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영화관은 지역 커뮤니티를 떠나 개인적인 시간을 원하는 60대 정도의 젊은 노인 계층의 놀이공간이다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목적(주제)
1.2. 연구 대상 지역
1.3. 연구방법

2. 성인 영화관에 대한 ‘질문’의 변천 과정
2.1. 도시 사람들이 굳이 성인 영화관에 가는 이유
2.2. 동네모임과 비교해 영화관을 찾는 이유
2.3. 동네모임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

3. 성인 영화관의 공간 구성과 운영 체계
3.1. 공간 구성
3.1.1. 영화관 입구/매표소
3.1.2. 영화관 내부 구조: 휴게실
3.1.3. 영화관 내부 구조: 상영관
3.2. 운영 체계와 제공 서비스 및 요금
3.2.1. open/close 시간
3.2.2. 제공 서비스 및 요금
3.2.3. 영화 상영 시간표

4. 성인 영화관 사람들
4.1. 주요 소비층
4.2. 성인영화관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 - 내부 커뮤니티
4.3 지역 커뮤니티와 성인 영화관의 차이

5.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맺지 않는다.
그런데 동네 밖의 커뮤니티는 따로 시간을 내고 공간을 마련해야 만남이 이루어질 수 있는 '관리 대상'이다. 따라서 모임들은 매일같이 이루어지기 힘들고, 경제적 여유가 없는 노인들에게는 그나마 부담이 될 수 있다. 이는 일상적으로 여가를 보낼 수 있는 수단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커뮤니티에 대한 욕구와 일상적으로 혼자만의 여유 시간을 보내고 싶은 욕구를 동네 밖 커뮤니티와 성인 영화관 각각에 할당해서 해소하는 것이다.
내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결국 노인들은 개인적 여가시간을 조용히 즐길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성인 영화관을 찾는다. 집에서는 가족들의 눈이 있어서 성인 영화나 ‘야동’을 보는 것은커녕 마음대로 담배를 피기도 쉽지 않고, 한가롭게 시간을 보내기가 힘들다. 그러나 성인영화관에서는 누구의 시선도 신경 쓰지 않고 영화를 보고 낮잠도 자고, ‘야동’도 보고 텔레비전도 보고 신문도 보고 바둑도 둘 수 있다! 여유로운 '나만의 시간' 을 보내려고 온 사람들은 성인 영화관 내에 커뮤니티가 존재하는 것을 오히려 성가시게 느낄 것이고, 실제로 인터뷰 이들은 그런 반응을 보였다.
그러나 70대부터는 경제적 지위의 약화와 건강상의 이유로 동네 밖 커뮤니티를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경제활동이 대부분 완전히 중단되어 고정 수입이 없고, 생계의 상당 부분을 자녀들에게 의지하게 된다. 장기적 관점에서 30년 후의 70대 노인들 역시 이런 패턴을 보일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된다. 자녀에게 노후를 위탁시키기보다는 젊었을 때 미리 노후 자금을 마련하는 '노후 대비'가 중요한 개념으로 정착한지 이미 상당한 시간이 흘렀기 때문이다. 이는 보다 긴 관점에서 추적되어야 할 것이다.
본인이 건강하더라도 기존 또래 집단의 구성원들 상당수가 건강에 문제가 생기며 배우자와의 사별 등이 이후의 여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뿐만 아니라 몇 명의 노인들이 지적했듯이 노인정에서는 70대 이상이 아니면 노인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70대 이상부터는 노인정에서 노인으로 받아들여지며 노인정의 주된 수요층이 또래가 되므로, 노인정을 자신이 ‘있을 만한’ 공간으로 인식하게 된다. 즉 60대일 때 보다 노인정을 더 편안하게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커뮤니티에서 느끼는 만족도가 이전의 다른 커뮤니티에 비해 높은지 여부는 조사되지 않았으므로 알 수 없지만, 동네 밖 커뮤니티가 더 이상 가능하지 않고 노인정에서의 커뮤니티 형성이 더 자연스러워지면서 후자가 전자를 대체한다.
물론 이 도식으로 모든 현상을 설명하기에는 문제가 있다. 70대 이후에도 성인영화관을 찾는 사람들이 있으며 60대도 성인영화관을 소비하지 않고 지역 커뮤니티를 선호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에 대해서는 개인의 성향과 성욕, 성인영화관에 대한 평판과 계층, 자기 자신에 대해 형성한 윤리적 이미지 등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성인 영화관이라는 공간 자체가 여성이나 학생 등 이질적인 존재들의 출입을 불편하게 만드는 음성적인 특성을 갖고 있는 데 더해, 조사자들의 연령대가 성인 영화관을 찾는 사람들에 비해 너무 낮아 라뽀(rapport)를 형성하는 데 힘들었다는 점은 이 연구를 진행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 악조건이었다. 연구의 한계들 중 상당수는 여기에서 기인한다. 성인 영화관 사람들은 영화관 안에서는 생전 처음 보는, 절대 올 것 같지 않았던 어린 학생들을 보고 경계하는 모습이 강하게 나타났고, 그만큼 우리들도 그들과의 라뽀 형성에 있어서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었다. 우리에겐 새로운 경험이고 신선한 충격이었지만 연구 대상인 노인 분들의 입장에서는 당혹스러울 수 있었을 것이다. 때문에 우리도 인터뷰이를 구하기가 힘들었고 설문지를 돌리는 것도 불가능했다. '불량한 학생' 취급을 받는 데에서 오는 괴로움과 삐딱한 시선 역시 조사자들의 입장에서는 생각보다 만만치 않은 장벽으로 작동했다.
연구 과정에서 다른 노인들을 위한 각종 공간들에 대한 비교 연구가 잘 이루어지지 못한 것이 또 다른 한계이다. 성인 영화관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노인정, 주민 센터, 실버타운 등에 대한 조사도 병행할 수 있었다면 비교 연구를 통해 노인층의 도시 생활에 대해 보다 복잡한 실타래를 살펴볼 수 있었을 것이란 아쉬움이 남는다.
<참고문헌>
권정희, 2004, <부산시 노인의 성생활 실태 및 노인의 성 인식에 관한 연구>, 김해, 인제대학교.
김지현, 2006, <노인의 성생활실태, 성인식 및 성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신종호, 1982, <서울시 아파트 단지내 노인정의 실태와 이용에 관한 연구>, 서울, 서울대학교.
양우석, 2005, <고령화 사회 노인의 성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고양시를 중심으로>, 서울, 경희대학교.
황희문. 김향하, 2007, <노인의 성생활 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구미, 경운대학교.
유인애, 2006, <노인의 성관련 특성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서울, 상명대학교.
Krupat, Edward. 1985, , <>,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48-66.
*목차
1. 서론
1.1. 연구목적(주제)
1.2. 연구 대상 지역
1.3. 연구방법
2. 성인 영화관에 대한 ‘질문’의 변천 과정
2.1. 도시 사람들이 굳이 성인 영화관에 가는 이유
2.2. 동네모임과 비교해 영화관을 찾는 이유
2.3. 동네모임을 선호하지 않는 이유
3. 성인 영화관의 공간 구성과 운영 체계
3.1. 공간 구성
3.1.1. 영화관 입구/매표소
3.1.2. 영화관 내부 구조: 휴게실
3.1.3. 영화관 내부 구조: 상영관
3.2. 운영 체계와 제공 서비스 및 요금
3.2.1. open/close 시간
3.2.2. 제공 서비스 및 요금
3.2.3. 영화 상영 시간표
4. 성인 영화관 사람들
4.1. 주요 소비층
4.2. 성인영화관 사람들 간의 의사소통 - 내부 커뮤니티
4.3 지역 커뮤니티와 성인 영화관의 차이
5. 결론
*참고문헌
  • 가격2,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8.12.26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92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