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절환자의 간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골절환자의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신체 부위별 골절과 간호
1.상지골절
1) 상박골절
2) 손목골절
3) upper extremity fx(상지골절)의 간호과정
2.하지골절
1) 골반 골절
2) 대퇴부 골절의 치료와 간호
3) 대퇴골절의 합병증
4) Lower extremity fx. (하지골절)의 간호과정
3.쇄골의 골절 및 탈구
4.견관절 탈구
5. spine fx(척추골절)
6. pelvic bone fx(골반뼈 골절)

* 골절환자의 1~4차 간호
(1) 1차간호
(2) 2차간호
(3) 3차간호
(4) 4차간호

* Traction 환자 간호
1.Traction의목적
2.Traction의 종류와 간호
1) 추의 무게
2) 기간
3) 방법
4) Skin traction의 종류
①Buck's traction(신전 견인)
②Russell's traction(럿셀 견인)
③Pelvic sling traction(골반 현수 견인)
④Pelvic belt traction (골반띠 견인)
⑤Halter's traction(cervical traction. 경부 견인)
⑥Bryant's traction (브리안트 견인)
3.환자의 체위와 관련된 간호
1) 환자의 체위 -
2) countertraction(상대적견인력) 유지
3) 마찰방지
5) 견인줄의 위치가 정확한지 관찰
6) 운동과 감각 상태에 관한 관찰
7) traction시 압박으로 인한 욕창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
① 상지:팔꿈치의 뼈 돌출부, 팔꿈치 관절의 연조직, 손목의 뼈 돌출부위, 손바닥 쪽
② 하지:비골의 비골신경 부위, 발목의 뼈 돌출부, 뒤꿈치, 발잔등의 연조직
③ 체부:척추 돌출부, 견갑골부, 대전자
8) 전반적 사항 관찰 :
4. 일반적인 간호
1) 환자의 체위 :
2) 상대적 견인 유지 :
3) 마찰 :
4) 견인의 계속성 :
5) 견인줄 :
6) 운동과 감각상태에 대한 관찰 :
7) 혈액순환:
8) 피부간호:
9)압박부위 관리:
10)감염관리:
5.부작용

【 Cast 환자의 간호 】
1.석고 붕대의 사용목적
2. 석고붕대 종류
①단상지석고(short arm cast) :
②장상지석고(long arm cast) :
③상박현수석고(hanging arm cast) :
④단하지 석고(short leg cast) :
⑤장하지 석고(long leg cast) :
⑥체간부 석고(body cast) :
⑦수상석고(spica cast) :
3. 석고붕대 감는 과정
①단상지석고(short arm cast):
②장상지석고(long arm cast):
4.필요물품
5.환자준비과정
6.건조
7.환자의 체위
8.합병증
9.합병증의 종류와 예방간호
-합병증의 종류
1)볼크만구축 :
2)신경손상 :
3)욕창 :
-합병증예방 간호:

본문내용

붕대를 감은후 거칠거칠한 석고의 끝부분을 충분히 싸줄수 있을 정도로 길게 준비한다.
6.건조
-석고가 굳는 동안 정상적으로 석고에서부터 다소 열이 발생되나 약 10~15분후면 없어진다.
-석고의 건조시간이나 완성된 석고붕대의 고정력은 사용된 석고 층의 수에 따라 다르다.
-석고붕대가 건조되는 시간은 석고붕대의 종류와 두께, 주위환경의 습도, 기온, 환기상태 등에 따라 다르다.
-석고붕대를 건조시킬때는 실내온도가 적당하고 습하거나 추운날이면 전기난로를 이용한다.
-석고붕대는 속까지 완전히 말라야하며 고루고루 일정한 속도로 건조되어야 한다. (석고붕대의 일부에만 열을 집중하면 석고붕대가 깨지기 쉬우므로 전기난로는 석고붕대에서부터 약 45㎝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고 자주 옮겨야 하며 대상자의 체위도 자주 변경해준다. 전기램프는 복사열이 아니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건조기간 동안 석고붕대에서 열이 날수 있어 대상자가 불안, 불편해 할 수 있으므로 미리 설명해준다.
-체간부석고나 고관절 수상석고를 한 경우에 열로 대상자가 불편을 호소하면 선풍기를 순환시킨다.
-석고붕대가 젖어있는 동안 때로는 오한이나 추위를 느끼기도 한다. 이때는 노출된 부분을 담요로 덮어준다.
-건조 도중에 대상자를 갑자기 움직이거나 잘못다루면 석고붕대가 부서지기 쉽고 형태가 변할 수 있다.
-마른 석고붕대는 냄새가 없고 두들기면 공명음이 있으며 희고 반짝이고 온도의 이질감이 없다. 젖은 석고붕대는 곰팡이 냄새가 나며 둔탁한 소리가 나고 윤택없는 회색이며 만지면 찬 냉기를 느낀다.
7.환자의 체위
-베개사용 :베개를 사용하는 목적은 석고가 건조되는 동안 뼈돌출부위에 과도한 압력으로 인한 통증과 불편감을 예방하고 마르는 동안의 젖은 석고붕대를 보호하고 몸의 정돈이 이루어지도록 간호하기 위함이다. ⇒ 체간부석고나 고관절수상석고를 한경우에 베개를 가로로 3개쯤 놓은후 대상자를 눕힌다. 이때 베개의 위치는 허리부분에 가로로 하나, 하지부분에 세로로 두 개를 놓는다. 만약 양하지에 석고를 했다면, 각하지마다 베개를 두 개씩 놓는다. 베게는 다소 작은 것이 더욱좋다. ⇒ 무릎밑부위나 요추부위에는 원하는 크기의 스펀지나 접은 린넨으로 지지하기도 한다.-석고붕대 후 주의점 :석고붕대를 감은 후에 대상자를 안전하게 침대로 옮긴다. 젖은 석고붕대는 반드시 손바닥을 이용하여 조심스레 다룬다. 만약 손가락 끝으로 석고붕대를 누르면 손가락 끝이 가해지는 압력으로 젖은 석고붕대가 눌리기 된다. 사지 석고붕대는 부종예방을 위하여 석고붕대 후 24~48시간동안 계속해서 상승시킨다. 석고붕대환자를 위해서 단단한 침요와 침요밑 나무판을 깔아준다. 마르는 동안에 어깨나 목밑에 높은 베개를 대어주면 석고붕대 모양이 바뀌고, 가슴과 복부에 압박감을 느끼게 되므로 삼간다. 석고붕대 부분을 늘 거상하여 부종을 예방한다. 발뒤꿈치는 베개나 침요에 닿지않도록 하고 두꺼운 담요로 발을 덮지 말아야 한다. 수족을 예방한다. 발이 외전되지 않도록 발을 정상위치로 유지한다.
-석고붕대가 마르는 동안에 대상자의 체위 변경: 체간부석고나 고관절수상석고와 같이 큰 석고는 젖어있는 동안 체위를 변경하면 깨질 염려가 있으므로 석고붕대감은 첫날은 체위를 변경하지 않는다. 그러나 젖어있는 동안이라도 석고붕대가 골고루 마르도록 몸을 조금씩 움직이게 하고 한가지 체위로 인한 압박감과 불편감을 예방한다. 석고붕대하기 전후에 대상자에게 체위 변경의 필요성과 방법을 알려주어 협조를 얻도록 한다. 석고붕대한 후에 행동이 부자연스럽고 둔해서 침상에서 떨어질 위험이 있으므로 사고에 각별히 유의한다. 고관절수상석고 대상자의 체위를 변경할때는 서너명의 간호사가 협동적으로 실시한다. 한간호사는 손을 대상자의 둔부에 대고 다른 간호사는 대상자의 다리를 잡고 대상자를 침대 한쪽으로 끈 다음에 대상자의 수술부나 골절 고정부위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유의하면서 대상자의 자세를 돌린다.
8.합병증
-합병증이 나타날 수 있는 경우 : 석고붕대한 환부의 부종, 너무 꽉 조이는 석고붕대, 석고붕대속의 솜이나 pad의 주름, 석고붕대속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외상이나 치료로 인한 신경과 혈관의 손상, 석고붕대한 부분에 압력이 가해질 때 근육, 피부, 혈관, 신경에 돌이킬수 없는 합병증이 초래된다. 석고붕대는 견고하고 신전이 불가능하여 조직이나 혈관의 수축을 동반하므로 국소괴저가 오기쉽고 심하면 마비가 올 수 있다.
9.합병증의 종류와 예방간호
-합병증의 종류
1)볼크만구축 : 상지석고붕대한 경우 영구적으로 Volkman 구축이 발생될수 있다. 이때는 요골맥박이 촉진되지 않거나 손과 손가락의 부종 및 변색이 나타나므로 이러한 증상의 발현여부를 정확히 관찰해야 한다. 만약 이러한 증상이 의심되면 곧 의료진에게 알려서 적절히 조치하여 압력을 제거하도록 한다.
2)신경손상 : 석고붕대로 인한 압박감으로 말초신경이 눌리면 신경손상이 오기 쉽다. 비골신경이 손상되면 회복이 불가능한 영구적 손상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감각이나 운동기능 및 순환정도에 대한 철저한 관찰이 요구된다. 따라서 하지의 신경기능을 사정해야 한다.
3)욕창 : 뼈 돌출부는 피하조직에 있으며 연조직으로 겨우 보호되고 있어서 방어력이 약하기 때문에 이부위가 석고붕대로부터 압박을 받게 되면 초기에는 통증만 느끼게 되나 후에는 국소적 혈액공급이 차단되면서 욕창과 같은 조직 괴저가 나타난다. 석고붕대한 직후 통증이 발견되면 곧 주치의에게 연락한다. 이때의 통증은 쓰리고 아프며 약 2~3일 지나면 다소 완화된다. 석고붕대하고 있는 동안 통증을 더 이상 호소하지 않아도 안심하지 말고 더 악화되지않는지 관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합병증예방 간호: 석고붕대와 관련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대상자를 철저히 관찰하고 대상자의 전신반응을 사정하여 합병증과 관련된 증상을 발견해야 한다. 관찰을 통하여 전신상태, 피부의 열감, 혈류의 흐름, 감각정도, 부종유무, 능동적인 움직임을 파악한다. 5P가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통증(pain)/청색증(pallor)/무맥(pulselessness)/감각이상(paresthesia)/마비(paralysis)
  • 가격4,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12.22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78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