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익명 게시물과 댓글의 화용적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1. 익명 게시판의 특성
2. 댓글의 특성

II. 텍스트 분석
1. 분석 텍스트의 제시
2. 화용형태론적 분석
3. 화용통사론적 분석
4. 화용전략적 분석

III. 결론

본문내용

글에 대한 댓글(re-reply)’ 이란 방식으로 관찰되는 점이 특이하다(39,40,50). 음성적 대화 속에서, 끼어들기는 항상 제한된 시간 내에 발화되어야 했으며 이 순서를 놓칠 경우 끼어들기는 효과적 화용전략이 되지 못했다. 하지만 댓글에서, 끼어들기는 시간적 제약을 무시하고도 충분히 가능해지며 글이 남아 있는 한 계속 유효성을 지닌다. 이는 댓글이란 신종 텍스트 형태가 만들어내는 새로운 화용적 현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2) 체면 유지 전략
이 텍스트에서 관찰할 수 있는 가장 두드러진 특성은, 체면 유지에 대한 화용 전략을 거의 찾아볼 수 없었다는 점이다. 이것은 위의 화용 현상이 일어난 장소가 익명성이 보장되는 공간이란 까닭으로 짐작된다. 익명성이 보장되기 때문에 자신과 상대방의 체면을 굳이 세워줄 필요가 없었다는 것이다. 다만, 본문과 댓글에서 일관적으로 존댓말을 사용하고 높임형으로 상대방을 지칭하는 현상이 관찰된다(39, 40과 같이 상대방을 ‘윗엣분, 아래댓글님’등으로 -님을 붙여 호칭함). 이것은 이 익명 게시판이 속한 커뮤니티 자체의 규clr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3) 대화 내용 전략
격려 전략
본문을 쓴 글쓴이의 편에 서면서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거나(4,5,31,32) 혹은 글쓴이를 격려하며 체면을 세워주면서도 동시에 반대 의견을 말하는 현상이 관찰된다(24).
비판 전략
본문의 글쓴이를 정면으로 비판하고 나오는 경우는 잘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글쓴이와 같은 태도를 지니며, 글쓴이가 비판하는 상대를 함께 비판하는 경우를 관찰할 수 있었다(45). 이것은 댓글을 다는 참여자들이 ‘본문 글쓴이의 편에서 생각하는’ 태도를 갖는 점에서 특이하다고 할 수 있다. 댓글의 참여자들은 본문 속에 등장하는 제3자보다, 본문의 게시자를 심리적으로 더 친숙하게 느끼는 경향이 있는 듯하다.
설득 전략, 양보 전략
이 텍스트에서 특별히 설득이나 양보 전략을 사용한 댓글은 많이 관찰되지 않는다(12, 22).
화제 돌리기 전략
화제가 대화 참여자들 간의 대화에 따라 암묵적으로 정해지며 시시각각 변화하는 음성적 대화와는 달리, 제시된 텍스트는 글의 형태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화제돌리기 전략을 사용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본문의 글쓴이가 제기한 문제점에 대해 대답을 살짝 회피하면서 부차적인 것에만 답하는 식으로 화제돌리기를 시도한 경우가 관찰된다(43).
동정심 유발 전략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면서, 화자 자신에 대해 동정심을 유발하려는 전략이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25).
3. 화용형태론적 분석
외래어, 유행어의 광범위한 사용이 관찰된다. 특히 젊은층에서 주도적으로 만들어지고 사용되는 인터넷 상의 신조어가 매우 자연스럽게 사용된 점이 주목할 만하다. ‘오지라퍼’가 그 대표적 예다(4,5). 오지랖의 사전적 의미는 다음과 같다.
오지랖
[명사]웃옷이나 윗도리에 입는 겉옷의 앞자락.
[관용구] 오지랖(이) 넓다
1 쓸데없이 지나치게 아무 일에나 참견하는 면이 있다.
넌 얼마나 오지랖이 넓기에 남의 일에 그렇게 미주알고주알 캐는 거냐?≪심훈, 영원의 미소≫
강쇠네는 입이 재고 무슨 일에나 오지랖이 넓었지만, 무작정 덤벙거리고만 다니는 새줄랑이는 아니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2 염치없이 행동하는 면이 있다.
‘오지랖이 넓다’ 란 관용구가 가진 의미가 ‘오지랖’ 이란 단어로 전이되었고, 여기에 영어에서 ‘~하는 사람’ 이란 뜻을 가진 ‘-er' 이 붙어서 ’오지라퍼' 라는 신조어를 만들어 냈다. 이 신조어의 사용층은 ‘오지라퍼’ 라는 단어를 ‘ojirap-er' 로 인식한다는 것을 추측해 보았다.
4. 화용통사론적 분석
위 텍스트에서 특별한 통사론적 특징은 관찰되지 않았다. 하지만 의문문이 사용된 경우 모두 강조의 표현인 수사의문문이나, 주장을 강하게 내세우기 위해 반어적 어감을 띠고 사용되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5. 화용텍스트적 분석
위의 텍스트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1) 텍스트의 구조
본문 정보(1)
본문(2)
댓글(3-50)
본문은 아르바이트의 필요성에 대해 일종의 문제제기와 같은 역할을 하며, 댓글은 제기된 문제에 대한 대화 참여자들의 생각을 담고 있다.
인터넷상에 등록된 글이기 때문에, 텍스트 내에 글의 작성 시간과 날짜가 기재되어 있다.
많은 수의 사용자들이 참여하는 댓글 텍스트의 특성상, 댓글은 사실상 개개의 글마다 각기 다른 화자가 참여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2) 전략
본 텍스트는 인터넷상의 글과 이에 달린 댓글로 구성되어 있으며, 댓글은 각각의 글마다 완결된 주제성과 상관성을 갖고 조직되어 있다. 따라서 독자의 관심을 유발하기 위한 전략이나, 자신의 주장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전략이 많이 쓰였다.
ㄱ. 흥미 유발 전략
텍스트 작성에 참여한 거의 모든 글쓴이들이, 자신의 경험을 이야기하며 흥미를 유발하고 있다.(11,25,28 등)
ㄴ. 비유 전략
비유 전략이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익명 게시판의 특성이 잘 드러난다. 상대방의 체면을 세워주기 위해 굳이 비유를 쓰거나 돌려 말하려는 노력이, 익명성이 보장되는 경우에는 그 필요성을 상실하는 것이다.
ㄷ. 인용 전략
권위자의 말을 인용하는 전략 또한 거의 쓰이지 않았다. 익명성이라는 상황에서 오는 평등함이 권위를 약화시키는 원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커뮤니티 구성원의 대다수가 학생이라는 점에서, 학생과 젊은층 사이에서 매우 큰 권위로 인식되는 대학 수준의 언급으로 권위를 얻으려는 시도와(49) 이 시도에 맞대응하는 댓글(50)이 특이하다.
III. 결론
인터넷 익명 게시판의 글과 댓글은, 인터넷 상에서의 화용적 특성을 잘 보여줌과 동시에 익명성이 보장되는 상황에서의 화용적 특성 또한 잘 나타내고 있다. 또한 텍스트적 특성과 대화적 특성을 동시에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눈여겨 볼 수 있을 것이다. 인터넷을 사용하는 인구는 매우 많고, 그런 만큼 금세 새로운 대화 방식이 나타나고 또 개발되고 있다. 인터넷 댓글은 사람이 새롭게 개발해낸 의사소통 방식에 맞게 사용자의 화용 방법이 적응되고 변화되어 간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 가격1,9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12.24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6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