지도방법=아이의 버릇은 교사나 주변 아이들의 눈에 띄므로 교사는 모두의 앞에서 그 것을 지적하는데
이렇게 되면 오히여 고치지 않을 수있다. 모르는 척 무시하는 것이 제1단계의 지도법이다.
이것은 가정에서도 같다. 다음으로 아이가 손을 잡아 뜯지 않도록 손을 사용하는 재미있는 놀이를 권해준다. 이야기를 듣거나 텔레비전을 볼 때는 손이 놀지 않도록 무엇인가를 손에
잡게 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참고문헌>>
김재은(1994). 유아문제행동의 특징과 지도방법. 국민서관
지성애(1997). 유아행동지도: 생활지도와 문제행동 해결을 위한 지침. 양서원
추천자료
영아의 발달단계에 따른 배변행동 특성과 교사의 역할
인간행동의 이해( 영아기 및 유아기 편)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영아기~ 유아기 발달과정(A+)
영아발달단계에 따른 배변행동과 교사의 역할
영아발달단계별 행동특성과 교사의역할
영아의 발달단계에 따른 배변행동 특성과 교사의 역할 및 지도법
영아의 기질과 부모의 양육행동
[영아발달] 발달이론 중 유전적 영향을 중요하게 여기는 이론들과 환경의 영향을 중요하게 여...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간행동과 사회환경에 대한 이해, 태아기와 영아기, 유아기에 대하여...
[아동사회성의 발달] 영-유아기 사회성 발달 -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의 사회성발달(사회적 ...
[만0세 관찰일지] 만0세영아관찰일지, 0세관찰기록, 아동영역별관찰일지,만0세 보육일지,영유...
영아발달 이론 중 동물행동학적 이론에 대하여 논하시오.
영아발달의 이론 중 행동주의에 입각한 이론에 대해 설명하고 그에 따른 자신의 의견을 피력...
영아기의 언어획득은 행동주의가 주장하는 자극과 반응에 의해 언어를 습득한다는 이론과 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