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시험제목
2. 시험목적
3. 시험이론
4. 시험방법
5. 시험결과
6. 고찰
2. 시험목적
3. 시험이론
4. 시험방법
5. 시험결과
6. 고찰
본문내용
의 수직응력
4) 0.270(ton)의 수직응력
5) 0.458(ton)의 수직응력
6) 0.600(ton)의 수직응력
7) 0.800(ton)의 수직응력
8) 결과값
수직응력(Ton)
최대전단강도(Ton)
변위면적(cm2)
전단응력
0.045
0.029
0.370
0.078
0.070
0.035
0.410
0.085
0.120
0.057
0.530
0.108
0.270
0.110
0.650
0.169
0.458
0.178
0.540
0.330
0.600
0.233
0.430
0.542
0.800
0.304
0.510
0.596
전단응력 = 최대전단강도 / 변위면적
점착력 C=0.021ton/cm2
마찰각 φ=36.65°
6. 고찰
측정데이터의 양이 초당 수십개씩 얻어지며, 시험시간이 2~30분 정도이므로 매우 많은 데이터가 나오므로, OriginLab 프로그램으로 그래프를 그렸다. 수직하중이 점점 증가할수록 그래프의 양상이 처음엔 거칠다가 점점 완만하게 변해가는 것이 보여졌다. 이 것은 한가지 시료를 가지고 반복실험하여 절리면 사이의 거친면이 닳아서 그런 것이라 생각된다. 마지막에 점착력과 마찰각을 구하기 위한 그래프를 그린 것에서는 정밀하진 않지만, 어느정도 일직선을 이루고 있어 값을 구하는 데는 문제가 없었다. 이론에서도 언급했듯이 전단강도값을 결정하는 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100% 시험값을 신뢰할 수는 없다. 적당한 전단강도의 선택과 암반의 전단강도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여러 요소들을 고려함으로써, 사면안정성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4) 0.270(ton)의 수직응력
5) 0.458(ton)의 수직응력
6) 0.600(ton)의 수직응력
7) 0.800(ton)의 수직응력
8) 결과값
수직응력(Ton)
최대전단강도(Ton)
변위면적(cm2)
전단응력
0.045
0.029
0.370
0.078
0.070
0.035
0.410
0.085
0.120
0.057
0.530
0.108
0.270
0.110
0.650
0.169
0.458
0.178
0.540
0.330
0.600
0.233
0.430
0.542
0.800
0.304
0.510
0.596
전단응력 = 최대전단강도 / 변위면적
점착력 C=0.021ton/cm2
마찰각 φ=36.65°
6. 고찰
측정데이터의 양이 초당 수십개씩 얻어지며, 시험시간이 2~30분 정도이므로 매우 많은 데이터가 나오므로, OriginLab 프로그램으로 그래프를 그렸다. 수직하중이 점점 증가할수록 그래프의 양상이 처음엔 거칠다가 점점 완만하게 변해가는 것이 보여졌다. 이 것은 한가지 시료를 가지고 반복실험하여 절리면 사이의 거친면이 닳아서 그런 것이라 생각된다. 마지막에 점착력과 마찰각을 구하기 위한 그래프를 그린 것에서는 정밀하진 않지만, 어느정도 일직선을 이루고 있어 값을 구하는 데는 문제가 없었다. 이론에서도 언급했듯이 전단강도값을 결정하는 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므로, 100% 시험값을 신뢰할 수는 없다. 적당한 전단강도의 선택과 암반의 전단강도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여러 요소들을 고려함으로써, 사면안정성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