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패밀리가 떴다!’는 어떤 프로그램인가?
2. ‘패밀리가 떴다!’의 인기 비결
2.1 각 캐릭터의 특징
2.2 캐릭터의 유동성
2.3 휴머니즘
3. ‘패밀리가 떴다!’의 문제점
3.1 프로그램 진행, 연출상의 문제점
3.2 폭력적인 언어의 사용
3.3 자막의 남용과 오용
4.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4.1 제작진 및 출연진들의 변화의 필요성
4.2 시청자들의 비판적 시청의 필요성
5. 결론
- 요약
*참고자료
-‘패밀리가 떴다!’는 어떤 프로그램인가?
2. ‘패밀리가 떴다!’의 인기 비결
2.1 각 캐릭터의 특징
2.2 캐릭터의 유동성
2.3 휴머니즘
3. ‘패밀리가 떴다!’의 문제점
3.1 프로그램 진행, 연출상의 문제점
3.2 폭력적인 언어의 사용
3.3 자막의 남용과 오용
4.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4.1 제작진 및 출연진들의 변화의 필요성
4.2 시청자들의 비판적 시청의 필요성
5. 결론
- 요약
*참고자료
본문내용
문제가 아닌 공중파 방송 3사에 걸친 문제이며 오래전부터 여러 매체로부터 지적받아왔다. 그에 자극 받은 것인지 MBC ‘무한도전’의 자막은 사회비판적, 풍자적인 모습을 보여줘 좀 더 성장한 보습을 보여줬고, 네티즌들의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하지만 여타 다른 예능 프로그램들은 여전히 그 문제를 떠안고 있으며 ‘무한도전’ 또한 남용과 오용의 문제에서 벗어나진 못했다.
4.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4.1 제작진 및 출연진들의 변화의 필요성
위에서 지적했던 문제들 중 사소한 문제들은 제작진과 출연진이 조금만 신경 쓴다면 고쳐질 수 있는 부분들이 많다. 폭력적인 언어의 사용이나 자막의 남용, 오용 같은 부분은 특히나 더 그렇다. 사실 TV방송은 일방통행 정보전달 방식을 갖고 있다. 그렇다 보니 판단 능력이 떨어지는 어린이나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클 수밖에 없다. 게다가 예능 프로그램의 시청자들의 대부분은 어린이나 청소년이다. 정체성이나 가치관이 확립되는 시기 에 잘못된 정보나 옳지 못한 가치관 같은 것들이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출연진이나 제작진들은 그들의 방송에 좀 더 책임감을 갖고 그 파급효과나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여 좀 더 발전적인 방송을 만들어야 한다.
4.2 시청자들의 비판적 시청의 필요성
사실 우리는 다양한 매체들로 둘러싸인 세상에 살고 있다. 그 속에서 우리는 비판의식을 잃고 살아 갈 때가 많다. TV를 보고 ‘예능은 재밌으면 됐지.’ 라고 생각하며 아무 생각 없이 웃으며 보고는 한다. 하지만 우리가 이러한 대중매체를 통해 무의식적으로 받는 영향은 매우 크다. 그들이 그려내는 모습에는 분명 우리 사회의 문제점도 안고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웃고 즐기는 것 이상으로 비판적인 시각을 갖고 TV를 시청할 필요가 있다. 물론 무조건적인 비판은 좋지 않다. 하지만 적당한 비판적인 사고는 좀 더 좋은 예능 프로그램을, 좀 더 발전된 방송을, 좀 더 낳은 세상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5. 결론
‘패밀리가 떴다’는 그들만의 독특한 캐릭터를 갖고 1박 2일 동안 시골 마을에서의 시골 체험기를 인간적으로 그려내 시청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는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많은 인기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 진행도의 식상함, 폭력적인 언어의 사용, 문자 자막의 남용과 오용 등의 문제를 앉고 있다.
‘패밀리가 떴다’는 그 인기만큼이나 파급효과가 크다. 그러므로 제작진 및 출연진들이 좀 더 좋은 방송을 만들기 위해 힘써야한다. 그리고 시청자 또한 비판적인 사고를 갖고 시청 함으로써 좀 더 낳은 방송을 만드는데 일조해야 할 것이다.
*참고 사이트
SBS 예능의 한줄기 빛 ‘패밀리가 떴다’에 대한 고찰, 회윤 : http://becker.egloos.com
Daum 영화 - 패밀리가 떴다 :
http://movie.daum.net/tv/detail/episode.do?tvProgramId=51732&page=1
패밀리가 떴다 홈페이지 : tv.sbs.co.kr/newsunday/index.html
4.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4.1 제작진 및 출연진들의 변화의 필요성
위에서 지적했던 문제들 중 사소한 문제들은 제작진과 출연진이 조금만 신경 쓴다면 고쳐질 수 있는 부분들이 많다. 폭력적인 언어의 사용이나 자막의 남용, 오용 같은 부분은 특히나 더 그렇다. 사실 TV방송은 일방통행 정보전달 방식을 갖고 있다. 그렇다 보니 판단 능력이 떨어지는 어린이나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클 수밖에 없다. 게다가 예능 프로그램의 시청자들의 대부분은 어린이나 청소년이다. 정체성이나 가치관이 확립되는 시기 에 잘못된 정보나 옳지 못한 가치관 같은 것들이 무의식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출연진이나 제작진들은 그들의 방송에 좀 더 책임감을 갖고 그 파급효과나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여 좀 더 발전적인 방송을 만들어야 한다.
4.2 시청자들의 비판적 시청의 필요성
사실 우리는 다양한 매체들로 둘러싸인 세상에 살고 있다. 그 속에서 우리는 비판의식을 잃고 살아 갈 때가 많다. TV를 보고 ‘예능은 재밌으면 됐지.’ 라고 생각하며 아무 생각 없이 웃으며 보고는 한다. 하지만 우리가 이러한 대중매체를 통해 무의식적으로 받는 영향은 매우 크다. 그들이 그려내는 모습에는 분명 우리 사회의 문제점도 안고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웃고 즐기는 것 이상으로 비판적인 시각을 갖고 TV를 시청할 필요가 있다. 물론 무조건적인 비판은 좋지 않다. 하지만 적당한 비판적인 사고는 좀 더 좋은 예능 프로그램을, 좀 더 발전된 방송을, 좀 더 낳은 세상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5. 결론
‘패밀리가 떴다’는 그들만의 독특한 캐릭터를 갖고 1박 2일 동안 시골 마을에서의 시골 체험기를 인간적으로 그려내 시청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는 프로그램이다. 하지만 많은 인기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프로그램 진행도의 식상함, 폭력적인 언어의 사용, 문자 자막의 남용과 오용 등의 문제를 앉고 있다.
‘패밀리가 떴다’는 그 인기만큼이나 파급효과가 크다. 그러므로 제작진 및 출연진들이 좀 더 좋은 방송을 만들기 위해 힘써야한다. 그리고 시청자 또한 비판적인 사고를 갖고 시청 함으로써 좀 더 낳은 방송을 만드는데 일조해야 할 것이다.
*참고 사이트
SBS 예능의 한줄기 빛 ‘패밀리가 떴다’에 대한 고찰, 회윤 : http://becker.egloos.com
Daum 영화 - 패밀리가 떴다 :
http://movie.daum.net/tv/detail/episode.do?tvProgramId=51732&page=1
패밀리가 떴다 홈페이지 : tv.sbs.co.kr/newsunday/index.html
키워드
추천자료
캐릭터시장
과연 [뮬란]은 기존의 디즈니 캐릭터보다 진보적인 여성캐릭터인가?
캐릭터 애니메이션
(21세기 참신한 사업계획서) 전 세계 누구나 나만의 캐릭터를 가진다! ( 캐릭터전문포탈사업...
독특한 캐릭터의 향연 - 레닌그라드 카우보이 미국에 가다
캐릭터캐주얼시장 후발주자로 진출한 성공사례인 GGPX 와 실패사례 C․A․...
안동하회탈을주제로하는물돌이네캐릭터디자인및마케팅 실행계획안
[저작권][저작권보호][강제허락제도][캐릭터][도메인네임]저작권의 개념, 저작권의 기능, 저...
지오지아 마케팅 전략 분석 - 지오지아 사업 조직도, 남성복시장, 국내 의류패션 시장 규모 ,...
<뽀롱뽀롱 뽀로로> 뽀로로 시장매출액 및 점유율 , SWOT, STP, 4P분석, 뽀통령, 뽀로로의 지...
뽀로뽀로롱 캐릭터 라이센싱 사례 (뽀로로, 캐릭터 라이센스, 아이코닉스, 뽀로뽀로롱의 경제...
★ 부산 불꽃축제 활성화방안 - 부산불꽃축제 ( 부산불꽃축제 현황, 4P, 경쟁사 분석, SWOT 분...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사도 캐릭터분석, 괜찮아 사랑이야 캐릭터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