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주위의 물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주위의 물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목

목표

실험원리

실험기구 재료

실험 활동

실험 결과

해석및 정리

본문내용

은 베이킹파우더나 소화제에 활용된다.
2NaHCO3 ------> NaCO3 + H2O + CO2 < 열분해 >
● 화학변화는 분자나 원자의 배열 상태를 바꿔 반응물질과 생성물질의 고유 특성이 변한다.
● 가열 시에는 학생들에게 알코올램프 사용법을 충분히 가르쳐야 한다.
가루
물질에 요오드
용액과 식초 떨어뜨리기
● 요오드 용액은 녹말에만 반응한다. 즉 화학적 변화를 하는 것이다.
● 식초는 물과 같이 녹말을 제외한 모든 가루를 녹이는 물리적 특성이 있다. 그러나 탄산수소나트륨에 식초를 넣으면 식초가 산의 성질이 있어 거품을 내며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즉 화학변화가 나타나는 것이다.
● 소금, 설탕, 탄산수소나트륨이 요오드 용액 자체의 색에 의해 착색되는 것을 보고 색깔이 변했다고 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용액 자체의 색이 갈색임을 아동들에게 반드시 확인시켜 주어야 한다.
● 이 실험에서는 식초에 의한 반응에서 “거품이 일어나는가, 일어나지 않는가?” 하는 것을 기준으로 변화가 있다, 없다로 판단하는 결과를 내렸다. 하지만 식초에 의해 “녹는다, 녹지 않는다.” 하는 것을 기준으로 결과를 내린다면 소금, 설탕, 탄산수소나트륨은 녹고, 녹말은 뿌옇게 되지만 별다른 변화가 없다고 할 수도 있다. 다만, 이 실험에서는 식초에 독특하게 반응하는 탄산수소나트륨의 구별에 그 주안점이 있다고 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녹말이 요오드용액과 반응하여 청남색으로 변하는 이유?
녹말에 요오드용액을 떨어뜨리면 나선형구조를 이루고 있는 녹말 분자의 나선속으로 요오드 원자단이 끼어들게 되고 갈색을 띠고 있던 요오드용액의 색깔이 청남색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탄산수소나트륨이 식초와 반응하여 기포가 생기는 이유?
탄산수소나트륨과 식초의 반응식 : 탄산수소나트륨은 열을 가할 경우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만 식초와 같은 산과 반응하여도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NaHCO3 + CH3COOH → CH3COONa + CO2 + H2O
가루 혼합물속의물질
알아내기
● 가열시 딱딱 소리를 내며 튄다 - 소금이 들어 있을 것이다.
● 요오드용액 반응시 진한 청남색을 띤다- 녹말이 들어있을 것이다.
● 식초를 떨어 뜨렸을때 거품이 생김- 탄산수소나트륨이 들어있을 것이 다. NaHCO3 + CH3COOH → CH3COONa + CO2 + H2O
거품은 위 과정에 의해 이산화탄소가 생겨 나오는 것이다.
● 가열하였을때 갈색으로 변하거나 단냄새가 나지 않았다 - 설탕은 들어있지 않다.
☞ 결론- 가루 혼합물 속에는 소금, 녹말, 탄산수소나트륨이 들어있다!!
● 혼합물은 두 가지 이상의 순물질이 섞여 있는 물질로서, 성분 물질의 성질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 혼합물을 물리적 특징과 화학적 변화를 통해서 구성 성분을 알아낸다.
● 눈에 보이는 알갱이 모양이나 촉감, 반짝이는 정도로 성분을 추측해 볼 수 있고, 가열이나 시료를 통해 특징 있는 가루를 화학변화를 통해 구분할 수 있다.
● 혼합물을 분리할 때에 물리적 특성, 화학적 특성을 이용할 수 있다.
설탕과자
만들기
● 설탕을 넣고 가열하면 설탕이 갈색으로 변하고 캐러멜처럼 된다. 왜 그럴까?
설탕을 가열하게 되므로 물과 이산화탄소, 재가 남는다. 가열 후에는 재의 성분인 탄소가 남는다고 할 수 있다. 설탕을 계속 가열하면 갈색으로 변하면서 캐러멜 같이 되는데 이것은 설탕의 분자구조가 열에 의해 변형되었기 때문이다. 이를 캐러멜화 반응이라 하고 갈색으로 변하는 것은 포도당이나 과당 등의 환원당이 식품 속에 공존해 있는 아미노산 펩티드, 단백질과 반응하기 때문이다.
● 설탕을 어느 정도 녹인 후 소다를 넣으면 부풀어 오른다 왜 그럴까?
탄산수소나트륨이 열을 받으면 이산화탄소와 물, 탄산나트륨으로 분해된다. 이렇게 분해가 되면서 이산화탄소가 미처 증발되지 못해 부피가 커져 설탕이 부푸는 것이다. 열에 의해 녹은 설탕에 소량의 탄산수소나트륨을 넣고 섞으면 설탕덩어리 속에서 이산화탄소가 생기고 이는 미세한 기포를 발생시킨다. 이 기포들이 설탕의 부피를 팽창시켜 우리가 먹을 수 있을만한 크기의 설탕과자가 되는 것이다.
● 여기서 소다를 너무 많이 넣으면 국자에서 넘칠 뿐만 아니라 맛도 쓰다. 그러므로 소다는 나무젓가락으로 살짝 찍어서 넣는다.
★ 실험시 유의사항
※ 실험시 가루 물질이 서로 혼돈되지 않게 하기 위해 이름을 반드시 표시한다.
※ 절대 맛을 보지 않는다. 또한 냄새는 손으로 바람을 일으켜 맡는다.
※ 알코올램프 사용 전 안전사고 대책을 숙지한다.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2.25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8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