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법의 적용 범위
2. 자동차운행자의 책임의 성립 요건
2. 자동차운행자의 책임의 성립 요건
본문내용
알아볼 수 없게 된 이상 막바로 손해배상의 경감사유로 삼을 수 없다(大判 1996. 3. 22. 95다24302).
5.
[1] 자동차 사고의 피해자가 무단운전자의 차량에 동승한 자인 경우에는 그가 무단운행의 정을 알았는지의 여부가 자동차 소유자의 운행지배 내지 운행이익의 상실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지만, 피해자인 동승자가 무단운행에 가담하였다거나 무단운행의 정을 알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운행 경위나 운행 목적에 비추어 당해 무단운행이 사회통념상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선해할 만한 사정이 있거나, 그 무단운행이 운전자의 평소 업무와 사실상 밀접하게 관련된 것이어서 소유자의 사후승낙 가능성을 전적으로 배제할 수 없는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소유자가 운행지배와 운행이익을 완전히 상실하였다고 볼 수 없다.
[2] 자동차 소유자가 사고차량에 대한 운행지배와 운행이익을 상실하지 아니하였다는 판단과 제3자의 무면허운전에 대하여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인 승인을 하지 아니하였다는 판단은 양립할 수 있다.(大判 1999. 4. 23. 98다61395)
(4) 면책사유가 없을 것
사상한 자가 승객인 경우와 승객 이외인 경우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5.
[1] 자동차 사고의 피해자가 무단운전자의 차량에 동승한 자인 경우에는 그가 무단운행의 정을 알았는지의 여부가 자동차 소유자의 운행지배 내지 운행이익의 상실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는 것이지만, 피해자인 동승자가 무단운행에 가담하였다거나 무단운행의 정을 알고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운행 경위나 운행 목적에 비추어 당해 무단운행이 사회통념상 있을 수 있는 일이라고 선해할 만한 사정이 있거나, 그 무단운행이 운전자의 평소 업무와 사실상 밀접하게 관련된 것이어서 소유자의 사후승낙 가능성을 전적으로 배제할 수 없는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소유자가 운행지배와 운행이익을 완전히 상실하였다고 볼 수 없다.
[2] 자동차 소유자가 사고차량에 대한 운행지배와 운행이익을 상실하지 아니하였다는 판단과 제3자의 무면허운전에 대하여 명시적이거나 묵시적인 승인을 하지 아니하였다는 판단은 양립할 수 있다.(大判 1999. 4. 23. 98다61395)
(4) 면책사유가 없을 것
사상한 자가 승객인 경우와 승객 이외인 경우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다.
추천자료
법무사1차 채권총론
재해보상과 다른법과의 관계-노동법 서머리 자료
점유의 개념 점유권의 취득과 소멸 및 효력
회사법 핵심정리
[상법총론] 지배인
상법(회사법) 요약 서브노트
논술 시험 대비 총정리 - 근로계약 부분
학교 안전사고에 관한 법령사례
채용내정과 시용기간에 대한 법적 검토
2011년도 민법 상하반기판례 (10.12.09~11.12.27까지 선고된 것 中)선고일 내림차순
안전사고 관련기사
화물운송자 자격시험 요약 및 문제집
kcu 삶의 약이 되는 약 이야기 - 담배와 마리화나의 유해성에 대한 고찰
2016년 2학기 인권법 중간시험과제물 D형(국가인권위원회의 진정제도와 진정처리절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