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하기 교육론 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의사소통 능력과 말하기 교육

2. 말하기 수업 구성 원리

3. 말하기 수업 활동

본문내용

통해 이루어진다. 역할극은 다양한 상황을 미리 접해 보고 그 상황에서 맡게 될 역할을 담당하여 적절한 발화를 연습해 보는 활동이다. 그러므로 실제로 적용 가능한 상황과 표현으로 연습해야 하며, 학습자는 창조적이고 즉흥적인 활동으로 연습에 임하게 된다. 역할극을 통해 물건 사기, 약속하기, 소개하기, 주문하기 등의 활동을 연습할 수 있다.
(6) 발표하기
전체 학습자를 대상으로 미리 준비된 특정한 내용을 전달하는 발표는 개인적인 사항에 대한 것부터 특정한 조사 내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읽기나 쓰기 등의 다른 언어 기능과 자주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발표 내용에 대해 동료들의 피드백이나 평가를 유도하여 청중 또한 적극적인 참여자로 유도하고 상호작용이 일어나도록 한다.
(7) 토론하기
하나의 주제에 관해 그룹으로 토론하는 활동을 통해 논리적으로 말하기, 주장하기, 설득하기 등의 언어 능력을 기를 수 있다. 교사의 통제 정도에 따라 유도된 토론에서부터 토론회까지 다양하게 진행할 수 있다. 유도된 토론은 교사가 선정한 주제나 읽기 자료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토론을 거쳐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이다. 자유로운 토론은 학습자 스스로 토론의 주제를 선정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예상되는 질문을 구성하고 토론회를 이끄는 것이므로 중고급 학습자들에게 유용하다.
3.2 과제 활동(Task)
말하기 활동의 최종 목표는 한국어를 사용하여 실생활에서 정확하고 유창하게 의사소통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는 연습 활동을 통해 익힌 언어적인 능력을 ‘과제 활동’을 통해 종합적으로 수행해 봄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과제 활동은 뚜렷한 기능을 목표로 한 연습 활동이 특정한 상황 속에서 전개되는 것이며, 활동의 참여자들은 특정한 역할을 가지고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과제 수행은 목표 언어를 ‘단순히 이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어를 사용하여 ‘무엇을 해 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과제는 실제적인 과제(real-world task)와 교육적인 과제(pedagogic task)가 있다. 실제적인 과제는 교실 밖의 세계에서 접하게 될 실제 상황을 교실 내로 옮겨와서 수행해 보는 것이며, 교육적인 과제는 실생활에서 일어날 개연성은 없으나 교육적인 목적으로 고안된 연습, 또는 실제적인 과제의 변이 형태들이다. 실제적인 과제와 교육적인 과제는 수업의 단계와 목표에 따라 균형 있게 결합되어야 한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12.24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6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