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목
실험활동
실험결과
해석및 정리
실험활동
실험결과
해석및 정리
본문내용
이용해 시료를 분리해내는 방법이다.
좀 더 정확히 정의하면, 시료성분의 2쌍(고정상과 이동상)사이의 분 포차이를 이용하여 다 성분 물질에서 각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시료 : 복잡한 혼합물을 구성하고 있는 매우 유사한 성분들로 기체, 액체, 또는 초암계-유체인 이동상에 의해 이동한다.
-고정상 : 관 속 또는 고체판 위에 고정되어 있다. 고체 또는 고체위에 묻어있는 액체, 또는 겔 일수도 있으며 아니면 관 속에 충전 되거나 층 위에 덮여 있거나 필름 같이 분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동상 : 움직이지 않는 고정상을 통해 지나간다. 기체 혹은 액체 일 수 있다.
종이크로마토그래피 : 종이에 검은 수성 사인펜으로 점을 찍은 후 수직으로 세워놓고 아래 부분이 물에 잠기도록하면 물이 종이를 따라 올라가면서 사인펜 속의 색소가 분리된다. 이때 종이처럼 고정되어 있는 물질을 정지상이라 하며, 물과 같이 위로 이동하는 물질을 이동상이라 한다. 색소들은 저마다 물을 따라 올라가는 속도가 달라 분리가 가능하다.
● 유의 할 점
① 분필을 세울 때 편평한 부분으로 세워야 넘어지지 않는다.
② 분필의 2/3 지점까지 물이 타고 올라갔으면 관찰을 그만 두도록 한 다. 물이 계속타고 올라가면 색소가 모두 날아가 버리기 때문이다.
③ 분필에 사인펜으로 표시한 곳이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한다.
우유에서 단백질 분리하기
● 우유의 단백질은 산에 의해 응고되는데, 거름장치로 거르면 거름종이의 위에는 산에 의해 응고된 단백질이 남고, 밑에는 수용성 지방이 거름장치를 통과하여 모이게 된다.
● 우유에 식초를 떨어뜨렸을 때 일어나는 반응
우유에 식초를 떨어뜨렸을 때 일어나는 반응은 우유의 수용성 단백질은 카세인 때문이다. 우유는 평균 88%의 수분을 포함하고 지질, 탄수화물, 단백질, 기타 유기화합물과 무기염류 등이 용해, 분사되어 있다. 이 중 우유 단백질의 주성분인 카세인은 우유 단백질의 76~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유에 산을 가하여 pH 4.6의 등전점(양이온과 음이온의 전하량의 합이 제로가 되는 점)에 도달하면 물에 녹지 않고 침전하므로 분리해 낼 수 있다. 카세인의 성분끼리는 분합체를 만들기 매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우유는 송아지의 위액에 함유된 단백질 분해 요소인 키모신의 작용을 받으면 응고하는 성질이 있다. 우유를 키모신으로 응고시킨 것을 레닛 카세인이라고 하며, 이를 발효, 가공한 것이 치즈이다.
좀 더 정확히 정의하면, 시료성분의 2쌍(고정상과 이동상)사이의 분 포차이를 이용하여 다 성분 물질에서 각 성분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시료 : 복잡한 혼합물을 구성하고 있는 매우 유사한 성분들로 기체, 액체, 또는 초암계-유체인 이동상에 의해 이동한다.
-고정상 : 관 속 또는 고체판 위에 고정되어 있다. 고체 또는 고체위에 묻어있는 액체, 또는 겔 일수도 있으며 아니면 관 속에 충전 되거나 층 위에 덮여 있거나 필름 같이 분포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동상 : 움직이지 않는 고정상을 통해 지나간다. 기체 혹은 액체 일 수 있다.
종이크로마토그래피 : 종이에 검은 수성 사인펜으로 점을 찍은 후 수직으로 세워놓고 아래 부분이 물에 잠기도록하면 물이 종이를 따라 올라가면서 사인펜 속의 색소가 분리된다. 이때 종이처럼 고정되어 있는 물질을 정지상이라 하며, 물과 같이 위로 이동하는 물질을 이동상이라 한다. 색소들은 저마다 물을 따라 올라가는 속도가 달라 분리가 가능하다.
● 유의 할 점
① 분필을 세울 때 편평한 부분으로 세워야 넘어지지 않는다.
② 분필의 2/3 지점까지 물이 타고 올라갔으면 관찰을 그만 두도록 한 다. 물이 계속타고 올라가면 색소가 모두 날아가 버리기 때문이다.
③ 분필에 사인펜으로 표시한 곳이 물에 잠기지 않도록 한다.
우유에서 단백질 분리하기
● 우유의 단백질은 산에 의해 응고되는데, 거름장치로 거르면 거름종이의 위에는 산에 의해 응고된 단백질이 남고, 밑에는 수용성 지방이 거름장치를 통과하여 모이게 된다.
● 우유에 식초를 떨어뜨렸을 때 일어나는 반응
우유에 식초를 떨어뜨렸을 때 일어나는 반응은 우유의 수용성 단백질은 카세인 때문이다. 우유는 평균 88%의 수분을 포함하고 지질, 탄수화물, 단백질, 기타 유기화합물과 무기염류 등이 용해, 분사되어 있다. 이 중 우유 단백질의 주성분인 카세인은 우유 단백질의 76~80%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유에 산을 가하여 pH 4.6의 등전점(양이온과 음이온의 전하량의 합이 제로가 되는 점)에 도달하면 물에 녹지 않고 침전하므로 분리해 낼 수 있다. 카세인의 성분끼리는 분합체를 만들기 매우 쉬운 성질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우유는 송아지의 위액에 함유된 단백질 분해 요소인 키모신의 작용을 받으면 응고하는 성질이 있다. 우유를 키모신으로 응고시킨 것을 레닛 카세인이라고 하며, 이를 발효, 가공한 것이 치즈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